[더구루=한아름 기자] 대상그룹이 180억원을 투자, 필리핀에 공장을 설립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오너 3세 임세령 부회장이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임 부회장은 그룹 내 글로벌 전략과 마케팅 담당 중역을 맡고 있다. 6일 필리핀 투자위원회(Board of Investments·BOI)에 따르면 대상은 필리핀 미사미스 오리엔탈 타골로안(Tagoloan, Misamis Oriental)에 타피오카 전분 제조 공장을 설립한다. 대상은 공장 설립에 7억5624만 페소(약 177억7000만원)를 투자한다. 이 공장은 연간 3만3000톤의 타피오카 전분과 4446톤의 타피오카 잔여물(tapioca residue)을 생산한다. 상업 생산은 내년 1월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대상 타피오카 공장이 가동되면 현지 타피오카 생산량이 기존 37만톤에서 40만3000톤으로 9% 증가할 것으로 필리판 투자 위원회 측은 내다봤다. 앞서 대상은 타피오카 공장 생산에 필요한 현지 근로자 500여명을 고용한다는 방침이다. 공장을 정상적으로 운영하려면 일일 약 500톤의 카사바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필리핀에서 카사바 생산량이 두 번째로 많은 곳에 공장을 설립하게 됐다. 이번 필리핀 투자에 임
[더구루=김형수 기자] 영국 바이오업체 아박타(Avacta)의 암 치료제 후보물질 AVA6000 개발 과정이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다. 대웅제약은 지난 2019년 아박타와 조인트벤처 아피셀테라퓨틱스(AffyXell Therapeutics)를 설립을 위해 손잡았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아박타가 사람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AVA6000 임상 1상이 세번째 투여 코호트를 대상으로 한 시험 단계에 진입할 수 있게 됐다. 두번째 투여 코호트에 대한 안전성 데이터 검토에서 긍정적 결과가 나오면서 임상 2상에도 힘이 실리게 됐다. 아박타의 안전성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Safety Data Monitoring Committee)는 진행 중인 임상 1상에서 120㎎/㎡ 용량의 AVA6000를 투여하는 방식으로 이뤄진 두번째 투여 코호트의 안전성 데이터 검토를 마무리했다. 검토를 끝낸 위원회는 AVA6000 투여량을 계획에 따라 160㎎/㎡으로 늘리고 임상 시험을 지속할 것을 권고했다. 아박타는 임상 2상 권장 용량을 결정하기 위해서 임상 1상에서 투여량을 늘리는 과정을 밟고 있다. 아박타는 AVA6000이 pre|CISION™ FAP-활성화 전달 플랫폼을 활용
[더구루=이연춘 기자] JW신약이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국제 표준(ISO37001) 인증을 획득했다. ISO37001 인증을 계기로 사내 부패방지·윤리 문화를 확산하고 부패방지경영을 적극적으로 실천해 기업의 신뢰도를 더욱 높인다는 계획이다. 6일 한국컴플라이언스인증원에 따르면 ISO37001은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가 지난 2016년 제정한 국제 표준 인증으로 부패방지에 대한 기업의 리스크 대응 체계를 평가해 부여한다. JW신약은 지난해 말부터 ISO37001 인증을 준비해왔다. 올해 2월 8일에는 이사회를 개최해 부패방지방침을 마련하는 한편, 부패방지준수 책임자를 지정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수립했다. 부패방지경영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팀장 이상 관리자를 대상으로 외부 특강도 진행했다. 이후 내부심사와 경영검토보고 등을 거쳐 지난 4일 한국컴플라이언스인증원으로부터 ISO37001 인증서를 받았다. JW그룹사 중 ISO37001 인증을 받은 곳은 JW중외제약에 이어 JW신약이 두 번째다. JW신약은 ISO37001 인증을 계기로 사내 부패방지·윤리 문화를 확산하고 부패방지경영을 적극적으
[더구루=김형수 기자] 영국 제약업체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에 분사하는 헤일리온(Haleon)이 영국 런던 주식 시장에 입성한다. 상장 시점에서 헤일리온의 가치는 380억 파운드~450억 파운드(약 59조3298억원~70조259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헤일리온 보통주는 오는 18일 영국 런던 증권거래소(London Stock Exchange)에 상장될 전망이다. 이날부터 런던증권거래소의 주요 시장에서 헤일리온 보통주에 대한 거래가 허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GSK는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ew York Stock Exchange)에서 헤일리온 보통주를 대표할 미국 예탁주식(American Depositary Shares) 상장 신청 작업에도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헤일리온은 약 103억 파운드(약 16조815억원)에 달하는 부채를 품에 안고 영국 주식시장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영국 은행 바클레이즈(Barclays)는 헤일리온이 올해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는 수익의 4배에 달하는 규모로 추정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제프리스(Jefferies)는 부채 규모가 크기는 하지만 헤일리온이 고유한 자산을 지니고 있어 이에 따른
[더구루=김형수 기자] 프랑스 제약업체 사노피(Sanofi)가 미국에서 개발 중인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 톨레브루티닙(Tolebrutinib)의 경고등이 켜졌다. 임상3상에서 간 손상이 발생한 대부분의 환자의 경우 약물 유발 간 손상을 일으키기 쉬운 특성을 갖게 하는 것으로 알려진 동시 합병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료기사코드] 6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사노피가 수행하는 중인 톨레브루티닙 임상 3상에 대해 부분 임상 보류 결정을 내렸다. 사노피는 FDA의 이번 판단에 따라 미국에서의 신규 피험자 등록이 중단됐다고 전했다. 또 미국에서 톨레브루티닙 임상 3상에 참여한 지 60일이 되지 않는 피험자들은 약물 투여를 중단해야 한다. 다만 임상 3상에 참여해 최소 60일이 지난 참가자들은 치료를 계속할 수 있다. 다발성 경화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등록은 지난 2019년부터 이뤄지고 있다. 현재 톨레브루티닙 치료를 받는 사람은 2000명이 넘으며 치료 기간은 최대 3년에 달한다. FDA는 임상 3상에서 톨레브루티닙에 노출에 의해 유발된 것으로 식별된 소수의 간 손상 케이스를 기반으로 이번 결정을 내렸다. 사노피는 간 손상 모니터링을 위해 사용된 실험실 수치
[더구루=홍성일 기자] 아마존이 영국에서 전기자전거를 활용한 배송을 출시했다. 아마존은 2030년까지 런던 내 출하량의 절반을 전기자전거로 배송한다는 목표다. 아마존UK는 4일(현지시간) 영국에서 e-카고 바이크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아마존은 e-카고 바이크를 통해 런던에서만 연간 500만 개의 라스트마일 배송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아마존의 e-카고 바이크는 4개의 바퀴를 가지고 있으며 전기모터와 자전거 페달을 혼합해 구동된다. 아마존의 e-카고 바이크 뒤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박스형태의 화물칸도 장착됐다. 아마존UK의 e-카고 바이크는 마이크로모빌리티 허브 구축 전략에 따라 배치됐다. 아마존은 2030년까지 전체 배송의 50%를 탄소 배출 제로로 배송하고 2040년까지 탄소 제로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상태다. 아마존은 이미 탄소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전기 배달 밴을 영국에 1000대 이상 배치한 상황으로 지난해에만 영국에서 4500만 개 이상의 물품을 배달했다. 아마존은 향후 e-카고 바이크는 물론 보행기를 통한 제로탄소 배송 시스템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올해 말까지 맨체스터, 콜빌, 헤이독, 브리스톨, 밀턴 케인즈 등에 대규모 태양광…
[더구루=한아름 기자] 글로벌 담배업체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가 미얀마 사업을 접는다. 현재 미얀마 사업 청산 작업을 진행 중으로, 오는 12월에 철수할 예정이다. 6일 미얀마 무역진흥기구 '마이앤트레이드'에 따르면 BAT가 최근 미얀마 내 사업 실행 가능성에 대한 분석 끝에 자발적으로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미얀마 국가관리위원회도 "2002년 파산법에 의거해 BAT는 미얀마 사업을 철수한다"고 공지했다. BAT의 미얀마 사업 철수 이유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군사 쿠데타가 장기화됨에 따라 정세 불안이 이어져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BAT는 미얀마서 생산·판매·유통 사업을 청산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자발적 청산 신청 관련 서류를 접수했다. BAT는 올해 말까지 미얀마 내 사업을 모두 접게 된다. 미얀마는 럭키 스트라이크, 런던, 켄트 등 BAT의 담배 생산 기지 역할을 해왔다. 이번 철수를 기점으로 BAT가 다른 생산 공장을 확보할 지에 대해선 알려지지 않았다. BAT는 지난 1999년 군부가 소유한 미얀마경제지주사(MEHL)와 합작사를 세워 담배 사업을 시작했다. 하지만 영국 정부가 2003년 미얀마 군사정권이…
[더구루=김형수 기자] 교촌치킨이 말레이시아에서 식물성 고기를 활용한 메뉴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다. 건강을 중시하거나 환경을 생각해 고기 섭취를 멀리하려는 현지인 소비자들을 겨냥한 행보로 해석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교촌치킨은 네슬레(Nestle)와 손잡고 하베스트 고메(Harvest Gourmet)에서 나온 슈니첼을 활용한 메뉴를 내놨다. 하베스트 고메 슈니첼은 밀, 비트 뿌리, 콩 등 단백질과 섬유질이 풍부한 식물성 원료로 만들어진 식물성 고기다. 진짜 닭고기 같은 맛을 느낄 수 있다는 설명이다. 교촌치킨은 하베스트 고메 슈니첼을 활용해서 만든 미트 프리 슈니첼 랩(Meat Fress Schnitzel Wrap), 미트 프리 슈니첼 비빔밥 등과 미트 프리 잡채를 판매하고 있다. 이어 지난해 10월에는 동남아시아에서 식물성 고기 사업을 펼치는 업체 퓨처푸드(Phuture Foods)와 협력해 퓨처 치킨 텐더와 퓨처치킨 버거 콤보 등 식물성 고기를 활용한 메뉴를 추가로 내놨다. 지금은 퓨처 스파이시 너겟, 퓨처 스파이시 너겟 콤보 등도 판매하고 있다. 퓨처푸드는 쌀, 콩, 감자, 올리브오일, 코코넛오일, 비트 뿌리 등을 재료로 식물성 고기를 개발했다. 교촌
[더구루=최영희 기자]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자사의 범용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인 CP-COV03의 코로나19 임상2상에서 임상참여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1라운드 투약절차를 순조롭게 마쳤다고 6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CP-COV03의 코로나19 임상2상은 조만간 외부 전문가로 구성되는 데이터안전성 모니터링위원회(DSMB)의 심의를 받을 예정이다. DSMB는 CP-COV03의 임상2상 1라운드 결과를 토대로 약물의 안전성 등을 검토한 뒤 임상 재개 여부를 권고한다. DSMB 회의가 열릴 때까지는 임상 환자 모집이 일시적으로 중단된다. 1라운드 임상 환자 36명은 위약군 12명과 시험군1(300mg) 12명, 시험군2(450mg) 12명으로 나뉘어 투약이 이뤄졌는데 투약 후 환자들에게 별다른 부작용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DSMB 심의에서 현대바이오에 코로나19 임상 재개 권고가 나오면 CP-COV03의 임상 성공 가능성은 더욱 커진다. 현대바이오는 DSMB 심의 결과가 나오는대로 CP-COV03의 임상2상 진행 속도를 더욱 내기 위해 임상시험 실시기관을 확대할 예정이다. 그동안 임상 3상을 지원해온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은 지난 4월 CP-COV03의 코로나1
[더구루=한아름 기자] 배달의 민족 모기업 딜리버리 히어로가 글로보 인수 절차를 마무리했다. 이번 인수로 딜리버리 히어로는 글로보와 함께 4대륙에 배달 서비스를 품게 됐다. 딜리버리히어로는 글로벌 배달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강화됐다며 향후 매출 성장을 자신했다. 6일 딜리버리 히어로에 따르면 글로보 주식을 약 94% 획득하면서 대주주에 올랐다. 딜리버리 히어로와 글로보를 이용하는 고객 수는 22억명으로 늘어났다. 니콜라스 외스트버그 딜리버리 히어로 CEO는 "이번 인수 계획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면서 양사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며 "양사가 협력하면 사업 성장과 개발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4개 대륙에서 배달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글로보가 딜리버리 히어로에 인수됐지만 기존 운영 방식은 유지된다. 오스카 피에르(Oscar Pierre)와 샤샤 미쇼(Sacha Michaud) 글로보 창업자가 글로보를 이끌 예정이다. 글로보 브랜드와 플랫폼도 인수 전과 동일하게 운영된다. 니콜라스 외스트버그 딜리버리히어로 CEO는 "지난 수년 동안 딜리버리 히어로는 약 50개 국가에서 음식 배달 산업을 주도했으며, 글로보 추가 지분 확보에 따라 이는 74개
[더구루=한아름 기자] 메디컬 더마 컴퍼니 씨엠에스랩의 대표 브랜드 '셀퓨전씨'(Cell Fusion C)가 베트남 뷰티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베트남 안방극장을 사로잡은 광고 모델 신혜선을 앞세워 K-뷰티 DNA를 뿌린다. 6일 셀퓨전씨는 여름 성수기를 맞아 베트남에 선크림 '레이저 썬스크린 100' 등을 출시한다. 선크림은 셀퓨전씨의 대표 제품인 만큼 큰 폭의 매출을 견인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베트남 현지 분위기도 긍정적이다. 한국 드라마나 케이팝 등 한류 붐이 지속되면서 K-뷰티에 대한 관심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관련 업계는 베트남 뷰티 소비자들이 자외선 차단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면서 선크림 판매량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셀퓨전씨는 광고 모델 신혜선을 앞세워 베트남 뷰티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신혜선은 인기 드라마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단, 하나의 사랑', '황금빛 내 인생' 등에 출연하면서 베트남 소비자들에 이름을 알렸다. 신혜선의 홍보 효과로 브랜드의 경쟁력과 해외 인지도 확대를 제고할 방침이다. 레이저 썬스크린 100은 국내에서 브랜드력이 강한 제품인 만큼 매출 확대가 예상된다. 레이저 썬스크린 100은 손상된 피부 강화를…
[더구루=김형수 기자] 맥도날드가 배달의민족 모기업 딜리버리히어로의 배달 플랫폼 푸도라(foodora)와 손잡고 스웨덴에서 드론을 이용한 배달 테스트에 나섰다. 푸도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맥도날드의 버거와 음료 등 주문이 가능하다. 배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면 푸도라 애플리케이션에 배달 기능이 활성화될 예정이다. 6일 푸도라에 따르면 맥도날드와 함께 드론 드루나(Droona)를 활용해 스웨덴 스톡홀름 동쪽에 자리한 구스타프베리(Gustavsberg)에 있는 매장에서 외곽에 위치한 해변에 있는 소비자에게 음식을 배달하는 테스트에 나선다. 푸도라는 이전에 스웨덴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텔레2(Tele2)와 배달로봇 두라(Doora) 시험 운행을 해본 경험이 있다. 이번에는 맥도날드와 힘을 합쳐 물건을 걸 수 있는 팔이 달린 드론을 보다 높은 고도에서 운용하는 시험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맥도날드는 스웨덴에서 드론 배달을 시험한 첫 레스토랑 체인으로 이름을 남기게 됐다. 테스트는 스톡홀름 외곽에서 지난 5일 시작됐다. 드론의 출발지와 도착지는 구스타프베리 근처에 있는 해변가 그리슬링게 하브스바드(Grisslinge Havsbad)다. 이곳에는 드루나 이착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자동차 부품 회사 일본특수도업(日本特殊陶業, 이하 NGK)이 '미래 먹거리'인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전력투구한다. 연말 항공우주용 전고체 배터리의 성능을 검증하고 2025년 상용화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NGK는 전고체 배터리를 2025년 상용화할 계획이다. 자동차뿐 아니라 항공우주, 헬스케어 등에서 활용을 모색하고 연말 항공우주용 배터리에 대한 성능 테스트를 실시한다. 1936년 설립된 NGK는 점화 플러그와 세라믹 제품 등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는 회사다. 주력 제품인 점화 플러그는 거의 모든 완성차 업체들이 사용하고 있다. NGK는 내연기관차 시대가 저물고 전기차를 비롯해 친환경차의 판매량이 증가하며 새 수익원 발굴에 매진했다. 그동안 자동차 부품 시장에서 축적한 기술력을 토대로 전고체 배터리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에 쓰이던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바꾼 제품이다. 구조적으로 단단해 화재 위험이 없고 에너지밀도가 높아 주행거리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어 '차세대 배터리'로 꼽힌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는 전 세계 전고체 배터리 시장 규모가 올해 2.1GWh에서 2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화유코발트와 짐바브웨 정부 간 리튬 프로젝트를 둘러싼 동상이몽으로 첫 삽을 뜨기 전부터 잡음이 새어 나오고 있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 등 인프라 부족이 걸림돌로 작용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화유코발트는 최근 짐바브웨 아르카디아(Arcadia) 리튬 프로젝트 관련 "현지 파트너사의 지원과 적절한 환경이 갖춰졌을 때만 리튬 생산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당국이 계약서 내용과 달리 일방적으로 5년 내 현지 리튬 생산을 요구한 데 따른 것이다. 화유코발트는 총 4억2200만 달러(약 5513억원)를 들여 호주 프로스펙트리소시스로부터 아르카디아 프로젝트를 인수했다. 지난 5월 광산 개발과 리튬 처리 시설 건설에 3억 달러(약 3920억원)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본보 20222년 5월 27일 참고 中 화유코발트, 짐바브웨 리튬 사업 '3700억' 투자> 인수 작업이 순항하는 듯 했지만 예상치 못한 곳에서 발목이 잡혔다. 짐바브웨 경쟁관세위원회가 지난달 22일(현지시간) 화유코발트와 프로스펙트리소시스 간 거래를 승인하며 '5년 이내에 짐바브웨에서 배터리 등급 리튬을 생산해야 한다'는 조건을 내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