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장금상선 계열사인 흥아해운이 보유중인 소형 케미컬 탱커(화학제품운반선) 2척을 폴란드에 매각했다. 수익성 제고 목적의 대형 선대 도입을 위한 소형선 매각이다. 흥아해운은 28일 공시를 통해 폴란드 옥탄에너지 앤드 V/L 서비스(Oktan Energy & V/L Service)에 소형 케미컬 탱커 2척을 매각했다고 밝혔다. 매각 선박은 2016년 건조된 3500DWT급 '코베 파이오니어(Kobe Pioneer)'호와 '요코하마 파이오니어'(Yokohama Pioneer)호다. 매각가는 척당 1370만 달러(약 196억원)로 총 매각가는 2740만 달러(약 382억원)이다. 선박 인도 시기는 각각 다음달 10일과 11월 25일이다. 흥아해운은 매각한 소형 탱커로 동북/동남아시아 항로를 중심으로 화물 운송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소형 선대 매각 후 확보한 자금을 바탕으로 대형 선박 확보에 나선다. 흥아해운은 공시를 통해 "수익성 증대를 위해 소형 선박을 매각하고 대형 선박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흥아해운이 탱커 서비스 중인 선대 리스트를 보면 3500DWT급 소형 케미컬 탱커 3척, 6500DWT급 텡커 2척, 1만2000DWT 탱커 5
[더구루=정등용 기자] 싱가포르가 첫 상업용 원자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지리적 제약으로 인해 친환경 재생에너지 활용이 어려운 만큼, 원전으로 에너지 안보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29일 싱가포르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원전의 안전성과 신뢰성, 경제성, 환경 지속가능성을 고려해 도입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싱가포르 정부는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파트너들의 지원을 받아 국내 원전 역량 구축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히며 “원자력 에너지의 최신 동향을 정기적으로 공개해 국민이 원자력 에너지의 혜택과 위험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싱가포르가 수력이나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 솔루션을 대규모로 도입할 만한 자연적 특성과 자원, 토지를 갖추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가능한 모든 공간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도 싱가포르 전체 전력 수요의 10%만 충족시킬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싱가포르는 지난 2012년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사전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다. 당시 연구는 원자력 발전소가 작고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 국가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을 지었다. 다만 싱가포르에 새로운 원자력 기술의 진전을 계속 모니터링 할 것
[더구루=홍성일 기자] 기아 전동화 목적기반모빌리티(Purpose Built Vehicle, PBV) 'PV5'가 짐을 가득 실은 상태로 700km 가량을 주행하며 기네스 기록을 세웠다. 이번 기네스 기록이 실용성을 중시하는 글로벌 밴 시장에서 PV5에 대한 주목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기아 유럽권역본부는 28일(현지시간) 'PV5 카고 L2H1 71.2kWh 모델'이 '최대 적재량을 싣고 가장 먼 거리를 주행한 전기 경상용차(eLCV)' 부문 기록을 경신했다고 밝혔다. 이번 도전은 지난달 30일 독일 프랑크푸르트 북부에 위치한 실제 도로에서 진행됐다. 설정된 경로는 총 58.2km로 도심과 외곽 순환로로 구성됐으며 총 상승고도는 370m였다. 기아는 도전을 위해 100% 완충된 PV5에 790kg에 달하는 화물을 적재했다. 이번 주행은 개조가 이뤄지지 않은 순수 양산 차량이 사용됐으며, 적재 과정은 독일 시험 인증 기관인 TÜV 헤센(TÜV Hessen)의 감독관 관리하에 진행됐으며, 탑재 후에는 밀봉된 상태를 유지했다. 차량의 거리는 위성 항법 시스템(GPS)과 카메라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기록됐다. 주행은 현대차 유럽기술연구센터(Hyundai M
[더구루=길소연 기자] 프랑스 에너지 기업 토탈에너지스(TotalEnergies SE, 이하 토탈)가 현지 정세 악화로 중단한 모잠비크 천연가스(LNG) 프로젝트를 재개하면서 미뤄진 선박 발주가 임박했다. 모잠비크 LNG 프로젝트의 수주에 대비해 5년째 선박 슬롯(선박 건조 공간)을 할당해온 HD현대와 삼성중공업은 1년 더 기한을 연장해 신조 계약을 체결한다. 29일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에 따르면 HD현대와 삼성중공업이 245억 달러(약 35조원) 규모의 모잠비크 LNG 프로젝트에 투입될 LNG 운반선 17척의 슬롯 확정일을 내년으로 연장했다. 이에 따라 슬롯이 할당된 주주 파트너사와 선주사는 HD현대와 삼성중공업선박 배정에 대해 내년 초까지 결정해야 한다. 슬롯 확보는 신조(새 선박)용 도크를 미리 선점하는 것으로, 정식 발주 전 수주를 예약한 것으로 간주한다. 조선소들은 보통 6개월~1년 단위로 건조 슬롯을 확보하고 있다. 프로젝트 재개를 기다리며 5년째 슬롯을 예약하는 건 드문일이다. 특히 토탈과 건조의향서(LOI)를 체결한 당시에는 한국 조선소의 수주량이 넘쳐나 슬롯 포화상태라 프로젝트 재개를 기다리며 무기한 슬롯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가 미국 무인·자율운행 선박 개발 스타트업 '해벅AI(HAVOC AI)'와 손잡고 자율운항 기술을 함정에 접목한다. 무인 전투함의 새 시대를 열며 미국 방산 시장에서 수주 경쟁력을 강화한다. 29일 해벅AI에 따르면 한화와 자율주행 함정 사업을 위한 파트너십을 맺었다. 한화가 건조하는 함정에 해벅의 자율주행 기술을 결합해 미국 시장을 공략한다. 해벅AI는 소셜미디어 '링크드인'을 통해 "한화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기술적으로 앞선 조선소"라며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해벅은 미 국방부와 동맹 고객의 수요를 충족하며 대규모로 안정적인 생산 확대가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이어 "이미 미군이 사용 중인 자율주행 시스템을 탑재함으로써 한화의 함정은 미군의 자율함대 전략을 강화하며 지속적인 임무 수행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2024년 설립된 해벅AI는 저렴하고 신속한 생산이 가능한 무인수상정(USV) 기술을 보유했다.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수천 대 함정을 통합해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도 개발했다. 미 국방부에 30여 척의 USV를 납품했으며 록히드 마틴을 비롯해 글로벌 방산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현지 육군의
[더구루=홍성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 웨스팅하우스가 100조원이 넘는 규모의 신규 원자력 발전 사업에 협력하기로 했다. 웨스팅하우스가 미국 내 투자를 확대함에 따라 핵심 협력사인 현대건설과 두산에너빌리티의 수주 확대가 기대된다. 미국 정부와 웨스팅하우스, 브룩필드자산운용, 카메코는 28일(현지시간) 원전 도입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캐나다 자산운용사 브룩필드와 캐나다 우라늄 기업 카메코는 웨스팅하우스의 경영권을 갖고 있다. 이번 전략적 파트너십의 핵심은 웨스팅하우스의 AP1000 원전 기술을 활용해 미국 전역에 최소 800억 달러(약 110조원) 규모의 신규 원전을 건설하는 것이다. 미국 내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고, 미국의 원전 르네상스를 가속화하겠다는 목표로 마련됐다. 웨스팅하우스가 설계한 AP1000 원자로는 개량형 가압경수로 노형으로 미국, 유럽 및 아시아의 여러 국가에서 라이선스를 받은 3세대+ 원자로 기술이다. 미국 정부는 웨스팅하우스 원전 사업을 위한 자금 조달을 지원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 28일 일본 도쿄에서 "일본이 AP1000 원전과 소형모듈원전(SMR)을 포함해 미국 내 주요 인프라 사업
[더구루=홍성일 기자] 현대자동차의 중국 전략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일렉시오(EO·ELEXIO)'가 현지 언론의 호평을 받고 있다. 중국 언론은 일렉시오가 현대차의 브랜드 이미지를 재정립하는 모델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베이징현대는 16일(현지시간) 일렉시오의 사전판매를 개시했다. 정식 출시는 오는 29일로 예정돼 있다. 일렉시오가 사전판매에 돌입하면서 현지 언론의 전망과 평가가 나오고 있다. 중국 현지 언론은 전반적으로 "베이징현대가 중국 소비자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했다"며 긍정적인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일렉시오가 높이 평가받는 점은 722km에 달하는 주행거리와 빠른 충전 속도, 고급 옵션의 기본사양 탑재, 세련된 디자인을 갖추고도 15만 위안(약 3000만원)에 구매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가장 저렴한 트림의 경우에는 13만 위안(약 2630만원)부터 판매된다. 이에 중국 언론에서는 "30만 위안급 차량을 15만 위안에 구매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일렉시오는 현대차 중국 R&D센터 주도로 개발된 현지 전략형 전기차다. 160kW급 전기모터와 중국 BYD 자회사 핀드림(FinDream)의
[더구루=오소영 기자] 이집트 만수르그룹이 현지 정부로부터 전기차 공장 부지 임대 승인을 받았다. 상하이자동차(SAIC)와 손잡고 이집트산 전기차 생산에 '신호탄'을 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전기차 기업 루시드모터스(이하 루시드)가 생산량 확대를 위해 2교대 근무에 돌입한다. 루시드는 2교대 생산을 통해 연간 2만대 생산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현대자동차가 북미 상용차 제조법인인 현대 트랜스리드(Hyundai Translead)를 앞세워 미국 대형 트럭 시장을 공략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현대 트랜스리드를 엑시언트(XCIENT) 수소연료전지 트럭 공식 판매처로 선정했다. 이에따라 현대 트랜스리드는 북미 엑시언트 수소연료전지 트럭 공식 딜러로 활동하며, 북미 시장 내 판매를 전담하게됐다. 현대 트랜스리드는 북미에서 트레일러 등을 생산·판매하는 현대차 계열사로, 2010년도부터는 북미 트레일러 분야 시장 점유율 1위를 지키고 있다. 현대 트랜스리드는 강점을 살리기 위해 엑시언트 수소연료전지 트럭과 트레일러를 결합해 판매한다. 이에 현대 트랜스리드에서 엑시언트 수소연료전지 트럭을 구매하는 소비자는 트레일러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어 접근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북미 공식 판매처가 확정되면서 엑시언트 수소연료전지 트럭의 북미 시장 공략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는 캘리포니아주 탄소 제로 프로젝트에 따라 35대, 현대차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운영 지원을 위해 21대를 공급하며 미국 대형트럭 시장에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캘리포니아 애너하임 컨벤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오션이 사우디아라비아와 모로코, 이집트를 잠수함 주요 수출 대상국으로 꼽았다. 중동의 해군 현대화 계획에 맞춰 장영실함(장보고-Ⅲ Batch-Ⅱ 1번함)을 제안하고 수주를 가시화한다. 28일 디펜스 아라빅(defense-arabic) 등 아랍 방산 전문지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지난 22일 오후 경남 거제 한화오션 사업장에서 장영실함 진수식을 열고 기념 영상을 상영했다. 해당 영상에 등장한 주요 수출 대상국에는 사우디와 모로코, 이집트가 이름을 올려 현지에서 주목을 받았다. 장영실함은 해군의 첫 3600톤(t)급 잠수함이다. 길이 89m로 기존 '도산안창호급' 잠수함와 비교해 잠수함 두뇌에 해당하는 전투체계와 눈과 귀에 해당하는 소나체계 성능이 강화됐다. 정보 처리와 표적 탐지, 육상 표적 능력이 향상됐다. 리튬전지를 탑재해 약 3주간 잠항이 가능하며 최대속력으로 항해할 수 있는 시간도 늘어났다. 시운전을 거쳐 2027년 말 해군에 인도될 전망이다. 장영실함은 해군력을 강화하려는 중동 국가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사우디는 잠수함과 호위함 발주를 추진하며 한국 방산 기업들에 협력을 주문하고 있다. 모하마드 알 가리비 사우디 해군참모총장은
[더구루=김예지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 3분기까지 유럽 자동차 시장에서 누적 판매 4위를 차지했다. 판매량과 점유율은 전년 대비 다소 감소했다. 현대차그룹은 4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주력 모델 판매를 통해 이를 만회한다는 방침이다. 28일 유럽자동차공업협회(ACEA)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올해 9월까지 유럽 시장에서 총 79만7888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82만1984대) 대비 2.9% 감소한 수치로, 완성차 그룹별 판매 순위 4위다. 점유율은 전년 동기(8.4%) 대비 0.4% 포인트 하락한 8.0%를 기록했다. 이는 유럽연합(EU) 회원국 27개와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소속 아이슬란드와 노르웨이, 리히텐슈타인, 스위스 등 4개국과 영국 시장에서의 판매를 합산한 결과다. 단일 브랜드 기준, 현대차는 전년(40만8657대) 대비 1.6% 감소한 40만2176대를 판매했다. 점유율은 4.1%로 집계됐다. 기아는 전년(41만3327대) 대비 4.3% 감소한 39만5712대를 기록했으며 점유율은 4.0%로 나타났다. 완성차 그룹별 판매 1위는 폭스바겐그룹이 차지했다. 1~3분기 누적 총 265만4576대를 판매했다. 스텔란티스는 146만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