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재생에너지 스타트업 악셀러젠 에너지(Accelergen Energy)가 신규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악셀러젠 에너지는 고품질 태양광 프로젝트 파이프라인 개발에 신규 자금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악셀러젠 에너지는 4일 레이라인 리뉴어블 캐피털로부터 3000만 달러(약 400억 원) 규모의 성장 자본을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지난 2020년 설립된 악셀러젠 에너지는 유틸리티 규모의 태양광, 태양광 플러스 스토리지, 독립형 스토리지 프로젝트에 주력하는 재생에너지 개발 업체다. 현재 미국 전력망에서 운영 중인 3GW 이상의 전력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했다. 악셀러젠 에너지는 재생에너지 사업과 관련해 부지 식별, 토지 취득, 설계, 건축 부문에서도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악셀러젠 에너지는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고품질 태양광 프로젝트 및 저장 프로젝트의 파이프라인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전력망 시장 분석과 프로젝트 개발, 엔지니어링, 재무 분야에서 최고의 인재를 영입해 빠른 성장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토마스 홀 악셀러젠 에너지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투자 유치의 목표는 경험이 풍부한 인재를 영입해 전략적 이점을 확보하는 것”이라
[더구루=홍성일 기자]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 옥스보티카(Oxbotica)가 사명으로 옥사(Oxa)로 변경하고 글로벌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한다고 4일 밝혔다. 옥사는 이번 사명 변경에 대해 북미와 유럽에서 사업 확장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옥사는 2014년 옥스퍼드대학교 폴 뉴먼 교수와 잉마르 포스너가 설립했다. 당시 로봇 기업으로 사업을 시작한 옥사는 현재 세계 최고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기업 중 하나로 성장했다. 옥사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하드웨어에 구애 받지 않는 자율성을 확보하고 있어 도로 안팎의 다양한 차량 유형에 적용할 수 있다. 고급 기술은 옥사의 고유한 수평 B2B 모델을 지원해 운영자와 통합자 및 제조 기업에게 필요한 자율 기능과 유연성을 제공한다. 이에 옥사는 지난 1월 1억400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C 투자 라운드를 성공하며 자본을 확충하기도 했다. 옥사는 어플라이드 EV, bp, NEVS, ZF 등과 손잡고 오는 2024년까지 무인 승객 셔틀과 산업 특화 차량을 출시할 계획이다. 또한 광산 시스템 전문업체 웬코 IMS와 추진 중인 자율 채굴 시스템 개발에도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자율 채굴 시스템은 안전과…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납축전지 시장이 2030년까지 연평균 4.6%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비상용 전원(UPS) 시스템과 산업용 기기용으로 수요가 증가한 영향이다. 4일 코트라 워싱턴무역관에 따르면 미국 납축전지 시장은 2021년 11억6000만 달러(약 1조5320억원)를 기록했다. 2030년까지 연평균 4.6%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 시장도 마찬가지다. 미국 납축전지 수입액은 지난해 21억 달러(약 2조7750억원)로 전년 대비 21.1%로 증가했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5억 달러(약 6600억원)로 전년 대비 23.9% 뛰었다. 멕시코(8억7000만 달러·약 1조1490억원) 다음으로 높았다. 납은 환경에 유해하다는 인식이 우세하다. 유럽은 2030년 이후 신차에 납축전지를 장착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환경 논란에도 불구하고 납축전지 시장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납축전지는 UPS 시스템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3분의 1수준으로 가격이 저렴해 소형전기차(LEV)를 비롯해 지게차와 산업용 청소기용으로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산업용 기기는 리튬이온 배터리로 대체가 어렵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무게가 납축전
[더구루=정예린 기자] SK E&S의 핵심 파트너사인 미국 수소기업 '플러그파워'가 유럽에서 3건의 대규모 전해조 주문을 확보했다. 유럽에서 잇따라 수주 행보를 이어가며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4일 플러그파워에 따르면 회사는 △스웨덴 '아르다 글래스' △노르웨이 '하이드로 하브란드' △독일 'APEX그룹'에 5MW급 전해조를 공급하는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3건의 계약을 통해 4개의 전해조를 납품한다. 전해조는 녹색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수전해 설비다. 플러그파워가 공급하는 5MW급 전해조는 하루 2.1t의 수소를 생산해 수소충전소 저장탱크에 저장한다. 아르다 글래스와 하이드로 하브란드는 각각 1개의 전해조를 납품받는다. 아르다 글래스는 확보한 녹색수소를 유리 생산 공정에 투입해 탄소 배출량을 줄인다. 하이드로 하브란드는 노르웨이 호이앙에르(Hoyanger)에 위치한 자사 알루미늄 재활용 공장에 전해조를 설치, 순환 경제를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APEX그룹은 파트너사인 세계 1위 철강 회사 '아르셀로미탈(ArcelorMittal)'와 독일에서 용광로 탈탄소화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 플러그파워에 전해조를 주문했다. 플러그파워는
[더구루=오소영 기자] 스웨덴 노스볼트가 폴란드에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 생산시설을 지었다. 연말 생산에 착수해 연간 12GWh를 확보한다. [유료기사코드] 4일 노스볼트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달 말 폴란드 그단스크에 ESS용 배터리 공장 건설을 마쳤다. 2021년 말 폴란드 투자를 발표한 후 약 18개월 만이다. 생산시설과 사무동을 포함한 전체 건물 면적은 약 2만5000㎡다. 노스볼트는 연말 생산을 시작한다. 초기 5GWh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점차 12GWh로 확대할 예정이다. 공장 가동에 필요한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에서 조달한다. 노스볼트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가 집행하는 EU 혁신기금(Innovation Fund)을 통해 7500만 유로(약 1050억원)의 보조금을 획득했다. 작년부터 채용도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약 330명을 뽑았다. 궁극적으로 500명을 신공장에 투입할 계획이다. 노스볼트는 신공장을 통해 전기차에서 ESS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넓히고 유럽 수요를 선점한다. ESS는 잉여 에너지를 저장하고 기후 여건이 좋지 않아 생산량이 떨어질 때 전력을 내보내는 설비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보장할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EU는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멕시코 국민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지 사회적 책임(CSR) 활동 강화를 토대로 지역 발전과 환경 보호에 앞장선 결과 5년 연속 사회공헌기업에 선정됐다. 3일 멕시코 사회공헌 재단(CEMEFI)에 따르면 기아는 최근 CEMEFI 선정 사회공헌기업(ESR) 목록에 5년 연속 이름을 올렸다. ESR은 사회적 책임과 지속 가능성에 전념하는 기업에 주어지는 표창이다. 기업 윤리와 지역 사회 공헌, 환경 보호 활동 등 현지 CSR 활동을 토대로 평가한다. 경제 및 사회적 측면에서 환경과 건강, 보안을 위한 정책 및 캠페인을 적극 펼친 데 따른 결과라는 설명이다. 특히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환경 조성을 위한 탄소배출 중립을 목표로 환경 보호에 앞장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리카르도 게라(Ricardo Guerra) 기아 멕시코 홍보총괄은 "5년 연속 ESR을 수상하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전 직원이 함께 지역 사회를 지속 가능한 환경으로 만들기 위해 매일 헌신한 데 따른 결과"라고 강조했다. 기아는 품질 및 생산 기준을 높이는 동시에 전 직원이 환경에 헌신하는 일원이 됐다는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이어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칠레 고객들의 만족도 제고를 위해 현지 딜러사와 함께 반려동물 친화적 이니셔티브를 출범했다. 칠레 인구 86%가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다는 조사 결과에 따른 현지 맞춤형 마케팅 전략 일환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최근 칠레 자동차 판매업체 인두라모토 원(Indumotora One) '기아 펫' 이니셔티브를 출범했다. 반려동물 친화적인 사회 환경을 조성하는 것과 동시에 고객과의 상호 작용을 개선하기 위해서다. 기아 차량 구매를 위해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의 반려동물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별도 공간을 라 데헤사(La Dehesa) 지역에 마련하기로 했다. 칠레에서 기아 펫 이니셔티브를 출범한 이유는 간단하다. 칠레 인구 86%가 한 마리 이상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참고했다. 반려동물이 가족의 일부로 간주되는 만큼 반려동물 친화적인 장소 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는 것. 특히 반려동물 중 79%가 개라는 점을 고려해 장소를 꾸리기로 했다. 기아는 지속해서 반려동물 휴식 공간을 늘려나간다는 계획이다. 현지 Avenida La Dehesa 매장을 시작으로 칠레 내 전역 쇼룸에 반려동물 휴식 공간을 마련하는 방안도 검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오만 HVAC(난방·환기·공조) 솔루션 전문 유통사와 손을 잡는다. 맞춤형 프리미엄 공조시스템을 제공, 중동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3일 LG전자에 따르면 걸프법인은 최근 블루레이크 테크놀로지(Blue Lake Technologies, 이하 블루레이크)와 HVAC 솔루션 유통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사는 오만에 운영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고품질 공조시스템을 제공한다는 목표다. 증가하고 있는 현지 수요에 적기 대응해 시장점유율을 높일 계획이다. LG전자의 주력 제품인 멀티브이 시리즈 판매에 주력할 방침이다. 멀티브이 시리즈는 LG전자의 대표적인 고효율 대용량 시스템 에어컨(VRF) 라인업이다. 건물의 크기, 특징, 용도에 따라 최적의 냉난방을 구현하는 게 특징이다. LG전자가 독자 개발한 고효율 인버터 컴프레서를 탑재했으며, 실내외 온도뿐 아니라 습도까지 자동으로 감지해 절전효과를 높여준다. 극한의 온도에서도 최적의 성능과 안전성을 보장한다. 블루레이크는 지난 2002년 설립된 회사다. 에어컨, 난방, 냉장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도매·유통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어 가정
[더구루=홍성환 기자] 차세대 4차원(4D) 이미징 레이더 칩셋 솔루션 기업 아브로보틱스(Arbe Robotics)가 인공지능(AI) 기반 이미징 레이더 기술을 공개했다. [유료기사코드] 아브로보틱스는 독일 자동차 제조업체 BMW가 추최하는 국제 무선 산업 컨소시엄(International WIreless Industry Consortium·IWPC) 자동차 센서 아키텍처 컨퍼런스에 참여했다고 2일 밝혔다. 아브로보틱스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이미징 레이더 기술을 소개했다. 아브로보틱스가 개발한 최신 AI 알고리즘은 레이더와 카메라 데이터를 실시간 융합을 통해 고속·장거리 환경에서 물체 감지와 추적 기능을 제공한다. 벤 라트하우스 아브로보틱스 부사장은 "우리는 도로에서 안전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동차 센서 기술의 한계를 지속해서 확장하고 있다"면서 "AI 알고리즘과 이미징 레이더 기술의 시너지를 통해 자율주행 인식 기능을 발전을 보여줄 것"이라고 전했다. 아브로보틱스는 지난 2015년 설립된 차세대 4D 이미지 레이더 칩셋 솔루션 제공업체다. 이스라엘에 본사를 두고 있다. 자율주행차량 및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의 고해상도 감지를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이 반도체용 연마제의 핵심 원재료인 셰륨화합물을 일본에서 가장 많이 수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일본 내 가격 동향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3일 코트라 후쿠오카무역관에 따르면 국내 셰륨화합물 수입 시장에서 일본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34.4%를 기록했다. 일본에도 한국은 미국(2344만5183달러·약 300억원) 다음으로 많은 2위 수출국(1818만1207달러·약 240억원)이다. 대부분 반도체용 연마제 제조에 쓰인다. 셰륨은 은백색의 금속 희토류 원소다. 자외선을 잘 흡수하고 공기 중에 산화되기 쉽다. 셰륨산화물은 유리의 주요 성분인 이산화규소와 화학 반응을 일으켜 연마제뿐만 아니라 적층 세라믹 콘덴서, 서미스터 등 전자재료로 활용된다. 지난 4월 기준 다이이치 희소원소화학공업과 태양광공업, 고순도화학연구소 등이 일본 내 주요 세륨 제조사로 꼽힌다. 업계는 일본에서 가장 많은 셰륨화합물을 수입하고 있는 만큼 지속적인 가격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세륨은 희토류 원소 중 매장량이 풍부한 편에 속해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다. 고순도화학연구소에 따르면 25㎏ 기준 △산화세륨(순도 3N) 8000엔(약 7만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물산이 투자한 미국 '포윈(Powin)'이 제조 솔루션 공급업체와 손을 잡는다. 에너지저장장치(ESS) 생산성을 개선, 증가하는 수요에 적기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3일 포윈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달 "확장되는 미국 고객과 프로젝트를 더 잘 지원하기 위해 자빌(Jabil)과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포윈은 자빌을 통해 자사 ESS인 스택750(Stack750)을 생산한다. 스택750은 모듈형 ESS로 1500VDC의 전압을 제공하며 2시간 이상 작동 가능하다. 20년 동안 성능 보증을 지원한다. 포윈은 자빌을 통해 ESS 제조 역량을 강화하고 차세대 ESS 플랫폼 개발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자빌의 전력 엔지니어링 전문 지식과 글로벌 제조 공간·공급망에 대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생산량을 늘리고 안정적인 현지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전 세계적인 탄소 중립 정책으로 신재생에너지 설치량이 늘며 ESS도 확대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우드맥킨지에 따르면 지난해 4.8GW였던 미국 ESS 설치량은 2023~2027년 사이에 75GW까지 급증할 전망이다. 1989년 설립된 포윈은 미국 오클랜드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들을 앞세워 인도 시장에서 고속질주하고 있다. 현지 SUV 시장 공략과 더불어 신차 출시와 전기차 시장 공략을 병행, 판매량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만큼 인도 시장에서 입지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2일 현대차 인도법인(HMIL)에 따르면 현대차는 5월 인도 시장에서 총 5만9601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16.26% 증가한 수치다. 내수 판매는 전월(4만2293대) 대비 14.91% 증가한 4만8601대, 수출은 전년(8970대) 대비 22.63% 급증한 1만1000대를 기록했다. 현지 전략형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크레타와 베뉴가 실적을 견인했다는 설명이다. 타룬 가르그(Tarun Garg) HMIL 최고운영책임자(COO)는 "크레타와 베뉴 덕에 지난달 두 자릿수 성장을 일굴 수 있었다"며 "가장 최근 출시한 세단 모델 올 뉴 베르나 세단 역시 좋은 반응을 얻으며 실적을 뒷받침했다"고 부연했다. 현대차는 신규 소형 SUV 모델 엑스터 출시를 토대로 판매 모멘텀을 이어갈 계획이다. 엑스터는 코드명 'Ai3'로 알려진 현지 전략형 모델이다. 그랜드 i10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산업용 레이저 전문기업 '트럼프(TRUMPF)'가 중국에 새로운 거점기지를 마련했다. 갈수록 거세지고 있는 미국의 대중 수출 규제에도 아랑곳 않고 중국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7일 트럼프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중국 광동성 심천(선전)시에 신규 레이저 응용 센터를 오픈했다. 심천 사업장은 트럼프가 세계에서 9번째, 중국에서 2번째로 설립한 레이저 기술 연구개발 시설이다. 트럼프는 1923년 설립돼 100여 년의 업력을 자랑하는 유서깊은 회사다.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 핵심 장치를 개발한다. 독일 자이스·프라운호퍼 IOF 연구소, 네덜란드 ASML, 벨기에 아이멕 등 1200여 개 기업·대학·연구소와 함께 'EUV 얼라이언스'에 소속돼 있다. EUV 장비에서 EUV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플라즈마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플라즈마는 진공상태에서 EUV 광원에 탄산가스를 공급하고 이를 증폭시킨 뒤 주석(Sn)과 결합해 발생된다. 트럼프는 이 과정에서 필수 소재인 탄산가스 레이저 설비를 제조한다. 트럼프는 2000년 장쑤성 소주시에 전액 출자 자회사를 설립하며 중국 시장에 첫 발을 내딛었다. 심천시와 소주시 외에
[더구루=정등용 기자] 인텔이 이스라엘 자율주행 기업 모빌아이(Mobileye) 지분 일부를 매각한다. 신규 투자 자금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7일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인텔은 14억8000만 달러(약 1조9300억 원)의 투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모빌아이 지분 일부를 매각할 예정이다. 매각은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가 주관한다. 모빌아이가 미국 규제 당국에 제출한 계획안을 보면 인텔은 모빌아이 주식 3500만 주를 매각하고 525만 주를 추가로 매각할 수 있는 옵션을 보유하고 있다. 인텔이 모빌아이 지분 일부를 매각하더라도 지분율은 88%에 이를 전망이다. 인텔의 모빌아이 지분 매각 계획은 투자 자금 확보 차원으로 풀이된다. 앞서 패트릭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제조 기술을 빠르게 발전시키기 위해 관련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인텔은 지난 2017년 153억 달러(약 17조5600억 원)에 모빌아이를 인수했다. 이후 모빌아이는 지난 2022년 10월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됐으며 현재까지 2배 이상 주가가 급등했다. 올해 주가 상승률은 21%에 이른다. 모빌아이는 지난 1999년 설립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