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한아름 기자] 대만 싱글몰트 위스키 카발란(Kavalan)이 롯데면세점과 손잡고 국내 위스키 마니아 입맛 잡기에 나선다. 국내 위스키 열풍에 카발란 인기도 뜨겁다. 카발란의 국내 유통사 골든블루도 훈풍을 불어 넣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카발란이 다음달 롯데면세점 명동본점에서 플래그십스토어를 연다. 카발란은 콘서트마스터 포트 캐스트 피니시 한정판 선물 세트(이하 콘서트마스터 세트)를 선보인다. 알코올 도수는 40%며 판매가는 75유로(약 11만원)다. 콘서트마스터 세트는 포트 캐스트 위스키 700㎖와 카발란 클래식·디스틸러리 셀렉트 넘버원 미니어처(50㎖) 두병으로 구성돼 있다. 포트 캐스트 위스키는 아메리칸 오크 캐스트에서 숙성한 다음 포르투갈 루비 포트 와인 바리끄에서 마무리된다. 루비 포트 와인 풍미가 두드러지면서 맛이 한층 부드러워졌다는 평가다. 건포도와 딸기잼, 자두 등 과일의 풍성한 맛과 바닐라 향이 함께 느껴진다는 점이 특징이다. 카발란이 롯데면세점과 함께 국내 시장 판로 확대를 꾀하는 모습이다. 주류업계의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한 MZ세대가 '믹솔로지'(Mix+Techonology)와 직접 '홈텐딩'(홈+바텐딩) 열풍
[더구루=한아름 기자] 캐나다 대마초 기업 캐노피 그로스 코퍼레이션(Canopy Growth Corporation·이하 캐노피 그로스)이 미국 대마초 재배 기업 에이크리지 홀딩스(Acreage Holdings·이하 에이크리지)를 품는다. 캐노피 그로스는 이번 인수를 통해 대마초 재배 기술력을 확보하고 미국 시장 입지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캐노피 그로스가 에이크리지를 3억4000만달러(약 4710억원)에 인수한다. 지난 2019년 체결한 인수 계약이 5년 만에 급물살을 탔다. 양사는 당시 미국에서 대마초 규제가 완화되면 인수 계약을 진행하기로 했다. 인수 완료 시기는 내년 상반기로 예상돼 있다. 인수 절차는 두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캐노피 그로스는 에이크리지 유동 주식을 인수한 다음 고정 주식까지 모두 인수한다는 계획이다. 인수 자금은 캐노피 그로스가 '앳더마켓 오퍼링'(At-the-market offering) 방식으로 조달한 2억5000만달러(약 3465억원) 규모의 자금을 활용한다. 앳더마켓 오퍼링은 기업이 실제 시세에 따라 주식을 내다 파는 방식이다. 캐노피 그로스는 에이크리지를 통해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한다는
[더구루=김형수 기자] CJ제일제당이 투자한 이스라엘 배양육 기업 알레프 팜스(Aleph Farms)가 대규모 인력 감축을 추진한다. 신규 투자 확보에 어려움을 겪자 구조조정을 통한 비용 절감을 추진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이스라엘 테크 전문매체 C테크(C TECH) 등 외신에 따르면 알레프 팜스는 전체 인력의 30%를 대상으로 하는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인력 감축 절차가 마무리되면 현재 약 100명인 알레프 팜스 직원은 약 70명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대체 단백질 기업에 대한 투자가 과거만큼 이뤄지지 않으면서 경영이 힘들어지자 알레프 팜스가 대응에 나서는 것으로 분석된다. 대체 단백질 분야에 대한 관심 감소, 이스라엘의 경우 하마스와의 분쟁 등으로 인한 안보 불안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현지 업계에서는 지난해 이스라엘 배양육 업체에 대한 투자가 80%가량 급감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글로벌 투자 감소비율(45%)의 2배에 가까운 수치다. 현지 업계 관계자는 "알레프 팜스는 올해 지난해 보다 많은 투자를 유치할 것을 기대했을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현재 이스라엘 전체 시장이 불황을 겪고 있으며, 기업들은 비용 감축을
[더구루=한아름 기자] 일본 1위 주류기업인 산토리가 현지 막걸리 시장에 가세, 하이트진로와 격돌한다. 특히 산토리가 한류 스타 장근석을 모델로 내세워 막걸리 시장에 적잖은 공을 들이고 있어 하이트진로의 반사이익이 기대된다. 여기에 현지 매체도 양사 제품을 비교하며 경쟁에 불을 지피고 있어 현지 막걸리 시장 규모도 크게 확대될 전망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 유명 잡지 도쿄워커(Tokyo Walker)는 자사 기자를 대상으로 △진로 막걸리 △진로 캔막걸리 △산토리 쏘울 막걸리 △포천 이동 닛코리 막걸리를 놓고 블라인드 테스트를 실시하고 이를 보도했다. 테스트 결과 진로 막걸리가 1·2위를 차지했다. 1위에 오른 진로 막걸리는 '막걸리 정석', '맛과 향이 뛰어나다' 등 호평을 받았다. 특히 여성 참가자 전원이 진로를 최고 막걸리로 뽑아, 여성 소비자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는 사실을 재확인했다. 진로 캔막걸리의 경우 탄산에 따른 청량감이 매력 포인트로 뽑혀 맥주 대항마로 평가받았다. 로컬 브랜드 '산토리 쏘울 막걸리'에 대한 호평도 이어졌다. 특히 칵테일로 활용할 수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였다. 하이트진로 입장에서는 일본 1위 주류기업인 산토리의 막걸리
[더구루=김형수 기자] CJ제일제당 비비고 만두가 미국 대형마트 체인 코스트코 '최고의 K푸드' 정상을 차지했다. CJ제일제당은 미국 식품 사업 확장하고 현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 식문화의 접근성을 높인다는 목표다. 비비고 만두에 이어 오리온 과자, 대상 종가 김치 등도 '톱10'에 진입했다. 27일 미국 코스트코에 따르면 CJ제일제당 비비고 소불고기 만두가 '최고의 K푸드’ 1위에 이름을 올렸다. 비비고 만두는 △맛 △조리 편의성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미국 라이프스타일 매체 퍼레이드(Parade)는 "CJ제일제당 비비고가 생산하는 만두는 정말 훌륭하다"면서 "커다란 만두 안에 간장으로 맛을 낸 소고기와 야채가 가득 들어있다. 양념이 끝내준다"고 호평했다. 비비고 소불고기 만두에 이어 비비고 치킨&실란트로 미니 완탕이 2위에 올랐다. 비비고 치킨&실란트로 미니 완탕은 에어프라이어 등을 활용해 5분간 간단히 조리하면 먹을 수 있다는 점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휴일 파티를 위한 애피타이저 메뉴로 제격이라는 평가다. 비비고 소불고기 만두와 비비고 치킨&실란트로 미니 완탕은 지난해 12월에 이어 이번에도 퍼레이드가 발표한 코스트코 '최고
[더구루=김형수 기자] KGC인삼공사가 글로벌 인삼시장을 이끌 핵심 기업으로 선정됐다. 아시아, 북미 사업 확대에 주력한 KGC인삼공사가 글로벌 시장에서 탄탄한 입지를 확보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26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퓨처마켓인사이츠(Futuremarketinsights)는 오는 2032년 글로벌 인삼 추출물 시장 규모가 5억6560만달러(약 787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2022년 2억6940만달러(약 3750억원) 규모였던 시장이 10년 동안 연평균 성장률 7.7%를 기록할 것이란 예상이다. 글로벌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인식 제고, 인삼 기업들의 인삼 추출물 기반 제품 포트폴리오 강화 등이 시장 성장 요인으로 꼽힌다. 퓨처마켓인사이츠는 "인삼 추출물은 식품에 항산화, 비만 억제, 스트레스 감소, 항염증, 항암 등과 같은 기능성을 더해줄 수 있다"면서 "건강기능식품 니즈가 늘어남에 따라 인삼 추출물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퓨처마켓인사이츠는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기업으로 KGC인삼공사를 뽑았다. KGC인삼공사는 스위스 클라리언트(Clariant), 미국 RFI 인그리디언츠(RFI Ingredients)
[더구루=이연춘 기자] 동서식품이 '생활 속에 향기를 더하는 동서식품'이라는 기업 슬로건에 따라 사회 곳곳에 따뜻한 삶의 향기를 더하고, 소비자에게 받은 사랑을 사회에 환원하기 위해 다양한 문화·예술분야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25일 동서식품에 따르면 격년마다 국내 최대 여성 신인 문학상인 ‘삶의향기 동서문학상’을 개최하고 실력 있는 신인 작가를 발굴하고 있다. 이번 제17회 삶의향기 동서문학상은 오는 10월 1일까지 자유 주제로 시, 소설, 수필, 아동문학(동화·동시) 등 총 4개 부문의 작품을 접수 받는다. 동서문학상 공모 기간 동안 글쓰기에 도전하고 싶은 이들을 위한 다양한 부대행사가 진행된다. 유명 작가가 글쓰기 노하우를 전수하는 ‘멘토링 클래스’, 온라인으로 일대일 글쓰기 지도를 받는 ‘멘토링 게시판’, 야외에서 진행하는 창작 워크숍인 ‘문학캠프’ 등 참가자들의 문학적인 성장을 돕는 여러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다. 이외에도 동서식품은 지난 25년간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을 후원하며 국내 바둑문화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다.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은 바둑계 최고수인 프로기사 9단에게만 참가 기회가 주어지는 권위 있는 대회다. 올해 개최된 제25회
[더구루=한아름 기자] 덴마크 맥주 제조 기업 칼스버그(Carlsberg)의 영국 음료회사 브리트빅(Britvic) 인수 계획이 최종 결렬됐다. 앞서 칼스버그는 브리트빅에 39억달러(약 5조6000억원) 규모의 인수를 제안한 바 있다. 칼스버그의 브리트빅 인수를 통해 비알코올 음료 시장 입지를 강화하려던 계획이 무산됐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브리트빅 이사회가 칼스버그의 인수 제안을 두차례 거절하며 인수 논의가 사실상 물거품이 됐다. 야콥 야룹-안데르센(Jacob Aarup-Andersen) 칼스버그 최고경영자(CEO)는 “당사의 장기적 성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칼스버그는 브리트빅 인수에 실패하면서 비알코올 시장 입지를 강화할 만한 새로운 전략을 모색한다는 입장이다. 브리트빅은 펩시코와 프랜차이즈 병입 계약을 통해 영국에서 펩시, 7UP, 마운틴듀 등의 음료를 생산하고 있다. 칼스버그는 현재 노르웨이와 스웨덴에서 펩시 병입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만큼 브리트빅을 인수하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판단이다. 이밖에 브리트빅은 로빈슨스, R. 화이트 레모네이드 등 유명 비알코올 음료 브랜드도 보유하고 있다
[더구루=이연춘 기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셋째 아들인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전략본부장(부사장)이 주도하고 있는 사업인 파이브가이즈가 공격 행보에 나선다. 국내 론칭 1주년을 맞아 지방 진출과 배달, 기프트 카드 등 서비스를 확대한다. 지난해 6월 서울에 첫 매장을 연 미국 햄버거 브랜드 파이브가이즈(FIVE GUYS)가 26일로 국내 론칭 1주년을 맞았다. 1년 만에 전 지점이 ‘글로벌 TOP10’에 오르는 대기록을 세운 한국 파이브가이즈는 ‘맛과 품질’을 바탕으로 프리미엄 버거 시장을 계속 선도한다는 방침이다. 파이브가이즈 국내 운영사인 에프지코리아에 따르면 △강남 △여의도 △강남 고속버스터미널 △서울역 등 4개 지점이 ‘글로벌 TOP10 매장’에 모두 이름을 올렸고, 론칭 초기를 제외하곤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파이브가이즈는 15가지 무료 토핑을 활용해 ‘나만의 버거’를 만들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 서비스를 통해 고객의 선호를 반영하는 동시에 다양한 맛의 경험을 선사했다. 온라인에는 유명 인플루언서와 고객들이 작성한 ‘파이브가이즈 베스트 토핑 조합’ 관련 게시물이 여럿 올라왔다. 국내산 신선 감자로 만든 프라이즈도 큰 인기를 끌었다. 파이브가이즈는
[더구루=한아름 기자] 콜마그룹 해외사업 담당 계열사 콜마글로벌이 베트남 건강기능식품 시장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컨디션 징코'를 전면에 내세워 마케팅을 강화하고 사업성을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콜마글로벌이 베트남에서 컨디션 징코를 할인 판매하며 가격 경쟁을 본격화했다. 기존(39만동)에서 45% 가격을 낮춰 17만5500동에 판매한다. 컨디션 징코는 콜마글로벌이 지난 2021년 베트남에 출시한 현지 전략형 제품으로, 뇌 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기식이다. HK이노엔의 대표 제품 '컨디션' 브랜드를 따 한류에 익숙한 현지 소비자를 집중 타깃했다. 은행나무잎에서 추출한 유효성분인 징코는 △인지·기억력 등 뇌기능 활성화 △혈액순환 개선 등에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 콜마글로벌이 컨디션 징코를 콜마글로벌을 대표하는 얼굴 상품으로 꼽고 사업 확대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컨디션 징코로 현지 소비자 구매 비용 부담을 덜어준 다음 추가 구매를 유도하고 건기식 시장 점유율 확대를 노리고 있다는 것. 콜마글로벌이 베트남 건기식 시장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크레던스 리서치(Credence Research)가 베트남 건기식 시
[더구루=한아름 기자] 삼양식품 불닭챌린지가 글로벌 곳곳에서 재점화됐다. 덴마크 정부가 불닭볶음면 일부 제품을 리콜(회수)하면서 해외 시장에서 다시금 각광을 받고 있다. 실제 유튜브, 틱톡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불닭챌린지가 재생산되는 데다 각종 외신에서도 이를 주목하고 있다. 24일 구글 검색 트렌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불닭 검색량은 지난 12일 덴마크 정부 리콜 발표 직후부터 2주 새 수직 상승했다. 검색량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어 24일 현재 5월 평균치를 웃돌고 있다. 구글 웹 검색량 기준으로는 '덴마크', '불닭 리콜', '불닭 덴마크'가 2주새 급등 검색어 1위~3위를 기록했다. 이어 덴마크에서 금지된 불닭'(buldak banned in denmark) 검색량은 2950% 증가했다. '불닭 리콜'(buldak ramen recall)은 2250% 늘었다. 유튜브 검색량 기준 1위 검색 키워드는 '덴마크 불닭'(Denmark buldak)이었다. 특히 상위 검색어 기준 불닭챌린지(Fire Noodle Challenge) 검색량이 1850% 늘었다. 불닭볶음면(лапша buldak) 검색량은 1000% 늘어나는 등 불닭 관련 검색어를
[더구루=이연춘 기자] bhc치킨이 태국에 5호점과 6호점을 연이어 오픈하며 매장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bhc는 올해 1월 태국 bhc 1호점을 첫 오픈한 이래, 6개월 만에 방콕 대형 쇼핑몰과 유동 인구가 많은 주요 지역에 6개 매장을 오픈하는 등 태국 시장을 빠르게 파고들고 있다. bhc는 태국 방콕에 ‘리버티 플라자(LIBERTY PLAZA)점’과 ‘bhc 시암센터(bhc Siam Center)점’을 각각 오픈했다고 24일 밝혔다. 5호점인 ‘리버티 플라자점’은 최근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트렌디한 거리인 통로(Thonglor)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딜리버리 전용 매장이다. 다이닝 매장과 동일한 메뉴 구성을 통해 bhc 치킨의 모든 메뉴를 배달로도 즐길 수 있도록 했으며, 태국 현지 배달 플랫폼 1위 업체와 단독 제휴하여 배달 시장에서도 강력한 입지를 다지고 있다. 6호점인 ‘bhc 시암센터점’은 방콕 대형 쇼핑몰 시암센터에 입점했다. 시암센터는 현지 고객들의 높은 관심을 받는 패션과 F&B 중심의 쇼핑몰로, 특히 푸드코트가 잘 발달되어 있어 외국인 관광객들에게도 인기가 많은 방콕 핫플레이스 중 하나다. bhc 치킨 관계자는 "올해 태국에 추가
[더구루=홍성일 기자] 핀란드 연구진이 양자컴퓨터의 핵심인 큐비트(qubit)를 안정적으로 더 오래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향후 수백, 수천개 큐비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다가선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핀란드 알토대학교 연구팀은 트랜스몬(transmon) 큐비트의 결맞음 시간(coherence time) 1.02밀리초(ms)를 기록했다. 알토대 연구팀의 기록은 기존 최고 기록(0.6ms)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결과다. 트랜스몬 큐비트는 기존 반도체 제조 기술을 활용해 만든 초전도 회로를 말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7월호에 게재됐다. 알토대 연구팀은 그동안 큐비트의 결맞은 시간을 더욱 장시간 유지하는데 집중해왔다. 결맞음 시간은 양자컴퓨터의 연산 단위인 큐비트가 양자 상태를 유지하며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으로, 결맞음 시간이 길수록 양자 연산 오류 발생 가능성이 줄어들 뿐 아니라 더 많은 큐비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연구팀은 큐비트의 양자중첩 상태가 붕괴되는 '결어긋남(decoherence)'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통제된 클린룸에서 큐비트를 구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가 현지 소형 원전 스타트업인 라스트에너지(Last Energy)와 합의 절차에 돌입했다. 소형모듈원자로(SMR) 인허가 권한 일부를 주정부에 이관하고 관련 절차를 간소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NRC의 규제 권한이 약화될 경우, 차세대 원전인 SMR 시장에 상당한 파장이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E&E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전 NRC 고위 관계자는 "NRC와 라스트에너지가 주정부에 SMR 사업에 대한 허가 권한을 일부 넘기는 방식으로 합의할 수 있다"고 전했다. 양측은 미국 텍사스동부지방법원에서 SMR 규제 문제를 다퉈왔다. 원고인 라스트에너지, 미 유타·텍사스 주정부는 1956년에 제정된 'AEC(NRC의 전신) 규정'을 문제 삼았다. 해당 규정은 모든 민간 상업용 원전이 규모와 상관없이 무조건 인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원고 측은 NRC의 규정이 자국 원자력법의 취지를 무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원자력법에 따라 △국가 안보에 중대한 위협을 미칠 정도록 많은 핵물질을 사용하거나 △공공의 건강과 안전에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상업용 원전만 NRC의 인허가 대상이라는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