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해양진흥공사가 홍콩과 대만에서 외국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외화채권 투자설명회를 열었다. 24일 해양진흥공사에 따르면 공사는 지난 9일부터 12일까지 홍콩과 대만에서 공사 외화채권 발행 관련 ‘논-딜 로드쇼(Non-deal roadshow, 거래비수반 투자설명회)’에 참가했다. 공사는 홍콩 내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은행 등을 상대로 투자설명회를 진행했으며 여기에는 핌코(Pimco) 등 총 10개사가 참여했다. 또한 대만 내 증권사와 은행을 대상으로도 투자설명회를 열었는데, 타이페이 푸본 뱅크(Taipei Fubon Bank) 등 총 4개사가 함께 했다. 공사는 "이번 행사가 채권 주요 투자처인 아시아에서 공사 사업 현황과 정부 정책 연관성 등을 설명하는 자리였으며, 공사의 인지도 제고와 투자자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상반기 채권 발행과 관련해 잠재적 투자자 확보 및 투자자 성향·피드백을 수집해 채권 발행 전략으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더구루=진유진 기자] 인도네시아가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의 국제 탄소거래소(IDX Carbon)를 공식 개장했다. 이를 통해 한국을 포함한 해외 기업들이 인도네시아의 탄소 크레딧을 거래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인도네시아 탄소거래소가 지난달 20일부터 탄소 크레딧 판매를 국제적으로 확대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열대우림을 보유한 국가로, 이를 활용해 탄소 배출권 시장을 키우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열대우림을 보존하며 탄소 크레딧을 생성하는 '프리미엄 탄소 크레딧' 시장에서 높은 잠재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인도네시아는 탄소 크레딧을 늘리기 위해 자체적인 감축 노력도 이어가고 있다. 자바섬에서 진행한 전력 프로젝트를 통해 총 248만 톤(t)의 이산화탄소(CO2e)를 감축했으며, 일부 석탄화력발전소도 폐쇄했다. 지난해 10월 취임한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기존 목표(2060년)보다 10년 앞당긴 2050년에 탄소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를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와 국제 탄소 시장 개방에 적극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인도네시아는 국제 탄소 시장에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에
[더구루=진유진 기자] 다국적 광산기업 앵글로 아메리칸(Anglo American)이 칠레 국영 광산기업 코델코(Codelco)와 손잡고 구리 개발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협력은 글로벌 구리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생산성과 수익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앵글로 아메리칸은 20일(현지시간) "당사가 지분 50.1%를 보유한 자회사 앵글로 아메리칸 수르 SA(Anglo American Sur SA)와 코델코가 함께, 칠레 로스 브론세스(Los Bronces)·안디나(Andina) 구리광산을 공동 개발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양사는 오는 2030년부터 21년간 총 270만 톤(t)의 구리를 추가로 생산할 계획이다. 가치로 따지면 최소 50억 달러(약 7조1770억원)에 이를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계약에 따라 양사는 협력 관계를 확대하면서도 각각의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유지한 채 독립적인 채굴·운영을 지속할 방침이다. 코델코의 안디나 광산은 리오 블랑코(Rio Blanco)와 수르 수르(Sur Sur) 광산을 포함해, 지난 2023년 16만4500t의 구리를 생산했다. 앵글로 아메리칸의 핵심 사업장인 로스 브론세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최대 석유 기업 엑슨모빌(Exxon Mobil)이 칠레 리튬 확보를 추진하며 전기차 배터리 원자재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한다. 화석 연료 사업을 넘어 신성장 동력에 박차를 가하는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엑슨모빌은 칠레 정부 관계자들과 만나 리튬 투자 가능성을 논의할 예정이다. 엑슨모빌이 지난 2023년 미국 내 리튬 생산 계획을 발표한 데 따른 것으로, 글로벌 리튬 공급망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앞서 엑슨모빌은 지난 2023년 미국 아칸소주 리튬 염호를 인수하면서 본격적인 리튬 채굴을 시작했다. 아칸소 염호에는 탄산리튬 환산 기준(LCE) 400만 톤(t)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전기차 약 5000만 대분의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이를 계기로 엑슨모빌은 SK온과 최대 10만t 규모의 리튬 공급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SK온이 공급받을 리튬은 엑슨모빌이 아칸소주 리튬 염호에서 직접 리튬 추출(DLE) 방식으로 생산할 계획이다. DLE 기술은 기존 채굴 방식보다 탄소 배출이 적어 친환경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엑슨모빌은 오는 2030년부터 연간 전기차 100만 대 분량의
[더구루=정등용 기자] 김창범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상근부회장이 아이르랑가 하르타르토 인도네시아 경제조정부 장관을 만나 광물 공급망 협력을 논의했다. 오는 4월 예정된 한경협 경제사절단 방문에 인도네시아 지원도 요청했다. 김창범 상근부회장은 17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경제조정부 청사에서 하르타르토 장관을 예방했다. 이날 만남에서 두 사람은 "복잡해지는 글로벌 무역 관계에서 안정적인 광물 공급망 확보를 위해 양국 간 협력이 보다 긴밀해져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 했다. 하르타르토 장관은 “경험과 선진 기술을 보유한 국가와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것은 국가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기술 이전을 가속화 할 뿐만 아니라 더 넓은 시장으로 진출하는 데 중요한 전략적 단계”라고 말했다. 김 부회장은 오는 4월 예정된 한경협 경제사절단의 인도네시아 방문 계획을 전달하고 지원을 당부했다. 김 부회장은 “이번 경제사절단은 한국의 대(對)인도네시아 산업투자 확대 등 신규 투자 분야에서 비즈니스 및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인도네시아 대사를 역임했던 김 상근부회장은 지난 2023년 한경협에 합류했다. 지난 1981년 15회 외무고
[더구루=진유진 기자] 중국이 글로벌 니켈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다. 배터리 핵심 원자재인 니켈의 전략적 가치가 높아지면서 중국 기업들이 자원 확보에 나서고 있다. 다국적 광산기업 앵글로 아메리칸(Anglo American)은 지난 18일(현지시간) "중국 광산기업 MMG의 싱가포르 법인 MMG 싱가포르 리소스(MMG Singapore Resources)에 니켈 사업부를 매각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거래는 최대 5억 달러(약 7170억원) 규모로, 규제 승인 등 절차를 거쳐 올해 3분기 내 마무리될 전망이다. 매각 대상에는 브라질 니켈 제련소인 바로 알토(Barro Alto)·코데민(Codemin) 사업장과 함께 개발이 예정된 자카레(Jacaré)·모로 셈 보네(Moro Sem Bone) 프로젝트가 포함됐다. 이번 매각은 지난해 세계 최대 광산기업이자 경쟁사인 BHP가 앵글로 아메리칸 인수를 시도했다가 실패한 이후, 앵글로 아메리칸이 사업 구조를 재편하는 과정에서 이뤄졌다. 던컨 완블라드 앵글로 아메리칸 최고경영자(CEO)는 "니켈 사업 매각을 통해 구리와 철광석 등 핵심 사업에 집중할 것"이라며 "이번 계약과 지난해 11월 체결한 제강용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육군 공병대(US Army Corps of Engineers)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 선포에 따라 600개 이상의 에너지·인프라 프로젝트를 신속히 진행할 계획이다. 육군 공병대가 긴급 허가 처리 대상으로 지정된 600여 개의 에너지·인프라 프로젝트 목록을 최근 웹사이트에서 공개했다. 대부분 화석 연료 기반 프로젝트로 △캐나다 에너지 인프라 기업 엔브리지(Enbridge)의 5호선 송유관 △미국 에너지 기업 셰니어 에너지(Cheniere Energy)와 벤처 글로벌(Venture Global)이 제안한 액화천연가스(LNG) 수출 터미널 △여러 천연가스 발전소 등이 포함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20일 취임 첫날 행정명령을 통해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육군 공병대에 습지 매립과 수로 준설·건설 인허가를 신속히 발급할 것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육군 공병대는 공식 공문 없이 해당 목록을 공개했다. 더그 가먼 육군 공병대 대변인은 "행정명령과 관련된 허가 신청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비상 권한을 활용해 인프라 개발을 가속화하려는 전략으로,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더구루=진유진 기자] 스위스 광산업체 글렌코어(Glencore)가 런던증권거래소(LSE)에서 뉴욕증권거래소(NYSE)로 이전을 검토 중이다. 게리 네이글(Gary Nagle) 글렌코어 최고경영자(CEO)는 19일(현지시간) "현재 우리 증권이 거래되기에 가장 적합한 거래소가 어디인지 평가하고 있다"며 "뉴욕증권거래소 같은 더 나은 옵션이 있다면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글렌코어는 지난 2011년 런던에 상장된 이후 유럽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돼 왔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 자본 시장의 변화와 미국 투자 환경의 우위를 고려해 뉴욕 이전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앞서 글렌코어는 석탄 사업을 분사해 뉴욕 증시 상장을 추진할 계획이었으나, 지난해 분사가 취소되면서 이를 보류했다. 미국은 유럽에 비해 화석연료 기업에 대한 규제가 덜하며, 특히 뮤추얼 펀드 투자 성향에서도 차이가 있다. 독일 도이치뱅크에 따르면 유럽 뮤추얼 펀드의 48%가 석탄 투자를 배제하는 반면, 미국은 1% 미만으로 그 차이가 크다. 네이글 CEO는 "이번 검토는 미국 새 행정부나 화석 연료 정책과는 무관하며, 단순히 글렌코어에 적합한 거래소를 찾기 위한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런던증권거래
[더구루=진유진 기자] 한국광해광업공단(KOMIR)이 멕시코 볼레오(Boleo) 구리 광산 매각 절차 일환으로 잠재 매수 기업의 실사에 앞서 현장점검을 진행했다. 20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따르면 송병철 광해광업공단 경영관리본부장이 지난 12일부터 17일까지 멕시코를 방문해 볼레오 광산을 둘러보고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잠재 매수기업의 현장 실사를 앞두고 광산 운영 현황을 사전 점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광해광업공단은 지난 2023년 2월 볼레오 광산 지분 매각 공고를 발표했다. 공동 매각자문사로 EIP자산운용과 캐나다 임페리얼 상업은행 자회사 CIBC 캐피탈 마켓을 선정했다. 잠재 원매자들에게 티저 레터를 배포하고, 해외 개발 업체들과 접촉하며 인수 의향을 조사하고 있다. 매각 대상은 광해광업공단이 보유 중인 MMB(Minera y Metalurgica del Boleo) 지분 88.06%다. MMB는 볼레오 광산 운영을 담당하는 법인으로, 해당 지분을 인수하는 기업은 광산 운영권을 확보하게 된다. 주주 간 계약에 따라 또 다른 주주인 KBC(Korean Boleo Corporation)와 캐나다 캠로바(Camrova Resou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구리 광산 기업 '프리포트 맥모란(Freeport McMoRan)'의 인도네시아 자회사 '프리포트 인도네시아(PT Freeport Indonesia)'가 인도네시아 정부에 구리 정광(불순물을 제거한 구리 광석) 수출 허가를 공식 요청했다. 프리포트 인도네시아가 이달 중 구리 정광 선적을 재개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정부의 결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토니 웨나스 프리포트 인도네시아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18일(현지시간) "정부에 수출 금지 조치를 완화하고, 오는 12월까지 약 50억 달러(약 7조원)에 달하는 구리 정광 130만 톤(t)을 수출할 수 있도록 허용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프리포트 인도네시아는 지난해 10월 동부 자바 만야르 지역 구리 제련소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현재 수리 작업을 진행 중이다. <본보 2024년 12월 9일 참고 '세계 최대' 인도네시아 만야르 구리 공장, 화재 여파로 내년 중순 정상 가동> 게다가 지난해 말 마지막 수출 허가가 만료된 이후 구리 정광을 수출하지 못하면서 재고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구리 채굴 작업은 전체 생산 능력의 40% 수준으로 축소된 상태다.
[더구루=진유진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가 올해 연말 금 가격 전망치를 3100달러로 올렸다. 골드만삭스는 17일(현지시간) 보고서를 통해 "기존 온스당 2890달러였던 올해 말 금값 전망치를 31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고 발표했다. 근거로는 중앙은행의 금 매입 수요 증가와 정책 불확실성을 꼽았다. 골드만삭스는 "중앙은행의 금 매수 수요가 구조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펀드 금리가 하락하면서 상장지수펀드(ETF) 금 보유량이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정책 불확실성이 지속될 경우 금값이 올 연말 온스당 3300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도 제시했다.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은 기존 월평균 41톤(t)에서 50t으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골드만삭스는 금 매수 전략을 재차 권고하며, "일시적인 가격 조정이 있더라도 금은 여전히 강력한 헤지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골드만삭스는 지난해 11월에도 미국의 재정 지속가능성 우려로 금값이 온스당 3150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한 바 있다. 당시 보고서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2기 행정부 출범으로 정책 변화가 예상되며, 인플레이션과 재정 리스크에 대한 우려로 중앙은행들의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국중부발전과 한국서부발전이 오만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 수주를 놓고 경쟁한다. 오만 국영 발전사 나마파워앤드워터는 18일 500㎿(메가와트) 규모 이브리-3 태양광 발전단지 개발 사업의 최종 후보 사업자 네 곳을 선정했다. 국내 기업 가운데 중부발전과 서부발전이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중부발전은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국영기업 마스다르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입찰서를 제출했다. 서부발전은 프랑스 국영기업 EDF리뉴어블스와 팀을 꾸려 참여했다. 국내 두 곳을 포함해 모두 네 개 컨소시엄이 경쟁한다. 이 사업은 오만 수도 무스카트에서 서쪽으로 약 200㎞ 떨어진 내륙 도시인 이브리 지역에 500㎿급 민자 태양광 발전단지를 개발하는 것이다. 총사업비는 1억5500만 오만리알(약 5800억원)에 이른다. 오는 2027년 1월 준공이 목표다. 서부발전은 이미 오만 태양광 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 앞서 지난달 오만 마나 태양광발전소를 준공했다. 이 발전소는 무스카트에서 남서쪽으로 170㎞ 떨어진 곳에 여의도 면적의 약 2.6배, 설비용량 500㎿ 규모로 건설했다. 총사업비는 약 6000억원에 달했다. 오만 정부는 2030년까지 태양광·풍력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빅테크 기업 텐센트(Tencent)가 새로운 인공지능(AI) 추론(reasoning) 모델을 출시한다. 텐센트는 올해 AI 부문 자본 지출도 확대하기로 하며 딥시크(DeepSeek)로부터 촉발된 '중국산 AI' 경쟁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텐센트는 중국 베이징 표준시간 기준 21일 오후 11시, 새로운 AI 추론 특화 모델인 '훈위안 T1(Hunyuan T1)' 출시 행사를 진행한다. 훈위안 T1은 텐센트 독자 생성형 AI 모델인 '훈위안'의 추론 특화 모델이다. 추론 모델은 학습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간과 유사한 사고 과정을 거쳐 이용자의 질문에 최적의 답변을 제공하고, 어떤 과정으로 답변을 도출했는지 단계별로 보여준다. 반면 비추론 모델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답변만 빠르게 제공한다. 훈위안 T1은 딥시크의 추론 모델인 R1과 유사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텐센트는 기존 트랜스포머 아키텍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맘바(Mamba) 아키텍처와 전문가 혼합(MoE·Mixture of Experts) 기술 등을 도입했다. 맘바 아키텍처는 입력된 토큰이 늘어나면 속도가 줄어드는 트랜스포머 아키텍처의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업 '오클로(Oklo)'가 아이다호국립연구소(INL)와 '오로라' 상용화를 위해 힘을 합치기로했다. 원전 건설에 따른 환경 훼손 우려를 사전에 해소하고, 이해관계자들과 적극 소통하고자 부지 조사 과정에서 관련 책임을 명시한 계약에 서명했다. [유료기사코드] 오클로는 20일(현지시간) INL과 인터페이스 계약(Interface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인터페이스 계약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 간 책임과 절차, 기준 등을 규정하는 문서이다. 오클로는 이번 계약을 통해 부지 조사 과정에서 환경 규제를 엄격히 준수하고 지역사회와도 상생을 꾀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INL, 미 에너지부(DOE)와 긴밀히 소통해 발전소 부지의 지질과 수질, 생태계 등을 포괄적으로 검토한다. 지역 원주민인 쇼쇼니 배녹 부족(Shoshone Bannock Tribes)과도 협력해 문화유산·생태계에 미칠 영향을 조사한다. 제이컵 드위트(Jacob DeWitte) 오클로 공동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첫 번째 첨단 원전 건설에 한 걸음 더 나아갔다"며 "효율적이면서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개발을 진행하는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