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진유진 기자] 뉴질랜드 유일의 알루미늄 제련 시설인 뉴질랜드 알루미늄 제련소(NZAS)가 2044년까지 안정적인 운영 기반을 확보했다. 뉴질랜드산 알루미늄을 대거 수입해 온 한국은 알루미늄 공급망 안정성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뉴질랜드 남섬 티와이 포인트(Tiwai Point)에 위치한 NZAS는 지난 5월 뉴질랜드 공기업 메르디안 에너지(Merdian Energy)와 20년 장기 전력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당초 이달 폐쇄될 예정이었던 NZAS는 이번 계약을 통해 운영을 연장했으며, 수력 발전을 포함한 재생 가능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게 됐다. 이번 계약에는 뉴질랜드 전력 생산량의 약 13%를 소비하는 NZAS 특성을 고려해 전력망 안정성을 보장받는 조항도 포함했다. 현재 NZAS에서 생산된 알루미늄의 약 90%는 수출되고 있다. 한국은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뉴질랜드산 알루미늄을 수입하는 국가다. 지난해 한국은 2억5900만 달러 규모 알루미늄을 수입, 뉴질랜드 알루미늄 총 수출량의 약 29.9%를 차지했다. 이는 한국기업들이 뉴질랜드산 알루미늄의 친환경성을 높게 평가하고, 안정적인 공급망으로 인정하고 있음
[더구루=진유진 기자] 아랍에미리트(UAE)가 현재까지 발견된 유전만으로도 향후 80년 이상 세계 최고 수준의 산유국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UAE산 원유가 한국 경제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운데 UAE와의 에너지 협력 관계를 견고히 다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14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UAE 일일 원유 생산량은 지난해 기준 약 294만 배럴로, 지난 1980년대 180만 배럴과 비교해 60% 이상 증가했다. UAE는 오는 2027년까지 일일 500만 배럴 생산을 목표로 대대적인 인프라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UAE는 주요 산유국 간 협의체인 OPEC+의 생산량 감축 합의 등으로 인해 지난 10년간 하루 약 300만 배럴 수준의 생산을 유지해왔음에도 여전히 원유 매장량 세계 5위, 수출 세계 6위를 기록하고 있다. UAE 원유 매장량은 지난해 기준 1130억 배럴로, 전 세계 매장량의 9%를 차지한다. UAE의 주요 원유 수출국은 대부분 아시아에 집중돼 있다. 한국은 UAE의 4대 원유 수출국으로, UAE 원유의 약 14.2%를 수입하고 있다. UAE산 원유는 지난 10월 누계 기준으로 한국 전체 원유 수입의
[더구루=진유진 기자] 중국 다중쾅예(大中矿业·Dazhong Mining)가 탄산리튬을 대량 매장한 첫 번째 리튬 광산을 개장한다. 이번 발표로 리튬 광산 개발 사업에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며, 글로벌 리튬 배터리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다중쾅예는 지난 9일(현지시간) 전액 출자 자회사 청저우 청타이 광업투자 유한책임회사(郴州市城泰矿业投资有限责任公司)를 통해 후난성 린우현 지자오산(Jijiaoshan) 광구 통톈먀오(通天庙) 채굴 구역의 리튬 광산 자원량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최근 중국 천연자원부로부터 평가 승인을 받은 해당 리튬 광산은 총 광석량 4억8987만 톤(t), 산화 리튬 매장량 131만3500t, 평균 산화 리튬 함유율 0.268%로 집계됐다. 산화 리튬과 탄산리튬 간 환산 계수(1:2.47)를 적용하면, 해당 광산의 탄산리튬 환산량은 약 324만4300t에 달한다. 다중쾅예는 이번 결과가 회사 예상치를 초과했으며, 해당 광산이 대규모 광물 자원 기준에 부합한다고 설명했다. 린푸정 다중쾅예 비서실장은 "이번 자원 평가 결과 확정에 따라 채굴 구역 개발 계획과 환경 복구 계획 수립을 시작했다"며 "향후 탐사권을 채굴권으로 전환하
[더구루=진유진 기자] 한국과 타지키스탄이 광물 자원 협력을 강화하며 양국 간 파트너십이 본격화되고 있다. 타지키스탄의 풍부한 자원에 한국의 첨단 기술을 접목해 자원 개발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 대표단은 지난 9일(현지시간) 타지키스탄 수도 두샨베에서 열린 양국 간 광물 자원 협력 첫 라운드 테이블에 참석했다. 이날 한국 대표단은 전성식 주타지키스탄 대사를 중심으로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기타 과학·연구 기관 대표들로 구성됐다. 타지키스탄 측에서는 일홈존 오이무함마드조다 지질학본부 본부장과 외무부, 산업·신기술부, 국가 광물 매장량 위원회 대표 등이 자리했다. 이번 회의에서 양국은 △첨단 기술을 활용한 지질 탐사 △현대식 광산·가공 공장 건설 △인력 교육 △타지키스탄 광물·원자재 단지 개발을 위한 한국 투자 유치 등 협력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 특히 한국은 첨단 기술과 데이터 분석 인프라, 광산 개발 경험 등을 제공하고, 타지키스탄은 풍부한 자원과 인력 자원, 현장 조사 등을 맡는 협력 모델을 공유했다. 데이터 처리를 위한 현대식 실험실과 타지키스탄 전문가 교육을 위한 센터 설립도 의제로 다뤄졌다
[더구루=진유진 기자] 영국-호주 광산 기업 리오 틴토(Rio Tinto)가 아르헨티나 리튬 프로젝트 확장을 위해 추가 투자에 나선다. 이번 투자를 통해 배터리용 탄산리튬 생산 능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리튬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포부다. 리오 틴토는 12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살라르 델 린콘(Salar del Rincón) 리튬 프로젝트 생산 능력을 연간 6만 톤(t)으로 확대하기 위해 25억 달러(약 3조5810억원)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투자로 기존 3000t 규모 스타터 플랜트에 5만7000t 규모 확장 플랜트를 추가 건설할 예정이다. 확장 공사는 관련 허가 절차에 따라 오는 2025년 중반에 시작되며, 2028년 첫 생산을 목표로 한다. 생산 초기 3년 동안 점진적으로 생산량을 늘려 최대 6만t에 도달할 계획이다. 광산 수명은 40년으로 예상된다. 린콘 프로젝트는 아르헨티나 '리튬 삼각지대' 중심부에 위치한 리오 틴토의 첫 상업적 규모 리튬 사업장으로, 직접 리튬 추출(DLE) 기술을 도입해 개발하고 있다. 리오 틴토의 이번 투자는 지난 10월 67억 달러(약 9조6020억원) 규모 아카디움 리튬(Arcadium Lithium) 인수에
[더구루=진유진 기자] 글로벌 경제가 핵심 광물 자원을 둘러싼 치열한 경쟁에 돌입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에너지 전환과 첨단 산업 발전에 필수 자원인 핵심 광물 확보 전쟁은 가속화될 전망이다. 13일 영국 컨설팅 업체 베리스크 메이플크로프트(Verisk Maplecroft)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72개국이 보호무역주의 물결 속에서 핵심 광물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정학적 긴장과 공급망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베리스크는 198개국을 대상으로 에너지·광업 분야 보호주의와 개입주의를 측정하는 자원 민족주의 지수(RNI)를 분석했으며, 지난 5년 동안 보호주의 정책이 급증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유럽과 북미에서 경제와 안보를 보호하려는 전례 없는 국가 개입이 두드러지고 있다. RNI는 △자원 몰수 △엄격한 재정 제한 부과 △국내 재화와 서비스 이용 압력 등 정부의 자원 통제 정도를 수치화한 지표다. 유럽 국가들은 자국 중심 공급망 구축을 위해 적극적인 보호주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독일은 에너지·광물 자원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RNI 순위 122계단 하락을 감수하면서도 정책 강화를 선택했다. 러시아-우크라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유일 코발트 생산업체인 저보이스 글로벌(Jervois Global)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정책에 우려를 나타냈다. 무분별한 관세 적용이 아닌 전략적 판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저보이스 글로벌의 미국 사업 책임자인 매튜 렌게리히는 최근 미국 뉴욕에서 열린 로이터 넥스트 콘퍼런스에 참석해 “관세는 조심히 다뤄야 한다”면서 “우리가 원하는 것은 망치가 아닌 메스 같은 접근 방식”이라고 말했다. 미국에서 코발트와 리튬, 기타 주요 광물을 생산하는 대다수 업체들은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어왔다. 중국 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예상보다 낮은 수준으로 값싼 금속을 공급해왔기 때문이다. 이에 내년 1월 취임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중국 외에 캐나다와 멕시코 등 여러 국가에 광범위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상황이다. 최근에는 트럼프 당선인이 관세를 활용해 미국 채굴 사업을 강화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렌게리히는 “트럼프 당선인은 중국과의 치열한 경쟁에 직면한 미국 광산업체들을 지원하기 위해 관세를 무턱대고 부과하기보다는 전략적으로 배치해야 한다”고 조
[더구루=진유진 기자] 글로벌 광산기업 BHP와 리오 틴토(Rio Tinto)가 호주 사업장에서 여성 근로자들에게 조직적 성희롱과 성차별을 조장한 혐의로 집단소송에 직면했다. 광업계 내 성희롱과 성차별 문제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이번 소송이 양사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로펌 'JGA 새들러(JGA Saddler)'는 11일(현지시간) 호주 연방법원에 BHP와 리오 틴토를 상대로 두 건의 집단소송 소장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소장에 따르면 양사는 고위험 상황에 여성 근로자들을 고의로 노출시키고, 불만을 제기할 경우 강등·해고 또는 추가 차별로 보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소송에는 양사 여성 근로자 수천 명이 참여했다. 조슈아 에일워드(Joshua Aylward) JGA 새들러 변호사는 "BHP와 리오 틴토는 여성 근로자들이 높은 개인적 위험에 직면할 수 있음을 알면서도 방치했다"며 "이번 소송은 직장에서 침묵할 수밖에 없었던 피해자들에게 목소리를 낼 기회를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소송에 참여한 익명의 원고는 호주 사업장에서 보안 요원으로 근무하는 동안 매주 성희롱을 겪었다고 주장했다. 동료 직원들로부터 원치 않는 성적인 메시지와 사진, 동
[더구루=정등용 기자] 호주 광산업체 시라 리소스(Syrah Resources)가 모잠비크에서 가동 중인 발라마(Balama) 흑연 광산 프로젝트의 디폴트(채무불이행)를 선언했다. 모잠비크 부정선거에 반대하는 시위가 이어지며 광산 가동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탓이다. 시라 리소스를 통해 안정적인 천연흑연 수급을 모색했던 포스코퓨처엠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유료기사코드] 시라 리소스는 12일 발라마 흑연 광산 프로젝트에 대해 디폴트를 선언했다. 시라 리소스는 “지속적인 부정 선거 반대 시위로 인해 미국 국제개발금융공사(DFC) 및 미국 에너지부(DOE)와 맺은 대출 채무를 이행할 수 없게 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시라 리소스는 지난 10월 성명을 통해 발라마 흑연 광산 프로젝트에 장기적인 자본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 국제개발금융공사로부터 1억5000만 달러(약 2150억원) 규모의 구속력 있는 대출을 받았다고 밝혔다. 또한 미국 에너지부를 통해서는 미국 내 다운스트림 처리 시설을 건설하기 위해 약 9800만 달러(약 1400억원)를 지원 받았다. 하지만 지난 10월 초부터 진행된 부정 선거 반대 시위가 사업에 직격탄이 됐다.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이번 시위로
[더구루=진유진 기자] 세계 최대 구리 생산국 칠레가 오는 2025년 구리 생산량을 540만~560만 톤(t)으로 전망했다. 칠레의 구리 생산과 가격 전망이 글로벌 시장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집중된다. 칠레광업협회(Sonami)는 11일(현지시간) 내년 칠레 구리 생산량이 540만~560만t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내년 구리 가격은 파운드당 4.2~4.5달러 수준에서 형성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칠레 광업 업계 주요 전망치를 반영한 것이다. 앞서 칠레 중앙은행은 지난 9월 내년 평균 구리 가격을 파운드당 4.25달러로 내다봤다. 이는 기존 전망치인 4.30달러에서 소폭 하향 조정된 수치다. 칠레는 올해부터 오는 2033년까지 광업 분야에 약 831억8000만 달러(약 119조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대비 27% 증가한 규모로, 이번 투자 확대는 광업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칠레는 지난 2년 동안 사상 최저 수준의 생산량을 끌어올리기 위해 노후화된 공장 개선과 광석 품질 저하 문제 해결 등 수십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를 추진해 왔다. 그 결과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생산량을 회복했으며, 구리 프로젝트 차질에서도 벗어나고
[더구루=진유진 기자] 세계 최대 귀금속 기업 헤레우스 귀금속(Heraeus Precious Metals)이 주요 중앙은행의 추가 금리 인하와 달러 약세 전망으로 인해 금 가격이 내년까지 사상 최대치를 연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안전자산으로서 금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헤레우스는 10일(현지시간) 보고서를 통해 "금 가격이 오는 2025년까지 기록적인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다"며 "2025년 금 가격은 온스당 2450~2950 달러 수준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주요 중앙은행의 지속적인 금 매수와 우크라이나·중동발 지정학적 리스크가 금값 상승을 견인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과 인도의 수요도 금값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헤레우스는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이 효과를 발휘한다면 중국과 인도가 내년 금 수요를 견고히 지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중국 중앙은행 인민은행(PBOC)은 6개월간 중단했던 금 매입을 지난달에 재개했다고 발표했다. <본보 2024년 12월 9일 참고 中 중앙은행, 6개월 만에 금 매입 재개> 정치적 요인도 변수다. 헤레우스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미국 차기 대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에너지부(DOE)가 에너지 안보와 공급망 강화를 위해 핵심광물 연구사업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이번 투자는 자국 내 핵심광물 공급망 기반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미국이 에너지 전환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발판이 될 전망이다. 미 에너지부는 14개 프로젝트에 총 1700만 달러(약 250억원)를 투입한다고 1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해당 자금은 △수소 연료 전지 △고효율 모터용 자석 △고성능 리튬 이온 배터리 △고수율 저결함 전력 전자 장치 등 첨단기술 제조 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사업에 쓰일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미국 11개 주에서 진행되며, △리튬 △니켈 △코발트 △희토류 원소 △백금족 원소 △탄화규소 △구리 △흑연 등 핵심 소재를 대상으로 한 소규모 실증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핵심 소재 혁신의 위험을 줄이고 상업적 적용 속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제니퍼 그랜홀름(Jennifer M. Granholm) 미 에너지부 장관은 "에너지부는 차세대 기술에 필요한 핵심 소재의 국내 공급원을 활용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통해 해외 공급망 의존도를 줄이고 있다"며 "이번 투자는 미국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지역사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 최초의 수술 로봇이 규제 당국의 승인을 획득했다. 인도에서 로봇을 이용한 원격 수술의 길이 열리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 중앙의약품표준관리국(CDSCO)는 인도 최초 수술 로봇 시스템 'SSI 만트라(SSI Mantra)'의 원격 수술 및 원격 지도 분야 사용을 허가했다. SSI 만트라는 SS이노베이션이라는 업체에서 개발한 원격 수술 로봇이다. SS이노베이션에 따르면 SSI 만트라는 외과, 비뇨기과, 산부인과 등 다양한 과의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SSI이노베이션이 최근 출시한 SSI 만트라 3는 인도 최초의 원격 수술을 성공했다. 인도 최초 원격 수술은 담낭절제술이었다. SSI이노베이션은 본사에서 5km 가량 떨어진 월드 라파로스코피 병원과 손잡고 원격 수술을 진행했다. SSI 이노베이션은 이외에도 SSI 만트라 3를 활용한 수술도 2000건 이상 진행했다. 그 중 124건이 심장 수술이었다. SSI 이노베이션은 SSI 만트라 3가 높은 수술 정확도, 효율성으로 환자 치료 결과를 향상시켰다고 설명했다. SSI 이노베이션 관계자는 "SSI 만트라는 인구 대부분이 소도시와 시골 지역에 거주하는 인도 의료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반도체 설계 산업이 올해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점진적 회복 흐름과 미국의 대중 제재 심화로 중국이 반도체 기술 발전에 박차를 가한 결과로 풀이된다. 중국 기업들이 한국 반도체 기업들을 턱밑까지 추격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중국반도체협회에 따르면 올해 중국 반도체 설계 산업의 총매출은 약 6460억 위안(약 127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년 대비 11.9% 증가한 수치다. 웨이샤오쥔 중국반도체산업협회 집적회로 설계부문 회장은 지난 11일(현지시간) 열린 중국 반도체 설계 산업 연례회의(ICCAD 2024)에서 올해 산업 매출이 전년 대비 11.9% 성장해 6460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웨이 회장은 "중국 반도체 설계 산업이 양적 성장에서 질적 발전 단계로 전환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밝혔다. 중국 반도체 산업의 성장은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회복세를 보인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전년 대비 19% 성장하며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 더불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재집권과 대중 제재 강화로 인해 중국의 기술 자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