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 발전공기업이 러시아로부터의 석탄 공급을 받지 않기로 했다. 러시아산 고탄소배출 석탄(high-CV) 대신 호주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석탄을 들여온다는 방침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S&P 글로벌커머디티인사이트(Global Commodity Insights)는 한국중부발전, 한국남동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등 발전 공기업 5개사가 러시아로부터 연료 수입을 제한하고 호주와 남아프리카 석탄에 대한 현물 수요를 늘린다. S&P 글로벌커머디티인사이트는 철강, 원자재 및 에너지 분야 세계 최대 정보분석 기관이다. 발전 5개사는 정부의 러시아산 석탄 수입 감축을 요청받아 더이상 러시아산 석탄을 공급받지 않기로 했다. 이에 무역업체들에게도 러시아산 수입량을 전년도 수준인 2653만MT 이내로 유지하도록 요청했다. 세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7월 한국은 러시아에서 1738만MT의 석탄을 수입했지만, 5~7월 동안의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거의 39% 증가한 829MT으로 증가했다. 러시아의 총 석탄 수출은 작년 1억9260MT로 전년 대비 11.9% 증가했지만, 러시아 서방 제재로 올해 상반기에는 전년 대비
[더구루=오소영 기자] 영국 키네웰에너지(Kinewell Energy, 이하 키네웰)가 한국남동발전이 주도하는 완도금일해상풍력 사업에 참여한다. 전력 케이블 배치를 최적화하는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블루윈드엔지니어링은 키네웰과 완도금일 해상풍력 사업 파트너십을 맺었다. 블루윈드엔지니어링은 완도금일 해상풍력 발전단지의 기본설계(FEED)를 수행하고 있는 도화엔지니어링의 협력사다. 해외 해상풍력 전문 업체들과 도화엔지니어링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FEED 지원의 일환으로 키네웰과 손잡았다. 블루윈드엔지니어링은 인공지능(AI) 기반 케이블 레이아웃 소프트웨어인 KLOC(Kinewell Layout Optimisation of Cable)를 공급받는다. KLOC는 해상풍력 타워를 연결하는 인터 어레이(Inter –Array) 케이블을 적절히 배치하도록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다. 보다 효율적으로 케이블을 배치해 전력 생산성을 향상하도록 한다. KLOC를 활용하면 설비투자(CAPEX)의 약 20%를 줄일 것으로 알려졌다. 오정배 블루윈드엔지니어링 대표는 "키네웰 팀과 협력하고 KLOC 기술을 도입해 창출할 부가가치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남동발전이 주도하는 네팔 '어퍼트리슐리-1(UT-1) 수력발전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가배수터널 건설을 마무리하고 2026년 12월 완공에 한발 다가섰다. 2일(현지시간) 남동발전이 참여하는 특수목적법인 'NWEDC'(Nepal Water & Energy Development Co.)는 최근 길이 420m, 지름 5m의 가배수터널 공사를 마쳤다. 지난달 28일(현지시간)부터 트리슐리 강의 물길을 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가배수터널은 댐을 짓기 위해 강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바꾸고자 건설하는 터널식 수로다. 윤태학 NWEDC 법인장은 "물길 전환은 UT-1 건설에 중요한 성과다"라고 밝혔다. 가배수터널 관통으로 UT-1 발전소 건설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UT-1 발전소는 네팔 수도 카트만두에서 북쪽 70km에 위치한 트리슐리 강에 216㎿ 규모로 건설된다. 남동발전(50%)과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25%), 국제금융공사(IFC·15%) 등이 지분 투자한 특수목적법인 NWEDC가 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NWEDC는 2020년 10월 두산에너빌리티와 4200억원 규모의 EPC(설계·조달·건설) 계약을 체결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남동발전이 칠레 태양광 발전사업 2단계의 설비용량을 축소했다. 1단계 사업은 파트너사로부터 지분을 인수해 전체 지분을 100%로 확대했다. 남동발전은 작년 12월 29일 이사회에서 '칠레 태양광 발전사업 추진현황 보고안'을 의결했다. 남동발전은 2단계 사업의 설비용량과 투자비를 변경했다. 당초 칠레 산티아고 부근에 10.4㎿ 규모 태양광 발전소 7개(총 72.8㎿)를 건설할 계획이었으나 5개(52㎿)로 수정했다. 인허가가 지연되는 발전소 건설을 과감히 포기했기 때문이다. 총사업비는 9780만 달러(약 1270억원)에서 7070만 달러(약 910억원)로 줄었다. 남동발전의 투자비도 1470만 달러(약 190억원)에서 1140만 달러(약 140억원)로 축소됐다. 1단계 태양광 사업은 남동발전이 코파(COPA)펀드의 지분 50%를 인수하며 총지분이 100%로 확대됐다. 차입금 비중도 70%에서 75%로 상승했다. 달러-페소 환율이 650페소에서 950페소로 오른(폐소 가치 하락) 영향이다. 남동발전은 산티아고 인근과 북부 안토파가스타주 깔라마에 48.6㎿ 용량의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며 칠레 시장에 진출했다. 2018년 4월 준공해 20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국남동발전과 DL이앤씨, 롯데건설 등 한국 컨소시엄이 투자한 파키스탄 굴푸르(Gulpur) 수력 발전소가 전력 생산을 본격화하고 있다. 파키스탄 국영 컨설팅 기업 NESPAK은 19일 성명을 통해 "굴푸르 수력 발전 사업은 인증된 상업 운전을 달성했으며 국가 전력망을 위한 저렴한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NESPAK는 이 사업의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굴푸르 수력 발전소는 파키스탄 수도 이슬라마바드에서 남동쪽 167㎞ 떨어진 지역에 있는 102㎿(메가와트)급 발전소다. 남동발전과 DL이앤씨, 롯데건설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을 추진했다. 지난 2020년 3월 상업 운전을 시작했다. 남동발전은 30년 수력사업을 운영해 약 9400억원 상당의 전력을 파키스탄 정부에 판매할 예정이다. 굴푸르 수력 발전소는 지난해 유엔기후변화협약의 청정개발체제(CDM) 프로젝트로 정식 등록됐다. 이는 기후변화 협약 총회에서 채택된 교토의정서에 따라 개도국에 투자·지원해 달성한 온실가스 감축실적을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으로부터 인정받아 선진 산업국인 의무 감축국에 판매하도록 허용하는 제도다. 이에 남동발전은 굴푸르 수력사업을 통해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남동발전이 삼천포 천연가스 발전본부를 액화천연가스(LNG) 복합발전으로 연료 전환한다. 노후 석탄화력 발전소를 LNG 복합발전으로 대체 건설해 친환경 에너지를 생산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남동발전은 최근 이사회를 열고 '삼천포 천연가스발전사업 건설기본계획안'을 의결했다. 남동발전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노후 석탄화력인 삼천포 3, 4호기를 액화천연가스(LNG) 복합발전으로 연료전환 대체 건설한다. 삼천포 발전본부 내 제3회 처리장 일부 부지에 1120MW급 설비용량으로 LNG 복합싸이클 발전방식으로 설치한다. 약 1조2132억원을 직접 투자한다. 공사는 오는 2023년 12월 착공해 2026년 10월 준공한다. 총 35개월이 소요된다. 삼천포 발전본부는 국내 최초 500MW급 대용량 석탄화력발전소로서 총 설비용량 3240MW를 자랑하는 남부지역의 대규모 화력발전단지이다. 저열량탄을 활용한 친환경 연소기술 집중 개발 중이고, 탈황·탈질설비 등의 최첨단 환경설비를 설치하였으며 석탄회 재활용을 위한 정제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국내 최초의 태양광발전 상업운전, 세계 최초의 냉각수를 활용한 6000kW 해양소수력 개발·운전 등 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파키스탄 투자위원회(Board of Investment·이하 BOI)에 이어 한국남동발전이 현지 규제 당국에 목소리를 냈다. 갑작스러운 정책 변화와 불공정한 평가로 수력발전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남동발전의 파키스탄 수력발전사업 법인인 코아크 파워(KOAK Power Limited)의 윤안상 법인장은 최근 국가전력규제당국(NEPRA)에 서한을 보내 "파키스탄 정부가 'IGCEP'(Indicative Generation Capacity Expansion Plan)을 발표하기 이전부터 아스리트 케담(215㎿)·칼람 아스리트(238㎿) 사업을 추진해왔다"며 "이를 고려해달라"고 촉구했다. 파키스탄 당국은 전력수급계획인 'IGCEP'에 따라 발전사업을 두 가지(Candidate·Committed)로 분류하고 있다. 후자에 속해야 사업자는 정부로부터 필요한 인허가와 사업 면허를 획득하고 전력판매계약(PPA)을 체결할 수 있는데 남동발전의 수력발전 사업은 모두 후보(Candidate)에 들었다. 이로 인해 사업이 지연되면서 현지 법인에서 규제 당국에 서한을 보낸 것이다. 윤 법인장은 파키스탄 당국이 지난해 I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남동발전이 영국에서 추진하던 '폐기물 추출 에너지'(EfW·Energy from Waste) 발전 사업을 접는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남동발전은 요크셔주 크냅톤 지역에 11.2㎿급 EfW 시설을 짓는 사업을 종료하기로 했다. EfW 시설은 폐기물 내에 저장된 에너지를 추출해 연료, 열 또는 전기의 형태로 변환한다. 폐기물 매립에 드는 비용을 줄이고 전력 판매를 통해 수입을 올릴 수 있어 폐기물 매립·해양 투기를 금지한 유럽에서 주목받고 있다. 남동발전은 작년 7월 이사회에서 사업 안건을 의결하고 캐나다 자산운영사인 스프랏과 투자를 추진해왔다. 총사업비는 1575억원으로 남동발전이 472억5000만원을 부담하기로 했다. 발전소 지분은 남동발전과 스파랏이 각각 절반씩 보유한다. <본보 2021년 7월 7일 참고 남동발전, 英 폐기물 에너지 발전사업 참여…기대·우려 교차> 남동발전은 설계·시공에 착수해 2024년 4월 상업운전에 돌입할 계획이었다. 폐기물고형연료(RDF) 12만2000tpa를 처리한다는 계획이었지만 EPC(설계·조달·시공) 파트너의 모회사의 자금난으로 연대보증 제공이 불가능해지며 제동이 걸렸다. 남동발전은 대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남동발전이 파키스탄 수력발전 사업을 위해 특수목적법인(SPC) 설립하고 자본금 945억원을 출자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남동발전은 최근 이사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파키스탄 칼람 아스리트(Kaiam-Asrit) 수력발전사업의 SPC 설립과 자본금 출자안'을 의결했다. 남동발전은 이슬라마바드 북쪽 375km 지역에 238㎿급으로 칼락 아스리트 수력발전을 추진한다. 발전소는 BOOT(build, own, operate, transfer) 방식으로 진행된다. BOOT는 시설 완공 후 소유권이 사업주에 귀속돼 일정기간 운영 후 정부에게 소유권을 양도하는 방식이다. 에너지 발전의 품질관리와 국가 장악력 제고를 위해 BOOT 규정을 적용했다. 민간주체가 발전시설을 건립하더라도 최종 귀속권은 국가에게 돌아간다. 칼람 아스리트 수력발전의 연간 발전용량은 912.9GWh로 이용률은 43.7%이다. 상업운전은 건설 후 30년간이다. 남동발전은 SPC 최대주주이자 운영·유지관리(O&M)를 맡는다. 여기에 남동발전은 자본금 7740만 달러(약 945억원)를 출자한다. 재원은 자본금 25%에 대출금 75% 충당해 조달한다. 파키스탄 수력발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남동발전의 파키스탄 수력발전 사업이 인허가 관련 암초를 만났다. 해당 사업이 후보(Candidate)로 분류되면서 인허가에 난항을 겪고 있다. 다만 현지 투자위원회가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 최종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파키스탄 투자위원회(Board of Investment·이하 BOI)는 최근 국가전력규제당국(NEPRA)에 서한을 보내 "한국 기업이 참여하는 30억 달러(약 3조5910억원) 상당의 발전 사업이 공정하게 처리되지 않아 위험에 처했다"고 밝혔다. BOI가 거론한 수력발전 사업은 남동발전의 215㎿급 아스리트 케담·238㎿급 칼람 아스리트, 한수원의 496㎿급 로어스팟가·350㎿급 아트무쾀 프로젝트다. 남동발전과 한수원은 수력발전 사업에 각각 10억(약 1조1970억원), 20억 달러(약 2조3940억원)를 쏟은 것으로 추정된다. BOI는 파키스탄이 작년부터 전력수급계획인 'IGCEP'(Indicative Generation Capacity Expansion Plan)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남동발전과 한수원의 사업들을 후보(Candidate)로 분류했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인허가를
[더구루=선다혜 기자] 한국남동발전의 태양광연계 에너지저장장치(ESS)설비에 대한 유지보수가 허술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남동발전 영동에코발전본부는 지난해 3월 태양광연계 ESS설비를 준공 후 운영하고 있다. 통상 태양광 관련 설비는 '태양광 발전설비 경상정비공사'에 포함돼 별도의 유지보수 업체를 두고 관리해오고 있다. 그런데 ESS설비만 1년이 넘도록 유지보수와 관련한 점검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대신 에코발전본부 소속 전기부 직원이 일상적으로 점검을 해온 것이다. 이로 인해 태양광 관련 설비의 예방점검·정비기준 점검항목 및 점검기록표에도 ESS설비의 점검 내용만 누락됐다. ESS설비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나 비상상황에 신속 대응하기 위해 예방점검 및 유지정비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유지보수 업체를 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에너지 정책 변화에 따라 태양광 발전 사업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 사업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시설이 증가하면서 화재 등 안전사고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며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 ESS설비에 대한 유지보수 및 점검을 수행할 수 있는 업체를 두고 관
[더구루=선다혜 기자] 한국남동발전이 인천 옹진군 영흥발전소에 석탄회(석탄재) 저장시설을 증설한다. 이를 통해 일본산 석탄재 수입을 줄인다는 방침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남동발전은 최근 이사회를 열고 '영흥발전본부 재활용 사업계획안'을 상정했다. 해당 안건은 국내 석탄재 공급 확대를 위해 영흥발전소에 사일로 4기(총 2만t 규모)와 발전소 옥내저탄장(shed) 1기(3만t 규모)를 신설하는 것이 골자다. 사일로는 밀폐형 저장설비로 석탄재나 석회가루 등이 날리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쓰인다. 옥내저탄장은 영흥발전본부 내 석탄발전소를 위한 석탄 저장고다. 착공은 내년 3월이며, 오는 2023년 6월 완공이 목표다. 사업비는 290억원이 투입된다. 해마다 석탄재 1만5000t를 향후 10년 동안 국내 시멘트 기업에게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남동발전은 이를 통해 매년 37억원에 달하는 수입 대체 효과(총 370억원)를 기대하고 있다. 앞서 지난 2019년 국내 시멘트 기업이 일본 화력발전소 석탄재를 수입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석탄재 재활용 문제가 불거졌다. 당시 정부와 시멘트 업계는 남동발전을 비롯한 발전 공기업을 대상으로 일본산 석탄재 수입 대체를 위한 대안 마련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레드우드 머티리얼즈(이하 레드우드)가 처음으로 전기 상용차 부문에서 첫 고객사를 확보했다. 일본 이스즈와 북미에서 전기 상용차 배터리 재활용에 협력한다. 고객사 저변을 넓히고 북미 배터리 재활용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운다. 4일 레드우드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이스즈 북미 법인(Isuzu Commercial Truck of Americ)과 전기 상용차 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레드우드가 중대형 상용차 회사와 협력하는 첫 사례다. 레드우드는 이스즈의 배터리 셀과 모듈, 팩, 소재 등을 받아 미국과 캐나다에서 재활용을 추진한다. 레드우드와 이스즈는 사우스캐롤라이나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어 지리적 인접성을 토대로 시너지를 낼 전망이다. 레드우드는 지난 2022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 인근에 약 35억 달러(약 5조300억원)를 투자해 240만 ㎡ 규모의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짓는다고 발표했다. 오는 3분기 운영을 시작한다. 이스즈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피에몬테에 약 2억8000만 달러(약 4200억원)를 쏟아 전기 상용차 공장을 건설 중이다. 2027년부터 운영을 시작하고 이듬해 확장
[더구루=정등용 기자] 전고체배터리 제조사 퀀텀스케이프(QuantumScape)가 상장 과정에서 제기된 신탁의무 위반소송에서 최종 합의에 도달했다. [유료기사코드] 4일 미국 델라웨어주 고등법원에 따르면 퀀텀스케이프와 경영진은 주주인 셰드릭 리차드가 제기한 신탁의무 위반소송에서 875만 달러(약 120억원)를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리차드는 퀀텀스케이프가 상장을 위해 켄싱턴 캐피탈 에퀴지션(Kensington Capital Acquisition)과 역합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신탁의무를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역합병은 인수회사가 없어지고 피인수회사가 존속하는 합병 방식이다. 리차드는 회사 경영진이 충분한 실사 없이 합병을 서둘러 주주보다 자신들의 재정적 이익을 앞세웠다고 지적했다. 켄싱턴 캐피탈 에퀴지션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로 지난 2020년 6월 상장했다. 이후 같은해 9월 퀀텀스케이프 인수 계획을 발표했으며, 11월25일 최종 거래가 성사됐다. 퀀텀스케이프는 지난 2010년 설립된 전고체배터리 제조사다. 퀀텀스케이프의 전고체 배터리는 음극재 역할을 고체 상태의 분리막 위에 형성된 리튬메탈층이 대신하는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