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이주연 기자] 빗썸 인수를 추진 중인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FTX가 추가 자금 조달에 나섰다고 하는데요. 관련 내용들, 홍성일 더구루 기자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1> FTX가 빗썸을 인수하려는 이유, 배경은 어떻게 되나요. <질문2> 이전 7월 기사에서 보면, JP모건 같…
[더구루=이주연 기자] 국내 디스플레이·반도체 장비 회사 '코윈디에스티'가 중국에 매각 됐다는 기산데요. 관련 내용들, 김병용 더구루 편집국 수석 에디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코윈디에스티 어떤 회사인가요. <질문 2> OLED 출하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요. 대부분이…
[더구루=이주연 기자] 세원이앤씨의 OLED 광치료 패치가 미국 식품의약국 FDA의 승인을 받아 연말부터 생산된다고 하는데요. 관련 내용들, 김병용 더구루 편집국 수석 에디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FDA의 승인을 받았다는 게 어떤 의미 인건가요. <질문 2> 바이든 행정부가…
[더구루=이주연 기자] 삼성SDI가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의 설계를 내년에 확정하고 생산에 본격 돌입한다는 기산데요. 관련 내용들, 김병용 더구루 편집국 수석 에디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4680 배터리 어떠한 장점이 있는 건가요. <질문 2> 미국 내 우리 기업의 배터리 공장…
[더구루=이주연 기자] 기아가 독일 스타트업인 앙코르와 손잡고 600조원 시장 규모의 폐배터리 사업에 나선다고 하는데요. 관련 내용들, 김병용 더구루 편집국 수석 에디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완성차 업체가 폐배터리 업체와 계약을 체결한 것이 이례적이라고 하는데요. <질문…
[더구루=이주연 기자] 며칠 간 방산 관련 기사들 차례대로 살펴볼텐데요. 관련 내용들, 김병용 더구루 편집국 수석 에디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 기사는 폴란드가 한국산 포켓포 천무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는 기사인데요. <질문 1> 우리 방산 업체들이 무기를 빠르게 공급할 수 있는 이유…
[더구루=이주연 기자] 한화큐셀 프랑스 법인 큐에너지는 프랑스 최대 규모인 66MW 규모의 수상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한다고 30일 밝혔는데요. 관련 내용들, 김병용 더구루 편집국 수석 에디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한화큐셀이 프랑스에서 태양광 프로젝트 4건 수주했다는 기사가 3…
[더구루=이주연 기자] 나노신소재가 우리 돈 약 663억 원을 투자해 미국 켄터키 주에 공장을 짓는다고 하는데요. 관련 내용들, 김병용 더구루 편집국 수석 에디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기사에서 계속해서 CNT도전재 이야기가 나오는데 CNT도전재의 뜻이 탄소나노튜브 도전재라고…
[더구루=이주연 기자] 현대로템이 모로코 정부와 K2 전차 조달 협상을 시작했다고 하는데요. 관련 내용들, 김병용 더구루 편집국 수석 에디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유럽에 이어서 중동시장까지 공략에 나섰는데 모로코에 구체적인 수출 규모, 금액은 어느 정도 될까요. <질문 2&g…
[더구루=이주연 기자] 삼성전자, GS그룹, 위메이드 등의 투자를 받은 가상자산 운용사 하이퍼리즘이 카카오의 블록체인 플랫폼인 클레이튼의 네임서비스에 베팅했다고 하는데요. 관련 내용들, 홍성일 더구루 기자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블록체인 네임서비스란 어떤건가요. 간단하게…
[더구루=이주연 기자] 이집트 정부가 한화디펜스와 공동 생산을 추진 중인 K9 자주포 수출을 위해 중동 아프리카 지역의 일부 국가들과 수출 협상을 이미 진행 중인 것으로 밝혀졌다고 하는데요. 관련 내용들, 김병용 더구루 편집국 수석 에디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2월에 이집트, 최…
[더구루=이주연 기자] 2차전지 리사이클링 기업 성일하이텍이 미국 조지아주에 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설립한다고 하는데요. 관련 내용들, 김병용 더구루 편집국 수석 에디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성일하이텍이 우리 기업으로는 처음 미국 폐배터리 시장에 진출했는데 의미가 남다를…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닛산이 오는 2028년 전고체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한발 앞선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통해 상대적으로 뒤쳐져 있는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7일 영국 자동차전문지 오토카(Autocar)에 따르면 데이비드 모스 닛산 유럽 연구개발(R&D) 수석 부사장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차세대 전기차 사업 로드맵을 공유했다.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이루고 코발트 프리 리튬이온배터리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전고체 배터리 관련 구체적인 타임라인도 제시했다. △오는 2025년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공장 가동 △2026년 엔지니어링 작업 마무리 △2028년 전고체 배터리 기반 전기차 대량 양산을 이뤄낸다는 목표다. 닛산은 리튬이온배터리 대비 성능과 비용면에서 모두 뛰어난 전고체 배터리를 출시한다는 방침이다. 에너지밀도가 2배, 충전 속도가 3배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비용은 리튬이온배터리의 절반으로 낮춘다는 계획이다. 예를 들어, 오는 2028년까지 팩 기준 kWh당 75달러를 달성하고 이후 65달러까지 줄여나갈 예정이다. 닛산은 전고체 배터리와 함께 리튬이온배터리 개발도 지
[더구루=정등용 기자] 폐기물 처리용 로봇을 생산하는 리사이클아이(Recycleye)가 추가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리사이클아이는 신기술 연구·개발에 자금을 적극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리사이클아이는 7일 DCVC가 주도한 시리즈A 펀딩 라운드를 통해 1700만 달러(약 213억 원)를 모금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 라운드에는 △프로머스 벤처스 △플레이페어 캐피털 △MMC 벤처스 △크리에이터 펀드 △에이티피컬 △씨야 안드로메다가 주요 투자자로 참여했다. 앞서 리사이클아이는 지난 2021년 500만 달러(약 63억 원)의 투자를 유치한 데 이어 유럽·영국 정부 등으로부터 혁신 자금 260만 달러(약 32억 원)를 지원 받기도 했다. 지난 2019년 빅토르 드울프 최고경영자(CEO)와 피터 헤들리 최고기술경영자(CTO)가 공동 설립한 리사이클아이는 AI(인공지능)를 기반으로 한 쓰레기 수거 로봇을 생산하고 있다. 로봇은 리사이클아이가 독점 개발한 AI 모델을 활용해 플라스틱과 알루미늄, 종이, 판지 같은 폐기물을 자동으로 분류해 수거하는 기능을 한다. 폐기물 처리 업체는 재료 분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리사이클아이는 가정과 기업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