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이주연 기자] 지난 주 금요일 마감한 뉴욕 증시, 11월 고용보고서와 파월 의장의 발언에 주목하며 3대 지수 혼조세를 보이며 마감했습니다. 다우지수는 0.1% 오르며 34,429.88에 나스닥은 0.18% 하락한 11,400 선에, S&P500지수는 0.12% 내림세를 나타내며 4,000 선에서 거래를 마…
[더구루=이주연 기자] 세계 1위 리튬 생산업체 중국의 간펑리튬이 배터리 자회사 간펑리에너지를 분사해 상장을 추진한다고 하는데요. 지난 28일 업계에 따르면 간펑리튬은 배터리 자회사를 분사해 선전증권거래소에 상장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간펑리튬은 증자를 통해 간펑리에너지에 약 3850억원…
[더구루=이주연 기자] 오늘은 반도체 관련한 기사들 차례대로 보겠습니다. 삼성전자가 미국 퀄컴의 차기 반도체인 스냅드래곤8 3세대를 생산할 전망이라고 하는데요. 이러한 전망을 제시하는 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먼저 TSMC의 3나노 공정 양산이 지연됐다는 건데요. TSMC는 핀펫 방식의…
[더구루=이주연 기자]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들의 협의체인 닥사가 결국 위믹스를 상장폐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지난 24일 오후, 닥사는 빗썸과 코인원, 업비트, 코빗 등 국내 4대 코인 거래소에서 위믹스 거래지원종료를 결정했다고 발표했는데요. 이에 위메이드 장현국 대표는 25일 오전 긴급기자회…
[더구루=이주연 기자] 지난주는 금요일은 블랙프라이데이 연휴로 인해서 조기 폐장을 하며 거래량이 축소된 모습인데요. 3대 지수, 혼조세를 보이며 마감했습니다. 다우지수는, 0.45% 오르며 3만4천 선에, 나스닥은, 0.52% 하락한 1만 1천 2백 선에 마지막으로 S&P500 지수는, 0.03% 내림세를…
[더구루=이주연 기자] 오늘은 로보택시 관련 기사부터 보겠습니다. 현대자동차의 미국 자율주행 합작법인인 모셔널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이어 로스앤젤레스에서도 로보택시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하는데요. 현지시각 17일 모셔널은 차량공유업체 리프트와 함께 로스엔젤레스 고객들을 대상으로 로보택…
[더구루=이주연 기자] 오늘은 니켈 관련 기사부터 보겠습니다. 현지시각 14일 차이롄서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모로왈리공단에 위치한 중국 CNGR의 니켈 매트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하는데요. 이번 화재로 CNGR 니켈 매트 생산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 당분간 니켈 공급의 불확…
[더구루=이주연 기자]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암호화폐 위믹스의 상장폐지 결정이 연기되면서 상장 유지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하는데요. 국내 5대 거래소 공동협의체 닥사는 지난17일 공지를 통해 위믹스의 투자 유의 종목 지정을 24일까지 연장한다고 밝혔습니다. 닥사는 지난달 27일 위믹스를 투자 유의…
[더구루=이주연 기자] 지난 주 금요일 마감한 뉴욕 증시, 3대 지수 일제히 상승 마감했습니다. 다우지수는 0.59% 오르며 33,000선에 나스닥은 0.01% 상승한 11,100선에, S&P500지수는 0.48% 오름세를 나타내며 3,960선에서 거래를 마쳤습니다. 자세한 미국 증시 상황, 최영희 더구루 증권·…
[더구루=이주연 기자] 캘리포니아 금융보호혁신국 DFPI가 지난 10일 FTX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FTX가 결국 유동성 위기로 파산하자 미국 내 주 당국 차원에서 처음으로 관련 조사에 들어간건데요. DFPI는 조사 공표와 함께 이번 사태로 인한 피해 사실 등을 접수 중이며 현재까지 파산한 FTX의…
[더구루=이주연 기자] 미국이 폴란드에 이어 루마니아 원전 수주도 유력할 걸로 보인다는 기사 먼저 보겠습니다. 지난 9일 미국 수출입은행은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신규 원전 사업에 대한 여신의향서를 발급했다고 밝혔는데요. 이에 따라 수출입은행은 총 90억달러, 체르나보다 원전 사업비 중 약 3분의 1…
[더구루=이주연 기자] 테슬라가 독일 베를린에 기가팩토리를 증설할 계획이라는 기사부터 보겠습니다. 테슬라는 지난 3월 착공 2년 여만에 베를린 기가팩토리 가동을 시작했는데요. 지난 10일 베를린의 오더-슈프레 지구에 따르면 테슬라는 연내 증설을 위한 관련 서류를 제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테슬…
[더구루=정등용 기자] 핀테크 스타트업 인스크라이브(Inscribe)가 신규 투자 자금을 조달했다. 인스크라이브는 향후 전체 인력을 두 배로 늘리는 데 투자 자금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인스크라이브는 31일 드레스홀드 벤처스가 주도한 시리즈B 펀딩 라운드를 통해 2500만 달러(약 300억 원)의 자금을 모금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 라운드에는 크로스링크 캐피털과 파운드리, 언코크 캐피털이 참여한 가운데 박스 공동 설립자인 딜런 스미스와 인터콤 공동 설립자 데스 트레이너가 개인 투자자 자격으로 이름을 올렸다. 인스크라이브는 지난 2021년 4월 시리즈A 펀딩 라운드로 모금한 1050만 달러(약 130억 원)를 포함해 총 3800만 달러(약 468억 원)의 자금을 확보하게 됐다. 인스크라이브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문서 사기 탐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로 핀테크나 금융 산업의 사기 위험을 탐지하고 있으며 수 억 개의 데이터 포인트에서 훈련된 AI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최근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미국 핀테크 기업은 매년 사기로 인해 평균 5100만 달러(약 628억 원)의 손실을 입고 있다. 인스크라이브는 자체 개발한 AI
[더구루=오소영 기자] NXP반도체(이하 NXP)와 넥스페리아 등 네덜란드 업체들이 제조한 반도체가 러시아 무기에 대거 탑재된 정황이 포착됐다. 유럽연합(EU)의 제재를 피해 중국 업체들이 네덜란드산 반도체를 사고 러시아에 재판매한 것으로 드러났다. [유료기사코드] 지난 27일(현지시간) 네덜란드 공영방송 NOS에 따르면 익명의 러시아 회사 3곳은 네덜란드산 반도체를 사 무기 제조에 활용했다. 작년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지난달까지 수백 건의 주문이 이뤄졌다. 대부분 NXP와 넥스페리아가 제조한 반도체로 곡사포와 순항미사일, 공격헬기 등에 쓰였다. 러시아 무기에서 네덜란드산 반도체가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러시아 드론에는 NXP와 넥스페리아의 반도체가 쓰인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가 전쟁에 동원하고 있는 이란산 카미카제 드론에도 NXP의 반도체 탑재가 확인됐다. 영국 이코노미스트지는 싱크탱크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는 지난해 우크라이나의 요청으로 러시아 무기에 탑재된 반도체를 조사한 결과 27개 중 10개에 NXP 반도체가 활용됐다고 발표했었다. RUSI 소속 핵확산 전문가 제임스 번 선임연구원은 "이 칩(네덜란드산 반도체)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