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이연춘 기자] GC녹십자는 독자적으로 구축한 LNP(Lipid Nanoparticle) 플랫폼 기반의 희귀질환 비임상 연구 결과가 SCIE급 국제학술지인 ‘Molecular Therapy-Nucleic Acids’에 게재됐다고 4일 밝혔다. 현재 시판 중이거나 임상 단계에 있는 대부분의 mRNA-LNP 치료제·백신은 반복 투약 시 간 독성 및 과도한 면역 반응 문제가 발생해 만성 질환 영역으로의 개발이 제한적이다. GC녹십자는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공지능(AI)과 구조-활성 관계(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분석을 사용한 지질 라이브러리를 구축했으며, 이를 통해 최적의 LNP를 선별할 수 있는 독자적 LNP 플랫폼을 마련했다. 회사측은 이번 연구에 자체적으로 개발한 mRNA와 LNP가 사용됐으며, 이를 페닐케톤뇨증(PKU)과 숙신산세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결핍증(SSADHD) 동물 모델에 적용해 그 효능과 안전성을 검증했다고 설명했다. 동물 시험에서 GC녹십자의 LNP는 간으로 전달돼 기존 임상에서 검증된 LNP 대비 뛰어난 단백질 발현을 보였고, 질환을 유발하는 독성 대사 물질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더구루=김명은 기자] 패션 플랫폼 '무신사(MUSINSA)'가 2025년 가을/겨울 시즌을 맞아 일본에서 대대적인 마케팅을 펼치며 현지 시장 공략의 고삐를 바짝 죈다. 다양한 브랜드가 참여하는 시즌 맞이 캠페인을 열어 플랫폼 인지도를 끌어올리는 것은 물론, K-패션의 경쟁력을 알리는 역할을 톡톡히 할 전망이다. 4일 무신사 재팬에 따르면 일본에서 브랜드 캠페인 '나다움, 무신사(らしさ、MUSINSA)'를 연다. 이번 캠페인은 오는 5일부터 22일까지 18일간 무신사 글로벌 홈페이지와 일본 공식 인스타그램을 통해 진행된다. 무신사는 현재 3000여 개의 한국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캠페인 기간 동안 1000개의 신규 브랜드가 추가될 예정이다. 이번 캠페인은 최대 95% 할인 혜택을 비롯해 데일리 스페셜, 브랜드데이, 스타일 진단 챌린지 등 다양한 프로모션을 선보일 예정으로, 시작 전부터 일본 소비자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관련 영상은 5일 공개된다. 무신사는 지난 2021년 일본 법인 설립 이후 꾸준히 현지 시장에 투자해 왔다. 2023년 도쿄 팝업 스토어가 성공을 거두며 일본 내 인지도를 빠르게 끌어올렸고, 올해 1분기 일본 내 거래액이 전년 대비
[더구루=진유진 기자] LX하우시스가 인도 건축·인테리어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 인도 최대 지역 검색 플랫폼 '저스트다이얼(Justdial)'과 손잡고 '플랫폼 동맹'을 구축하며 현지 유통과 마케팅 채널을 신속히 확보하는 모습이다. 이번 행보가 K건자재의 인도 고급 인테리어 시장 진입을 가속하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4일 저스트다이얼에 따르면 LX하우시스와 현지 유통 및 마케팅 파트너십을 맺었다. 저스트다이얼은 인도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아우르는 강력한 비즈니스 디렉토리이자 지역 검색 서비스로 통한다. 소비자들이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를 찾을 때 가장 먼저 찾는 채널 중 하나로 꼽힌다. 복잡하고 불투명했던 기존의 유통 구조를 단순화하고, 비즈니스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LX하우시스는 인도 전역에 걸친 저스트다이얼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고급 인조대리석 제품의 현지 접근성을 높이고 시장 점유율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LX하우시스는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인도의 건축 시장에 주목하고 있다. 중산층의 증가와 도시화 가속화로 인해 주택, 상업시설 등에서 고품질의 인테리어 자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주거·상
[더구루=이연춘 기자] 한올바이오파마의 파트너사 이뮤노반트(Immunovant)는 3일(미국 현지 기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바토클리맙(HL161BKN)의 그레이브스병 대상 임상 2상에서 치료 종료 후 6개월간 유지 효과에 대한 데이터를 발표했다. 그레이브스병은 면역체계 이상으로 인해 갑상선 기능이 과도하게 활성화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체중 감소, 심계항진, 피로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 현재 항갑상선제(ATD)가 표준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약 20~30%의 환자는 치료 효과가 충분하지 않거나 재발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갑상선안병증(TED), 갑상샘중독발작(Thyroid Storm), 심혈관 질환(CV) 등 합병증이 발병할 위험도 있어, 환자들의 미충족 수요가 큰 상황이다. 이번 임상 결과에 따르면 바토클리맙 치료 종료 후 약 80%(17명)의 환자에서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6개월간 정상 수준으로 유지됐다. 이 중 약 50%(8명)가 항갑상선제 없이도 안정적인 호르몬 수치를 유지했으며, 30%(5명)는 소량의 항갑상선제를 복용하면서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했다. 안전성과 내약성은 이전 연구들과 일관되게 확인됐다. 이번 데이터는 기존 치료에 반
[더구루=이연춘 기자] 롯데면세점이 국내 대표 화장품 ODM(제조자개발생산) 기업인 한국콜마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K뷰티 브랜드의 글로벌 판로 확대 지원에 나선다. 글로벌 화장품 ODM 업체인 한국콜마는 전 세계 4500여 개의 고객사와 협력하고 있으며, K-뷰티 브랜드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 3일 오후 서울 중구에 위치한 롯데면세점 명동본점 스타라운지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임형일 롯데면세점 상품부문장과 김진호 한국콜마 마케팅본부장을 비롯한 양사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번 MOU는 양사 간 상생협력 활동을 활성화해 K뷰티 브랜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기획됐다. 롯데면세점과 한국콜마는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한국콜마 제조 고객사를 대상으로 롯데면세점 입점 컨설팅 및 글로벌 세일즈 채널 확대 지원에 나선다. 또한 소비자 인지도 제고와 매출 증대를 위해 온·오프라인 판매기획전 등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지원할 예정이다. 롯데면세점 명동본점에 K뷰티관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매장은 한국콜마의 차별화된 제품 기술력과 신뢰성을 보여줄 수 있는 실험실 컨셉으로 구성된다. 화장품을 카테고리별로 구분해 K인디브랜드의 대표 아이템을 선보이고
[더구루=김명은 기자] 아모레퍼시픽의 더마(피부 개선) 코스메틱 브랜드 '에스트라(AESTURA)'가 일본 소비자와의 접점을 넓히기 위해 연이어 팝업스토어를 연다. '피부과학 기반 브랜드'라는 에스트라의 정체성을 현지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략적 이벤트로 해석된다. 4일 아모레퍼시픽 재팬에 따르면 에스트라는 오는 10일부터 16일까지 도쿄의 앳코스메(@cosme TOKYO)에서, 24일부터 30일까지는 오사카의 앳코스메(@cosme OSAKA)에서 팝업 스토어를 개최한다. 에스트라는 이번 행사에서 병·의원 전용 화장품으로 시작된 브랜드 히스토리를 소개하고, 대표 제품인 '아토베리어365' 시리즈를 중심으로 피부 진단, 제품 체험, 샘플링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예정이다. 현장을 방문한 고객들에게는 피부 상태에 따라 맞춤 제품을 추천하고, 소셜미디어(SNS) 참여 이벤트를 통해 인기 제품의 미니 사이즈를 증정한다. 또한 행사 기간 중에는 60만명 팔로워를 보유한 일본 인기 뷰티 크리에이터가 카운슬러로 참여해 민감성 피부에 대한 고민 상담과 제품 추천을 진행할 예정이다. 에스트라는 이번 팝업 스토어를 통해 단기적인 판매 확대를 넘어, 일본 시장
[더구루=진유진 기자] 동국제약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센텔리안24'가 일본 온라인 플랫폼 '큐텐(Qoo10)'의 메가 할인 행사에 참여하며 현지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프리미엄 한정판과 현지 맞춤형 마케팅 전략이 시너지를 내는 만큼 센텔리안24가 열도 내에서 안정적인 소비자 기반을 넓혀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3일 동국제약에 따르면 센텔리안24는 이번 행사에서 △엑스퍼트 마데카크림 액티브 리뉴 PDRN 크림 △마데카크림 타임리버스 풀문 에디션 등 주력 제품을 대폭 할인된 가격에 선보인다. 행사는 지난달 31일부터 오는 12일까지 진행되며, 구매 금액별 쿠폰과 한정판 사은품 혜택도 제공된다. 대표 제품인 마데카크림은 누적 판매량 7900만개를 돌파한 글로벌 베스트셀러다. 동국제약의 핵심 성분 TECA를 함유해 환절기 피부 관리에 강점을 지닌 점이 일본 소비자 수요와 맞물린다는 평가다. 특히 뷰티 크리에이터와 협업한 신제품과 가을 시즌 한정 패키지를 내세워 차별화된 제품 전략으로 소비자 경험을 강화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큐텐이 일본 내 K-뷰티 확산의 주요 채널로 자리 잡은 만큼, 이번 행사가 센텔리안24의 브랜드 충성도 제고와 오프라인 채널 확장으
[더구루=진유진 기자] SPC그룹 파리바게뜨가 미국 시장에서 국내 5배를 웃도는 객단가로 주목을 끌고 있다. 미국 가맹점 평균 연 매출은 약 40억원으로, 2023년 국내 가맹점 평균 매출의 5배를 훌쩍 넘어섰다. 국내 시장이 정체된 가운데 미국에서는 프리미엄 전략과 현지화 마케팅이 가맹점 수익성을 크게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3일 미국 연방거래위원회 프랜차이즈 공개서(FDD)에 따르면 파리바게뜨 미국 가맹점(119곳) 지난해 평균 매출은 285만8469달러(약 39억8500만원)였다. 직영점을 포함한 전체 점포(130곳) 평균 매출도 286만1550달러(약 39억8900만원)로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23년 기준 국내 가맹점 평균 매출(7억1076만원)보다 5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국내 시장은 코로나19 특수 종료 이후 배달 수요가 줄며 성장세가 꺾였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023년 파리바게뜨 국내 가맹점 평균 매출은 전년보다 5.8% 줄었다. 같은 해 외식업 전체 가맹점 매출이 소폭 늘었지만, 제과·제빵 업종만 유일하게 34% 급락했다. 반면 미국 시장에서는 프리미엄 베이커리 수요가 확대되며 파리바게뜨의 입지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
[더구루=김명은 기자] 영국계 담배회사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가 일본에 신형 궐련형 전자담배 '글로 힐로(glo Hilo)'와 '글로 힐로 플러스(glo Hilo Plus)'를 정식 출시했다. 국내 전자담배 시장에서 점유율 확대를 노리는 BAT의 국내 출시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BAT의 궐련형 전자담배 기기인 '글로'는 국내 시장에서 신형 제품을 내놓으며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있지만 KT&G '릴(lil)'과 필립모리스 '아이코스(IQOS)'의 아성을 넘지 못하고 만년 3위에 머물러 있다. BAT 재팬은 1일(현지시간) '글로 힐로'와 '글로 힐로 플러스'를 일본 전역에서 판매를 시작했다. 두 제품은 기존 글로 시리즈보다 고급화된 디자인과 기능을 자랑한다. '글로 힐로'는 새롭게 개발된 전용 스틱 '버르토(virto)'를 사용하는 차세대 가열식 담배 디바이스로, '터보스타트(TurboStart)' 기술이 적용돼 단 5초 만에 약 370도의 고온으로 빠르게 가열되는 것이 특징이다. 적외선과 열전도성이 뛰어난 석영을 활용한 이중 가열 구조를 통해 풍부한 흡연감을 제공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상위 모델인 '글로 힐로 플러스'는 같은 기술을 기반
[더구루=김명은 기자] CGV가 인도네시아 대표 외식 기업 이스마야(ISMAYA) 그룹과 전략적 제휴를 맺고, 멤버십 혜택을 늘린다. 고객에게 더 풍성하고 의미 있는 문화·라이프스타일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으로 평가된다. 영화와 식음료 콘텐츠를 결합한 새로운 사업 모델을 제시하며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CGV 인도네시아 현지 법인과 이스마야는 2일(현지시간) 올 연말까지 '크로스 멤버 혜택(Cross Member Benefit)'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파트너십을 맺었다. 영화 관람뿐 아니라 외식과 라이프스타일까지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이번 제휴를 통해 CGV와 이스마야 멤버십 회원들은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된다. 이스야마 회원이 CGV 신규 회원으로 가입하면 CGV 앱을 통한 식음료 구매 시 25%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영화 티켓, 식음료, 굿즈 구매에 사용할 수 있는 웰컴 포인트를 지급받는다. CGV 회원이 이스마야 멤버십에 가입하면 레스토랑과 카페 등 이스마야 전 매장에서 15% 할인을 받고, 디지털 잔액으로 사용할 수 있는 웰컴 코인을 제공받는다. 마크 나(Mark Nah) CGV 인도네시
[더구루=진유진기자] 일동제약과 일본 시오노기제약이 공동 개발한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조코바(성분명 엔시트렐비르)'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신약 허가 신청(NDA) 승인을 받았다. FDA는 내년 상반기 내 심사를 완료하기로 확정하고 본격적인 심사 절차에 착수했다. 일동제약이 이번 승인 절차 개시로 글로벌 시장 진입 교두보를 확보했다는 평가다. 시오노기는 2일(현지시간) FDA가 코로나19 환자와 접촉 후 감염 예방(노출 후 예방)을 위한 조코바의 NDA를 공식 접수했다고 밝혔다. 지난 4월 NDA를 제출한 지 5개월 만이다. FDA는 처방약 사용자 부담금법(PDUFA)에 따라 2026년 6월 16일을 심사 완료 예정일로 확정했다. 승인될 경우 조코바는 미국 내 최초의 경구용 코로나19 노출 후 예방제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이번 신청은 글로벌 3상 임상시험 'SCORPIO-PEP' 결과를 근거로 했다. 해당 임상시험은 코로나19 환자와 함께 거주하는 2041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결과는 뚜렷했다. 조코바 투여군의 발병률은 2.9%로, 위약(가짜약)군(9%) 대비 현저히 낮았다. 이는 발병 위험을 67% 줄인 수치다. 2387명을 대상으로 한
[더구루=김명은 기자] 헬스케어 전문 기업 종근당건강이 싱가포르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쇼피(Shopee)에 공식 입점하며 현지 시장 공략을 본격화했다. 프리미엄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아임비타(I’m Vita)'를 중심으로 싱가포르 소비자들과의 접점을 확대하고, K-헬스케어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3일 쇼피 싱가포르에 따르면 '아임비타 멀티비타민 이뮨샷', '아임비타 멀티비타민 데일리', '아임비타 비타민B 컴플렉스' 등 종근당건강의 '아임비타' 비타민 제품의 판매가 시작됐다. 세계적인 원료회사 DSM의 고품질 비타민 원료를 사용한 아임비타 제품은 '좋은 원료', '철저한 배합'을 바탕으로 현대인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과학적으로 설계해 담았다. 이번 쇼피 입점은 단순한 온라인 판매 채널 확보를 넘어 싱가포르 시장 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소비자 접근성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종근당건강이 글로벌 시장에서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싱가포르는 모바일 중심의 소비문화가 발달한 시장으로, K-뷰티와 K-헬스케어 제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쇼피는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시그룹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비움(Livium Limited, 옛 리튬오스트레일리아)의 자회사 엔바이로스트림(Envirostream Australia Pty Ltd)이 희귀 금속의 회수 기술 개발에 나선다. 금속 회수 기술을 보유한 아이온드라이브(Iondrive)에 재활용 원료를 제공하고 테스트를 수행한다. 지속가능한 회수 기술의 상업화를 앞당기고 재활용 산업의 성장을 견인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아이온드라이브에 따르면 엔바이로스트림과 심층공융용매(DES) 상용화를 위한 텀시트(term sheet·조건합의서)를 체결했다. DES는 특정 금속 이온을 선택적으로 용해하거나 침전시켜 희귀 금속을 추출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이다. 아이온드라이브는 DES 공정 테스트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냈다. 폐배터리를 분해해 얻은 검은 가루 형태의 중간 가공품 '블랙매스'에서 95%가 넘는 희귀 금속 회수율을 기록했다. 연말 시운전을 목표로 파일럿 설비도 건설하고 있다. 엔바이로스트림은 이번 텀시트에 따라 파쇄된 태양광 폐패널과 셀, 블랙매스, 희토류 자석, 전자폐기물 등을 수집해 아이온드라이브에 제공한다. 아이온드라이브의 DES 기술·경제성 테스트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멕시코 핵심 데이터센터가 전력망 문제로 가스 발전기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멕시코에 대한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전력 인프라의 한계가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MS가 지난해 5월 멕시코 케레타로주 콜론에 오픈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멕시코 센트럴(Mexico Central)'은 올해 2월부터 6개월 가량 가스 발전기 7대에 의존해 운영됐다. MS가 멕시코 환경당국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해당 발전기는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하루 12시간동안 가동됐으며 데이터센터가 요구하는 전력량의 70%를 공급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5만4000가구가 1년동안 배출한 양과 같은 이산화탄소가 배출됐다. MS는 2024년 5월 오픈 이후부터 올해 1월까지는 어떻게 에너지를 공급했는지, 7월 이후 가스 발전기를 운영할지 여부 등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멕시코 센트럴이 자체 가스 발전기를 동원한 배경에는 전력망의 건설 지연이 있다. 멕시코 센트럴은 중남미 지역의 첫 지역 리전으로, MS는 해당 데이터센터 구축과 교육 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