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이 클라우드 부문 직원 일부를 해고했다. 구글을 인력 감축으로 확보된 자원을 인공지능(AI), 신사업 부문에 투자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블룸버그는 26일(현지시간) 익명의 관계자를 인용해 구글이 100명 미만의 클라우드 사업부 직원을 해고했다고 보도했다. 익명의 관계자는 "사업, AI에 투자할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는 2월 초 진행된 실적 발표에서 아나트 애쉬케나지(Anat Ashkenazi) 알파벳 최고재무책임자(CFO)가 "2025년 AI 및 클라우드와 같은 주요 투자 분야에서 일부 인원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한 것과는 배치되는 상황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번 인력 감축은 클라우드 비즈니스의 성장 둔화와 AI 투자로 인한 대규모 지출 여파로 이뤄졌다. 구글 클라우드의 2024년 4분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30%가 증가한 120억 달러(약 17조3000억원)였지만, 월가 컨센서스보다는 낮았다. 또한 알파벳이 밝힌 클라우드 사업부 2025년 자본 지출 가이던스는 예상치를 뛰어넘었다. 즉 매출은 전망보다 낮았고 지출은 전망보다 높은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검색 사업 이후 구글의 핵심 사업으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SK브로드밴드가 글로벌 연구개발(R&D)·지식재산권(IP) 라이선싱 기업 아데이아(Adeia)와 라이선스 계약을 갱신했다. SK브로드밴드는 엔터테인먼트 환경 변화에 맞춰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PTV) 콘텐츠 검색 기능을 강화한다. 아데이아는 26일(현지시간) SK브로드밴드와 지식재산권(IP) 라이선스 계약을 갱신했다고 밝혔다. 계약 조건과 기간은 공개되지 않았다. 아데이아는 지난 13일 LG유플러스와도 라이선스 계약을 갱신한 바 있다. SK브로드밴드는 아데이아와의 계약 갱신을 통해 최고 수준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목표다. 아데이아는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 본사를 두고 있는 IP 라이선싱 기업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들은 물론 구글, 컴캐스트, 버라이즌, 파라마운트, 소니, TCL 등 전세계 주요 기술 기업들과 라이선스 계약을 맺고 있다. 아데이아의 라이선스 포트폴리오는 크게 미디어와 반도체로 나뉜다. 미디어 부분의 경우 콘텐츠 통합 검색 기능, 맞춤형 추천, 대화형 인터페이스 등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반도체 부문에서는 하이브리드 본딩(Hybrid Bonding)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SK가 글로벌 양자 파트너로 양자컴퓨터 기업 아이온큐(IonQ)를 선택했다. 아이온큐는 SK스퀘어의 자회사인 양자암호통신 기술 기업 아이디퀀티크(IDQ)를 인수, 양자 네트워킹 분야 기술을 확대한다. 27일 아이온큐에 따르면 SK텔레콤(이하 SKT)와 양자 관련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다. 또한 아이온큐는 IDQ 지배지분을 인수하기로 SK와 최종 합의했다. 피터 채프먼(Peter Chapman) 아이온큐 회장은 "이번 전략적 거래로 차세대 보안 통신 분야 리더로서 아이온큐의 역할이 강화될 것"이라며 "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테크기업인 SKT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양자 기술의 상업적, 기술적 기회가 창출될 것"이라고 전했다. SKT는 국내 최대 규모의 양자 네트워크 구축 경험 등을 바탕으로 아이온큐의 양자 기술 상용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전략적 파트너십의 구체적 내용은 추후 공개될 예정이다. 유영상 SKT 대표는 "양자 기술은 AI 고도화를 위한 필수 요소"라며 "SKT는 AI분야 선도 기업이 되기 위해 선제적 투자와 협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이온큐는 우선 IDQ 지분 확보 마무리에 나선다. 인수 대금은 자사 보통주로 지불한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Nvidia)와 시스코(Cisco)가 기업용 인공지능(AI) 인프라 확대를 위해 손잡았다. 엔비디아는 시스코와 파트너십 확대로 이더넷(Ethernet) 분야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시스코는 25일(현지시간) 엔비디아와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이더넷 기반 기업용 AI 기술 솔루션을 공동 개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더넷은 여러 대의 컴퓨터를 묶어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하는 기술로, 케이블을 이용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유선 네트워킹 기술이다. 이더넷은 속도가 빠를 뿐 아니라 안전성과 신뢰성이 높아 수많은 GPU를 연결해야하는 데이터센터를 만들기 위한 핵심 기술로 뽑힌다. 엔비디아와 시스코는 지난해 2월 데이터센터용 AI 인프라 솔루션 개발을 위해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두 회사의 파트너십은 그래픽처리장치(GPU) 절대강자 엔비디아와 이더넷 네트워킹 분야 강자인 시스코의 결합으로 주목받았다. 엔비디아와 시스코는 지난해 파트너십 이후 양사 기술을 통합해 '스펙트럼-X 이더넷 네트워킹 플랫폼(Spectrum-X Ethernet networking platform)'을 개발했다. 엔비디아가 NV링크(NVLink), 인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일부 직원들이 사티아 나델라(Satya Nadella) 최고경영자(CEO)의 면전에서 항의 시위를 벌였다. 이스라엘 군과 계약을 체결한 이후 직원들의 항의 시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무더기 해고 사태까지 일어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MS 직원 5명이 24일(현지시간) 레드먼드 캠퍼스에서 진행된 사티아 나델라 CEO와의 타운홀 행사에서 이스라엘 군과 맺은 인공지능(AI), 클라우드 공급 계약을 비판하는 침묵 시위를 벌였다. 공개된 영상에 따르면 해당 직원들은 나델라 CEO가 위치한 단상에서 불과 4미터(m) 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해있었다. 직원들은 나델라 CEO가 자신들과 가까워지자 겉옷을 벗었다. 직원들은 'Does Our Code Kill Kids, Satya?(우리의 코드가 아이들을 죽이나요, 사티아?)'라고 적힌 티셔츠를 입고 있었으며 침묵 시위를 이어갔다. 나델라 CEO는 직원들의 시위를 애써 무시하며 행사를 이어갔다. 시위를 벌인 직원들은 어디선가 나타난 남자 2명과 얘기하더니 시위 장소에서 벗어났다. 이스라엘군에 대한 AI, 클라우드 계약 종료를 요구하는 직원들이 만든 '노 애저
[더구루=홍성일 기자] 라인야후가 모바일 캐주얼 게임 '라인 매직코인' 출시 3주년을 맞아 기념 이벤트를 진행한다. 라인야후는 다양한 이벤트와 보상을 제공, 신규 이용자 확보에도 나선다. 라인야후는 25일 라인 매직코인의 3주년을 맞아 특별한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3주년 이벤트는 내달 24일까지 진행된다. 라인 매직코인은 지난 2022년 2월 28일 출시된 캐주얼 코인 게임으로, 라인 스튜디오가 개발했다. 라인 매직코인은 게임 내 슬롯머신을 돌려 코인을 획득하는 단순한 방식을 가지고 있다. 슬롯머신은 라인프렌즈 캐릭터를 기반으로 제작됐다. 이용자는 슬롯머신을 돌려 획득한 코인으로 스페셜 북을 완성, 스토리를 진행할 수 있다. 라인야후는 이벤트 진행을 위해 '3주년을 맞이했습니다', '3주년 감사합니다'라는 스페셜 북 2종을 선보였다. 이용자는 게임 내에서 획득할 수 있는 스페셜 칩을 이용해 스페셜 북을 채워 완성할 수 있다. 스페셜 북을 완성한 이용자는 3주년 특별 보상을 획득할 수 있다. 라인야후는 3주년 스페셜 북 외에도 로그인 이벤트, 스페셜 미션 이벤트, 공식 엑스(X, 구 트위터)를 팔로우하는 이벤트 등도 진행한다. 로그인 이벤트에서는 이용자
[더구루=홍성일 기자] 퀄컴(Qualcomm)이 구글(Google)과 손잡고 최신 스냅드래곤 애프리케이션 프로세서(AP)에 최대 8년간 보안 업데이트를 지원하기로 했다. 소비자들의 스마트폰 교체 주기가 늘어나면서 글로벌 스마트폰 업계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책이 변화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퀄컴은 스냅드래곤 8 엘리트에 적용된 '8년 보안 업데이트 지원' 정책을 스냅드래곤 8 시리즈, 스냅드래곤 7 시리즈 전체 제품군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퀄컴은 이번 정책 범위 확장은 구글의 협력 때문에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퀄컴은 스냅드래곤 8 엘리트를 탑재한 스마트폰을 시작으로, 올해 출시되는 스냅드래곤 8, 스내드래곤 7 AP 탑재 스마트폰으로 적용범위를 확대한다. 퀄컴은 기존 플랫폼에서는 8년 보안 업데이트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최근 스마트폰 업계에서는 보안,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주기를 연장하는 것이 트렌드가 되고 있다. 구글은 지난 2023년 픽셀 8을 출시하면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제공 기간은 기존 3년에서 7년으로 늘렸다. 삼성전자도 지난해 초 갤럭시 S24 시리즈를 출시하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기간을 7년으로 설정했
[더구루=홍성일 기자] 아론 손더스(Aaron Saunders) 보스턴다이내믹스 최고기술책임자(CTO)가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Atlas)'의 재설계 과정을 공개한다. 보스턴다이내믹스는 인공지능(AI)을 적용해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아틀라스를 개발하고 있다. 이후 현대차 공장을 시작으로 다양한 현장에 아틀라스를 투입하고 양산 준비에도 속도를 낸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아론 손더스 보스턴다이내믹스 CTO는 오는 4월30일(현지시간) 보스턴에서 개최되는 로보틱스 서밋&엑스포(Robotics Summit & Expo) 2025에 기조연설자로 나선다. 로보틱스 서밋&엑스포는 매년 로보틱스 분야 전문가 5000여명 이상이 모여 진행하는 콘퍼런스다. 올해 행사는 4월 30일부터 5월 1일까지 보스턴 컨벤션&익스히비션 센터에서 진행된다. 손더스 CTO는 '아틀라스 재설계: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생각하는 휴머노이드 미래(Redesigning Atlas: Boston Dynamics on the Future of Humanoids)'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한다. 그는 기조연설을 통해 아틀라스를 처음부터 어떻게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씨소프트가 오픈월드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블레이드앤소울 네오(Blade & Soul NEO, 이하 블소 네오)의 북미·유럽 출시를 앞두고 쇼케이스 영상을 게재했다. 창사이래 첫 영업적자를 기록한 엔씨소프트는 블소 네오를 앞세워 글로벌 시장을 확대, 반전의 기회를 만든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엔씨소프트는 20분 길이의 블소 네오 쇼케이스 영상을 공개했다. 블소 네오 북미, 유럽 서비스는 이날 정식 출시된다. 해당 영상에는 블소 네오의 기본적인 인터페이스부터 캐릭터 생성, 그래픽, 경공시스템, 몬스터 사냥, 보스레이드, 파티 던전 플레이, 유저간전투(PvP), 무기 및 스킬, 패션 등 전반적인 게임 정보가 담겼다. 블소 네오는 2012년 출시된 블레이드앤소울 원작의 무협 판타지 세계관과 게임성을 유지하면서 그래픽, 편의성 등을 개선한 게임이다. 국내에는 지난해 10월 출시됐다. 엔씨소프트는 블소 네오 개발에 언리얼 엔진4의 역량을 최대한으로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블소 네오 이용자는 4개 종족, 7개 직업 중 하나를 선택해 캐릭터를 육성할 수 있다. 블소 네오의 큰 변화점은 제약 없는 무한 경공, 퀘스트 장소 즉시 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의 중고거래 플랫폼 포쉬마크(Poshmark)가 미국 여성 패션 브랜드 루루스(Lulu's Fashion Lounge Holdings, Lulus)와 손잡았다. 포쉬마크는 반품, 판매자 서비스 강화에 이어 인기 브랜드 상품을 추가하며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루루스는 포쉬마크, 대여 구독 서비스 눌리(Nuuly), 미국 백화점 체인 본 마우어(Von Maur) 등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루루스는 이번 협업을 통해 새로운 고객을 확보해 브랜드를 성장시키고, 유통망을 확대해 판매채널 다변화에 나선다. 루루스는 중고 판매 영역에서는 포쉬마크와 협력하고 의류 랜탈 부문에서는 눌리와 협력하기로 했다. 또한 본 마우어, 딜라드, 노드스톰 등 백화점과도 협력관계를 구축하기로 했으며 딩고 1969, 헌터, 제시카 심슨, 리복, 룰라스 진 등 타 브랜드와의 협업도 확대한다. 루루스는 포쉬마크와 협업을 통해 중고 의류 시장을 개척, 지속 가능한 순환 모델을 구축한다는 목표다. 루루스 관계자는 "포쉬마크, 눌리와 협력은 우리의 영향력을 확대할 뿐 아니라 소비 트렌트와도 일치한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트렌드에 맞는 의류를 제공하
[더구루=홍성환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자체 개발한 양자 컴퓨팅 칩 '마요라나(Majorana) 1'을 공개한 가운데 업계 안팎에서 회의론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5일 경제 전문지 포브스에 따르면 미국 대표 이론물리학자인 존 프리스킬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양자 정보 및 물질 연구소 소장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 엑스(X)에 "로드맵을 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위상적으로 보호된 큐비트를 입증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설명했다"면서 "이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는, 공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증거는 없었다"고 적었다. MS는 지난 19일(현지시간) 처음으로 자체 개발한 '위상초전도체'를 사용한 양자 컴퓨팅 칩 '마요라나 1'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마요라나 1'은 손바닥만 한 크기로 초전도 큐비트(양자컴퓨터 기본 연산 단위)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양자 컴퓨팅 칩과 달리 '위상적(topological) 큐비트'로 개발됐다. 이 큐비트는 모양이 변해도 본질이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갖추고 있어 차세대 초전도 큐비트로 꼽혀 왔다. 0 또는 1의 '비트'로 정보를 처리하는 일반 컴퓨터와 달리 양자컴퓨터는 0과 1이 동시에 존재하는 중첩, 얽힘 상태인 큐비트를 활용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차세대 인공지능(AI) 모델 출시를 예고한 앤트로픽(Anthropic)의 기업 가치가 급등했다. 앤트로픽은 당초 펀딩 목표를 뛰는 투자금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블룸버그는 24일(현지시간) 앤트로픽이 현재 진행 중인 펀딩을 통해 615억 달러(약 88조원) 가치를 인정받아 35억 달러(약 5조원)를 조달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당초 목표였던 기업가치 600억 달러(약 85조 8780억원), 20억 달러(약 2조 8630억원) 조달 목표를 상회하는 결과다. 앤트로픽의 대규모 펀딩은 라이트스피드 벤처 파트너스가 주도하고 있으며 멘로 벤처스, 베세머 벤처 파트너스, 제너럴 카탈리스트, MGX 등 글로벌 자본들이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 앤트로픽의 기업가치가 당초 목표를 상회하게 된 것은 오픈AI, xAI 등과 경쟁할 수 있는 경쟁력과 AI 부문 투자 열풍이 시너지를 만들어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앤트로픽은 2023년 3월 첫 거대언어모델(LLM) 클로드를 출시한 이후 그 해 7월 클로드 2를 출시했다. 지난해 3월에는 클로드 3를 선보였으며 6월에는 클로드 3.5 소네트, 10월에는 클로드 3.5 하이쿠 등을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연방군이 LIG넥스원이 인수한 미국 고스트로보틱스의 사족보행 로봇 '비전60'을 정찰용으로만 운용하겠다는 계획을 공식화했다. 최근 미군을 중심으로 로봇의 무기화가 잇따라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독일군의 결정이 향후 세계 각국의 '로봇개' 도입 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31일 독일 경제지 하이제(Heise)에 따르면 연방군은 이 매체가 비전60의 무기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보낸 질의서에 "비전60에 대한 무장 계획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고 공식 답변했다. 이어 "비전60은 시각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장애물을 탐지하고 필요시 라이다(LIDAR) 센서를 활용해 지도를 작성할 수도 있다"며 "무장 기능이 아닌 정찰 및 감시 역할을 수행할 것이며, 기존의 바퀴나 궤도를 사용하는 무인 차량과 달리 사족 보행 로봇은 산악지형이나 다층 건물에서도 기동성을 확보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고 덧붙였다. 독일 연방 군비, 정보 기술 및 지원청(BAAINBw)은 작년 9월 튀링겐에 위치한 보안전문 회사 ATC SiPro를 통해 고스트로보틱스에 비전60 4대를 발주했다. 공급가는 공개되지 않았다. 연방군은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공군이 기존 '군용 위성 조달 계획'을 철회하고 스페이스X의 군사용 군집위성 시스템인 '스타실드(Starshield)'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스타실드는 스페이스X 스타링크 위성을 기반으로 보안을 강화하고 정찰, 미사일 경보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공화당 소속 케빈 크라이머(Kevin Cramer) 상원의원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진행된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공군이 국방부 산하 우주개발청(SDA)의 T2TL(Tranche 2 Transport Layer)·T3TL(Tranche 3 Transport Layer) 위성 조달을 취소하고 스페이스X 위성(스타실드)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을 들었다"고 밝혔다. 케빈 크라이머 의원의 이같은 발언에 미국 공군은 즉각 성명을 발표하고 "T2TL와 T3TL에 대해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없다"며 "2026년도 예산 심의 과정에서 모든 획득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미국 공군이 기존 T2TL와 T3TL 위성 조달 계획을 철회하고 스타실드 도입을 검토하기로 알려진 것은 예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미국 공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