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엑셈 자회사이자 데이터베이스(DB) 보안 전문기업 신시웨이의 비정형 데이터 암호화 솔루션 '페트라 파일 사이퍼 V3.2'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로부터 GS인증 최고 등급인 1등급을 획득했다고 7일 밝혔다. GS(Good Softrware)인증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품질확보 및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의 판로지원을 위해 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시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인증하는 제도다. 페트라 파일 사이퍼는 에이전트(Agent)와 API 방식을 통해 비정형 파일 암호화를 지원한다. 이미지, 로그 파일, 녹취 파일 등에 대해 서버 내에 설치된 에이전트로 실시간 암호화를 지원하며, SAM(Sequential Access Method) 파일, CSV 파일 등 일정한 형식을 갖춘 파일들의 특정 영역 및 패턴 정보를 통한 암호화가 가능하다.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한 에이전트 방식은 실시간으로 파일을 암호화할 뿐 아니라 프로그램의 API 수정을 최소화해 효율적인 암호화 관리가 가능하다. API 방식은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암·복호화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고 성능 부하를 최소화해 애플리케이션 및 배치(Batch) 프로그램의 보안성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영지식 증명(Zero-knowledge proofs, ZKP) 블록체인 인프라 기업 디막스 랩스(Demox Labs)에 투자했다. 디막스 랩스는 영지식 블록체인 인프라 구축에 속도를 낸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디막스 랩스는 핵VC가 주도한 사전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450만 달러(약 59억원)를 조달했다. 이번 펀딩에는 코인베이스 벤처스, DCVC, 앰플라파이 파트너스, CRV, 오픈씨, C스퀘어드 등이 참여했다. 디막스 랩스는 사드 시드 투자 라운드 완료 소식과 함께 영지식 블록체인 기술 기반 레오 월렛을 출시했다. 디막스 랩스는 영지식 블록체인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영지식 기술은 사용자의 정보를 유출하지 않고 키를 알고 있다는 사실만 인증하면 인증을 할 수 있는 기술이다. 디막스 랩스가 출시한 레오 월렛은 알레오 블록체인 상에서 개발됐으며 영지식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됐다. 디막스 랩스는 올해 하반기 메인넷이 출시될 예정인 알레오 블록체인과 레오 월렛 간의 통합 작업을 진행한다. 디막스 랩스 관계자는 "레오 월렛을 시작으로 블록체인 인프라에 필요한 수준의 프라이버시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웹3게임 퓨저니스트(Fusionist)에 투자했다. 바이낸스는 웹3 게임 생태계 확장에 투자를 이어나간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바이낸스의 벤처캐피탈 '바이낸스 랩스'는 지난달 말 퓨저니스트의 660만 달러(약 86억원) 규모 시드 투자 라운드를 펀플러스게임즈와 공동으로 주도했다. 바이낸스의 투자를 유치한 퓨저니스트는 경영 시뮬레이션, 전술RPG, 전략 4X 장르를 결합한 SF 게임으로 2800년대 사람이 살 수 없게 된 지구를 배경으로 게이머들은 인류 정착을 위해 우주를 탐험하는 사령관의 역할을 맡게 된다. 퓨저니스트는 AAA급 게임 플레이와 함께 NFT 등 블록체인 기술이 결합됐다. 퓨저니스트는 레이어1 네트워크 확장 이전 바이낸스의 BNB 체인에서 먼저 출시될 예정이다. 퓨저니스트는 80만 명의 커뮤니티를 구축했으며 세계 최대 게임플랫폼 '스팀'에서 베타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퓨저니스트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으로 게임 개발을 가속하고 인듀어런스 메인넷 생태계 구축에도 집중한다. 또한 유저 증가에 맞춰 게임, 웹3 전문가를 추가로 영입한다는 계획이다. 퓨저니스트 관계자는 "바이낸스 랩스가 전략적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가상자산(암호화폐, 가상화폐) 운용사 하이퍼리즘(Hyperithm)이 수이 네트워크 기반 분산형금융(Defi) 플랫폼 '타이퍼스 파이낸스(Typus Finance, 이하 타이퍼스)'에 투자했다. 하이퍼리즘은 지난 6일 타이퍼스에 투자했다고 밝혔다. 하이퍼리즘과 타이퍼스는 이번 투자를 시작으로 다양한 블록체인 기술 개발을 진행한다. 타이퍼스는 수이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자산에 투자할 수 있게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타이퍼스는 수이 블록체인에서 획득한 보상을 효율화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유저들은 타이퍼스 플랫폼에서 간단한 클릭만으로 적절한 보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스왑, 렌딩, 파생 상품 프로토콜을 결합해 롱테일 자산을 위한 옵션 시장도 구축하고 있다. 롱테일 자산은 거래량이 적고 유동성이 낮으면서도 시가 총액이 크지 않은 자산을 말한다. 타이퍼스는 자사의 플랫폼을 통해 롱테일 자산들에 안정적인 유동성 공급을 가능하도록해 공급자와 투자자 모두가 윈윈할 수 있게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타이퍼스는 향후 개인 투자자들의 암호화 자산 시장 참여율을 높이고 온체인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
[더구루=정등용 기자] 대화형 인공지능(AI) 개발 스타트업 하이로(Hyro)가 신규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하이로는 전 부문에 걸쳐 인력 채용을 확대하는 한편 기업들과의 파트너십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하이로는 6일 시리즈B 펀딩 라운드를 통해 글로벌 자산운용사 맥쿼리 등으로부터 2000만 달러(약 260억 원)를 모금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 유치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기업 수요가 급증한 데 따른 결과란 게 하이로 설명이다. 정보기술(IT) 컨설팅 기업 액센츄어(Accenture) 조사에 따르면 글로벌 기업 경영진 98%는 향후 3~5년 안에 인공지능 기반 모델이 조직 전략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2018년 설립된 하이로는 기업을 대상으로 대화형 인공지능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기업은 이를 통해 코딩 없이 기존 옴니채널 워크플로우 위에 대화형 인공지능 어시스턴트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하이로가 제공하는 AI 어시스턴트는 대화형 인텔리전스와 결합해 기능을 한다. 기업은 즉시 사용 가능한 대시보드를 통해 △성과 참여 지표 △상위 트렌드 △키워드 △누락된 용어 △AI 결과와 관련된 설명을 확인할 수 있다. 하이로는 정보가 많은 의료 산업
[더구루=홍성일 기자] 어쎄신크리드 등을 개발한 유비소프트가 중국 소매 시장에서 철수하기로 했다. 유비소프트는 파트너사를 통한 유통을 이어나간다고 밝혔지만 블리자드와 같은 상황이 벌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유비소프트는 알리바바 산하 전자상거래 플랫폼 티몰에서 운영하던 온라인 플래그십 스토어의 영업을 7일 중단한다. 유비소프트는 중국 공식 온라인 스토어 폐쇄에 대해 "중국에서의 제품 판매 전략 등을 검토해 중단 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해당 스토어는 의류 등 어쎄신크리드, 톰클래시, 저스트댄스 등 유비소프트의 대표 게임IP를 활용한 굿즈를 판매했다. 유비소프트는 공식 온라인 스토어는 폐쇄하지만 중국 라이선스 파트너와 협력을 이어나가면서 신작을 출시하고 유통도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유비소프트의 온라인 플래그십 스토어 폐쇄를 두고 중국 현지에서는 블리자드와 같은 상황이 벌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블리사드는 넷이즈와의 라이센스 연장 계약 협상에 실패하면서 올 1월 24일 월드오브워크래프트 등의 서비스를 중단했다. 에픽게임즈도 텐센트가 포트나이트의 판호 획득에 실패하며 2021년 11월 중국 서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의 스트리밍 게임 플랫폼 연동 서비스 '삼성 게이밍 허브'가 새로운 파트너들의 게임을 출시하며 콘텐츠를 대거 확대했다. 삼성 게이밍 허브는 스마트TV를 통한 스트리밍 게임 플랫폼 서비스로 엑스박스, 엔비디아 지포스 나우, 아마존 루나, 유토믹 등의 클라우드 게이밍 서비스와 연동돼 있다. 삼성전자의 스마트TV를 보유한 소비자라면 별도의 장치를 구매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스트리밍 게임 플랫폼 '앤트스트림 아케이드(Antstream Arcade)'와 '블랙넛(Blacknut)'의 게임을 게이밍허브에 추가했다. 지난해 11월 파트너십 체결 발표 이후 7개월만에 서비스가 시작된 것이다. 삼성 게이밍 허브에 서비스를 시작한 앤트스트림 아케이드는 레트로 게임계 넷플릭스로 불리는 플랫폼이다. 앤트스트림 아케이드는 팩맨, 모탈컴뱃, 메탈슬러그 등 80년대에서 2000년대 시장을 주름잡던 1400개 이상의 레트로 게임을 제공하고 있다. 블랙넛은 500개 이상의 프리미엄 게임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게이밍 구독 서비스로 '클릭 앤 플레이' 경험을 제공하고 스마트폰, PC, 스마트TV에서 최대 5명의 플레이어가…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버스용 3D 디지털 콘텐츠·NFT 생성 플랫폼 메타존(MetaZone)이 시드 자금 확보에 성공했다. 메타존은 디지털 콘텐츠 생태계 확대에 속도를 낸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존은 지난달 말 스페르미온과 CMT 디지털이 공동 주도한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300만 달러(약 37억원)를 조달했다. 메타존은 확보한 자금은 앱 플랫폼 확대에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메타존은 메타버스에서 배포할 수 있는 3D 디지털 콘텐츠와 앱 NFT를 생성할 수 있는 유일한 플랫폼이다. 메타존은 몇 번의 클릭만으로 디지털 콘텐츠 업로드를 진행할 수 있으며 번거로운 작업 없이도 디지털 콘텐츠를 가상 토지 위에 건설할 수 있다. 메타존은 크리에이터가 디센트럴랜드, 스페이셜, 온사이버, 볼트 힐을 포함한 다양한 가상 세계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 배포할 수 있는 개발 프레임워크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다. 메타존 관계자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는 가상 경제를 위한 다양한 몰입형 경험과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면서 수조 달러 규모 메타버스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캐리버스 캐리버스는 웹3 메타버스 게임 ‘캐리버스’의 인게임 시네마틱 영상을 공개하며 글로벌 사전 예약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캐리버스’는 블록체인 기술이 접목된 웹3 메타버스로, 지난 1월 게이트아이오와 MEXC 등에 상장된 CVTX를 거버넌스로 하는 현실과 유사한 경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유저들은 ‘드림타운’이라는 마을로 이사 온 유저의 아바타(부캐)를 통해 자동차와 집을 가질 수 있으며, 전 세계의 다른 유저들과 친구가 될 수 있다. 함께 공개된 시네마틱 영상은 이런 ‘세계관’과 ‘콘텐츠’를 담고 있다. ‘캐리버스’의 사전 예약은 자체 웹페이지 및 양대 마켓을 통해 진행된다. 사전예약 성과에 따라 다양한 하우징 아이템과 펫 등을 지급하며, 커뮤니티 구독자 수 달성에 따라 아바타 악세서리를 추가로 받을 수 있다. ◇네오위즈 네오위즈의 웹3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인텔라 X(Intella X)’가 일본의 웹3 전문 마케팅사 ‘퍼시픽 메타(Pacific Meta)’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네오위즈는 ‘퍼시픽 메타’가 보유한 웹3 관련 네트워크와 커뮤니티, 게임 길드 등을 활용해 일본 시장에 ‘인텔라 X’를 적극적으로 알릴 예정이다. 더 나아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검색 플랫폼 스타트업 '벡타라(Vectara Inc.)'가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 AI 검색 기능 오류를 줄이기 위한 기술도 소개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벡타라는 레이스 캐피탈이 주도하는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2800만 달러(약 370억원)를 조달했다. 벡타라는 신규 투자 유치와 함께 AI검색 플랫폼의 대표적인 오류 중 하나인 'AI 환각(Hallucination)' 문제를 줄이기 위한 '그라운디드 제너레이션(Grounded Generation)'을 출시했다. AI 환각은 사용자의 질문에 대해 AI가 잘못된 답을 정답이라는 듯 내놓는 문제로 마이크로소프트 빙, 구글 바드 등도 잘못된 답을 내놓는 환각 문제로 홍역을 치른 바 있다. 벡타라의 그라운디드 제너레이션은 문서나 지식 기반 데이터로 AI 모델을 교육하는 대시 검색을 통해 회사 데이터에서 가져온 정보로 AI를 학습 시킨다. 이를 통해 AI는 검색 쿼리를 기반으로 한 유효한 응답을 내놓고 사실을 확인한 다음 추가적인 문서나 기타 데이터를 인용해 대답하는 형태다. 벡타라는 이를 통해 환각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 외에도 시맨틱 검색 등 다양한 검색 방식을…
◇카카오게임즈 카카오게임즈는 30일, 사이게임즈와 사이게임즈의 자회사인 시테일이 공동 개발한 모바일 액션 RPG ‘월드 플리퍼’에 신규 캐릭터와 다양한 콘텐츠를 추가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등장한 ‘★5 심각의 왕 멤람’은 베스타족의 젊은 리더로, 가장 가까운 적에게 쌍검으로 고속 난무를 내질러 적에게 뇌속성 대미지를 가한다. 함께 등장한 ‘★5 천개의 기사 제헬’은 길드의 단장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일섬을 가장 가까운 적을 향해 내질러 접촉한 적에게 광속성 대미지를 입힌다. 이와 함께 가장 가까운 적에게 공을 날려 뇌속성 대미지를 입히는 ‘★5 디스트로이 슬러거 스트라이나’, 파티의 체력을 회복시키고 공격력을 상승시키는 ‘★4 복을 부르는 소녀 후쿠’를 추가한다. 카카오게임즈는 오는 7일까지 ‘★5 심각의 왕 멤람’을 포함한 신규 캐릭터 4종이 대거 등장하는 ‘픽업 이벤트’를 실시한다. 또한 11일까지는 강림토벌 ‘수광의 정령수’를 오픈한다. 기간 한정으로 출현하는 ‘수귀 슬램곤’을 토벌하고 획득한 보스 코인으로 기간 한정 장비 및 다양한 성장 재화를 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신규 콘텐츠 ‘흔들리는 미궁 보물역’도 추가한다. 속성별 스테이지로 이루어진 퀘스
[더구루=정등용 기자] 아마존이 인도 키즈 패션 브랜드 홉스카치(Hopscotch)에 투자했다. 인도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확대 기조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홉스카치는 3일 아마존이 주도한 시리즈E 펀딩 라운드를 통해 2000만 달러(약 265억 원)의 자금을 모금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 라운드에는 △IIFL 시드 벤처 펀드 △RPG 벤처스 △라이온락 △테크프로 벤처스 등 기존 투자자들이 대거 참여했다. 페이스북 공동 창업자인 에두아르도 사베린도 개인 투자자 자격으로 이름을 올렸다. 아마존은 지난 2021년 4월 ‘아마존 Smbhav 벤처 펀드(Amazon Smbhav Venture Fund)’를 통해 인도 스타트업에 2억5000만 달러(약 3300억 원)를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번 투자도 이 계획의 연장선 상에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아마존은 홉스카치에 앞서 인도 핀테크 플랫폼 M1엑스차지(M1xcharge)와 온라인 신선육 스타트업 프레시투홈(FreshToHome), 남성용 이너웨어 브랜드 XYXX 등에 투자를 진행한 바 있다. 지난 2015년 설립된 홉스카치는 다양한 아동 패션 의류와 액세서리 등을 유통하는 업체다. 다양한 온라인 마켓플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산업용 레이저 전문기업 '트럼프(TRUMPF)'가 중국에 새로운 거점기지를 마련했다. 갈수록 거세지고 있는 미국의 대중 수출 규제에도 아랑곳 않고 중국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7일 트럼프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중국 광동성 심천(선전)시에 신규 레이저 응용 센터를 오픈했다. 심천 사업장은 트럼프가 세계에서 9번째, 중국에서 2번째로 설립한 레이저 기술 연구개발 시설이다. 트럼프는 1923년 설립돼 100여 년의 업력을 자랑하는 유서깊은 회사다.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 핵심 장치를 개발한다. 독일 자이스·프라운호퍼 IOF 연구소, 네덜란드 ASML, 벨기에 아이멕 등 1200여 개 기업·대학·연구소와 함께 'EUV 얼라이언스'에 소속돼 있다. EUV 장비에서 EUV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플라즈마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플라즈마는 진공상태에서 EUV 광원에 탄산가스를 공급하고 이를 증폭시킨 뒤 주석(Sn)과 결합해 발생된다. 트럼프는 이 과정에서 필수 소재인 탄산가스 레이저 설비를 제조한다. 트럼프는 2000년 장쑤성 소주시에 전액 출자 자회사를 설립하며 중국 시장에 첫 발을 내딛었다. 심천시와 소주시 외에
[더구루=정등용 기자] 인텔이 이스라엘 자율주행 기업 모빌아이(Mobileye) 지분 일부를 매각한다. 신규 투자 자금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7일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인텔은 14억8000만 달러(약 1조9300억 원)의 투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모빌아이 지분 일부를 매각할 예정이다. 매각은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가 주관한다. 모빌아이가 미국 규제 당국에 제출한 계획안을 보면 인텔은 모빌아이 주식 3500만 주를 매각하고 525만 주를 추가로 매각할 수 있는 옵션을 보유하고 있다. 인텔이 모빌아이 지분 일부를 매각하더라도 지분율은 88%에 이를 전망이다. 인텔의 모빌아이 지분 매각 계획은 투자 자금 확보 차원으로 풀이된다. 앞서 패트릭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제조 기술을 빠르게 발전시키기 위해 관련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인텔은 지난 2017년 153억 달러(약 17조5600억 원)에 모빌아이를 인수했다. 이후 모빌아이는 지난 2022년 10월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됐으며 현재까지 2배 이상 주가가 급등했다. 올해 주가 상승률은 21%에 이른다. 모빌아이는 지난 1999년 설립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