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한컴(한글과컴퓨터)이 베트남 4개 성과 도시의 지방정부 관계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추가 협력에 대한 의사를 표명했다. 한컴은 에듀테크를 앞세워 베트남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베-한 기업인 및 투자협회(VKBIA)는 베트남 지방자치단체와 한국 기업들 간의 협력을 모색하기 위한 포럼을 29일 서울 모처에서 진행했다. 포럼은 베트남 외교부의 주관으로 개최됐다. 이날 포럼에서는 VKBIA와 박리우성 등 서울을 찾은 베트남 지방자치단체 간의 협력 관계가 체결됐다. 포럼에는 베트남 외교부 찐티마이프엉 부국장을 비롯해 박리우성, 투안티엔후에성, 껀터시, 꼰뚬시의 인민위원회 부위원장, 당위원회 부서기, 외교부장 등과 한국 기업인들을 포함해 10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포럼에는 베트남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는 솔루엠과 에듀테크 부문을 공략하고 있는 한컴이 참여했다. 한컴과 솔루엠은 이번 포럼에 참여해 베트남에서 사업과 관련해 VKBIA를 통한 협력 강화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한컴은 지난해 5월 하노이 국립 외국어대학교, 영어교육 전문기업 윤선생과 함께 베트남 한국어 교육사업을 위한 본계약을 체결하며 베트남…
[더구루=정등용 기자] 구글이 인도 초분광 위성 영상 스타트업 픽셀(Pixxel)에 투자했다. 픽셀은 AI(인공지능) 기반 분석 플랫폼 오로라(Aurora)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픽셀은 2일 시리즈B 펀딩 라운드를 통해 3600만 달러(약 470억 원)를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구글은 아데라와 함께 신규 투자자로 이번 펀딩 라운드에 참여했다. 이 밖에 △래디컬 벤처스 △라이트스피드 △블룸 벤처스 △그로우X △스파르타 등 기존 투자자들이 이름을 올렸다. 픽셀이 현재까지 모금한 총 투자 금액은 7100만 달러(약 930억 원)로 증가하게 됐다. 픽셀은 투자 자금을 활용해 최고 수준 해상도의 초분광 위성 별자리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전 지구적 규모에서 실행 가능한 기후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더불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AI 기반 분석 플랫폼 오로라 개발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픽셀의 초분광 위성 영상 기술은 전자기 스펙트럼의 수백 개 파장에서 이미지를 캡처해 지구 건강에 대한 주요 데이터를 제공한다. 특히 오로라 플랫폼은 우주에 있는 다중 스펙트럼 위성에 비해 최대 10배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 가능한 스펙트럼 해상도를 50배
[더구루=최영희 기자]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미래폐자원 태양광 폐모듈 재활용 기술 전문기업 ㈜원광에스앤티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지원하는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참여기업으로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는 미래 모빌리티 등 10대 초격차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래 혁신성장을 이끌 스타트업 1000여개를 선발해 올해부터 5년간 민관 합동으로 2조원을 투입해 집중 육성하는 사업이다. 중기부는 최근 학계, 산업계, 투자 분야 등의 전문가 평가를 거쳐 스타트업 150개를 선정했고, 기업당 11억원의 자금을 직접 지원할 예정이다.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원광에스앤티는 혁신분야 창업패키지(친환경, 에너지) 참여기업으로 선정되어 지난 1일 주관기업 한국전력과 2023년 DIPS 1000+ 친환경·에너지분야 협약을 체결했으며, 이번 선정으로 3년 간 매년 성과평가를 통해 사업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원광에스앤티는 미래폐자원 태양광 폐모듈 재활용 기술을 바탕으로 모듈 프레임 해체, 유리분리, 분리된 태양전지 샌드위치의 분쇄 및 선별에 이르는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실제 신기술인증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비디오게임 유통업체 게임스탑이 블록체인 네트워크 텔로스와 손잡고 웹3 게임 확장에 나선다. 텔로스 재단은 1일(현지시간) 게임스탑과 웹3 게임 유통을 위한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에 텔로스 블록체인 기반 웹3 게임을 곧 출시될 게임스탑 웹3 게임 런처 '게임스탑 플레이어'를 통해 유통할 수 있게 됐다. 텔로스는 이번 협업으로 글로벌 게임파이(GameFi) 생태계를 확장하고 주류 사용자에게 웹3 게임을 제공할 수 있게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게임스탑의 유통망을 활용하는 만큼 기존의 게임 스튜디오, 퍼블리셔, 유통업체들도 웹3와 접촉할 수 있게 된 만큼 기존 게임 커뮤니티와 웹3 유저간 격차를 해소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봤다. 게임스탑도 2022년부터 속도를 높여온 웹3 생태계 구축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게임스탑은 2022년 1월 7일(현지시간)으로 암호화폐 기업 인수와 게임 개발사들과 협력을 위해 1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밝혔다. 게임스탑은 비디오 게임 유통 서비스를 넘어 NFT, 게임 관련 디지털 자산 거래를 위한 온라인 허브를 만들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후 게임스탑은 NFT 마켓플레이스, 암호
[더구루=홍성일 기자] SK스퀘어 자회사 SK플래닛이 글로벌 블록체인 아발란체와의 협력 강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블록체인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SK플래닛으로서는 아발란체 플랫폼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앞서 SK플래닛은 지난 4월 아발란체를 개발한 아바랩스(Ava Labs)와 맞춤형 자체 블록체인 구축, 웹3 서비스 발굴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SK플래닛은 아발란체 서브넷을 활용해 자체 플랫폼인 업튼(UPTN)을 구축했다. 또한 NFT(대체불가토큰) 기반 OK캐시백 멤버십 서비스 '로드 투 리치'도 공개하며 블록체인 사업을 활성화하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SK플래닛이 아발란체와 함께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에 나선 것은 아발란체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아바 클라우드'가 있다는 분석이다. 블록체인 전문매체 '더블록'의 1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아발란체의 월간 활성 유저(MAU)는 100만 명을 넘어섰다. 이는 아바 클라우드 플랫폼이 출시되고 일주일만의 결과다. 아바 클라우드는 기업들이 아발란체 블록체인을 활용해 자체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노코드 플랫폼'이다. 아바랩스는 서브넷을 생성하는 것이 웹사이트를 구축하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라인이 일본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모바일 퍼즐게임 '라인 퍼즐탄탄'이 인기 캐릭터 '모찌모찌판다'와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한다. 라인은 31일 라인 퍼즐탄탄과 모찌모찌판다의 콜라보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이달 15일까지 진행된다. 라인은 콜라보 기간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한다. 프리미엄, 스텝 업 뽑기권(가챠)에서 콜라보레이션 캐릭터가 등장한다. 또한 한정판 코스튬과 펫 출시되며 해당 아이템은 한정 패키지 등에서 획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이벤트 기간 접속한 유저들을 대상으로 '로그인 이벤트'도 진행한다. 10일간 연속으로 로그인한 유저는 모찌모찌판다 콜라보 미니를 획득할 수 있다. 라인 퍼즐탄탄은 지난 2014년 출시됐으며 넵튠에서 개발했다. 라인 퍼즐탄탄은 국내에서도 잘 알려진 '사천성'룰 기반 퍼즐게임으로 일본, 대만, 동남아 등에서 서비스 되며 큰 인기를 끌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미니맥스(MiniMax)가 텐센트 등으로부터 대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미니맥스는 미중 갈등 속 중국형 챗GPT 구축에 속도를 낸다. 로이터통신은 1일(현지시간)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미니맥스가 12억 달러 가치를 기반으로 2억5000만 달러(약 3300억원) 자금 조달 작업을 거의 마무리했다고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텐센트에 논평을 요청했지만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미니맥스는 2021년 중국의 AI회사 센스타임의 부사장 출신 얀 준지에를 중심으로 20명의 센스타임 출신 직원들이 모여 설립했다. 미니맥스는 중국판 오픈AI를 꿈꾸며 글로우라는 AI앱을 개발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니맥스는 초기 자금을 모바일 MMORPG 원신을 개발한 미호요에서 지원 받았으며 바이두의 AI모델보다 더 좋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번 투자에 대해 경기침체와 미국의 견제로 중국 투자 환경이 압박을 받고 있지만 AI 부문에 대한 중국 내 투자자들 관심이 얼마나 큰 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라는 평가다. 실제로 지난 3월에는 AI스타트업 프론티스(Frontis, 衔远科技)가 수억 위안 규모의 투자를…
[더구루=정등용 기자] 구글이 광자 컴퓨팅 스타트업 라이트매터(Lightmatter)에 투자했다. 라이트매터는 이번 투자 자금을 활용해 새로운 차원의 광자 컴퓨팅 기술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라이트매터는 1일 시리즈C 투자 라운드를 통해 1억5400만 달러(약 2000억 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구글은 기업형벤처캐피털(CVC) 구글 벤처스를 통해 이번 투자 라운드에 참여했다. 이 밖에 △SIP 글로벌 △피델리티 매니지먼트 앤 리서치 컴퍼니 △바이킹 글로벌 인베스터스 △HPE 패스파인더 등이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 이로써 라이트매터는 총 2억7000만 달러(약 3600억 원) 이상의 투자 자금을 확보하게 됐다. 기업 가치는 3배 이상 증가했다. 라이트매터 광자 컴퓨팅 칩은 기본적으로 광학적 흐름을 사용해 행렬 벡터 곱과 같은 계산 프로세스를 해결한다. 노트북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칩이 아닌 특화된 칩으로 생산되고 있다. 현재 칩은 파일럿 버전으로 대량 생산은 오는 2024년 예정돼 있다. 라이트매터는 컴퓨팅 하드웨어 엔바이즈(Envise)와 대규모 컴퓨팅 작업에 상호 연결 역할을 하는 패시지(Passage), 소프트웨어 플랫폼 이디엄(Idiom)을 운
[더구루=홍성환 기자] 영국 커넥티드카 데이터기업 위조(Wejo)가 경영난 심화로 파산을 신청했다. [유료기사코드] 위조는 지난달 30일 영국 법원에 파산을 신청했다고 1일 밝혔다. 이에 위조는 영국 최대 구조조정 전문회사 레너드커티스리커버리를 관리인으로 선임했다. 이에 따라 위조는 나스닥 시장에서 상장 폐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영국 맨체스터에 본사를 둔 위조는 자동차 제조사·1차 공급업체와 협력해 차량에 통합된 센서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는 솔루션을 개발하는 업체다. 자체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데이터를 집계·규범화한 뒤 고객에게 공유한다. 현재 2000만대의 커넥티드카 정보를 확보했다. 지난 2021년 11월 스팩 합병을 통해 나스닥에 우회 상장한 바 있다. 위조는 지난해 840만 달러(약 11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430만 달러(약 60억원) 대비 두 배 가깝게 늘어난 수치다. 하지만 순손실은 1억5930만 달러(약 2100억원)에 달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SK 정보통신기술(ICT) 투자 회사 SK스퀘어 자회사인 양자 원천 기술업체 IDQ(ID Quantique)가 유럽 최초 양자통신위성 '이글-1(EAGLE-1) 이니셔티브'에 공식적으로 합류했다. SK의 양자 암호 기술 투자가 결실을 맺고 있는 모양새다. IDQ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이글-1 이니셔티브에 참여하게 됐다고 발표했다. IDQ의 이글-1 이니셔티브 합류는 지난 3월 전해졌으며 이번 발표로 공식화됐다. IDQ가 참여하는 이글-1 이니셔티브는 위성 통신 기술과 양자키 분배(QKD) 기술을 활용해 분산된 지역에 걸쳐 암호화 키를 안전하게 전송해 국가 양자 통신 인프라를 연결하는 유럽 내 프로젝트다. 이글-1 이니셔티브는 룩셈부르크 위성기업 SES가 주도하고 유럽 내 20개 파트너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개발하고 있다. 이글-1 이니셔티브는 독일, 룩셈부르크,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위스, 벨기에, 체코의 유럽우주국(ESA) 분담금과 ESA가 주도하는 유럽위원회(EC)의 자금 지원 등을 받고 있다. IDQ는 컨소시엄 회원사로 합류해 양자난수생성기(QRNG) 기술을 기반으로 한 우주 인증 암호키 생성 시스템를 독일의 T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간편 결제 서비스 업체 페이팔(PayPal)이 서비스형 지갑(wallet-as-a-service, WaaS) 스타트업 매직(Magic)에 투자했다. 페이팔이 웹3 결제 생태계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매직은 5월 31일(현지시간) 페이팔 벤처스가 주도한 전략적 투자 라운드를 통해 5200만 달러(약 690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에는 체루빅, 싱크로니, kx, 노스존, 볼트 캐피탈 등이 참여했다. 이번 투자로 매직의 펀딩 규모는 8000만 달러를 넘어섰다. 매직은 2018년 출시했으며 모든 인터넷 사용자에게 디지털 지갑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사업을 유지하고 있다. 매직은 복잡한 블록체인 개념을 추상화해 웹2와 유사한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기업에는 WaaS를 제공해 웹3를 주류 고객층이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매직의 WaaS 솔루션은 웹3로의 마이그레이션(이전)을 단순화해 기업들 고객에게 로열티 프로그램, 디지털 수집품, 티켓팅, 멤버십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매직은 이번에 확보한 자금으로 솔루션 기능을 확장해 새로운 사용 사례를 구현한다는 목표다. 또한 유럽과 아시아
[더구루=정등용 기자] 인공지능(AI) 기반 암 진단 솔루션 기업 루닛이 일본 의료기관과 AI 병리학 협력을 진행한다. 양측은 이번 협력을 통해 암 치료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루닛은 1일 AI 병리 솔루션 평가·검증을 위해 국립암센터 동부병원(NCCHE)과 협력을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은 국립암센터 동부병원의 분자 프로파일링 프로젝트인 ‘스크럼-재팬 몬스터 스크린(SCRUM-Japan MONSTAR-SCREEN)’에 루닛의 AI 바이오마커 플랫폼인 ‘루닛 스코프(Lunit SCOPE)’를 활용하는 것이다. 주요 목표는 HER2과 PD-L1 같은 바이오마커를 AI가 정확하게 판독하는지 평가하는 데 있다. 또한 다양한 치료 환경에서 임상 결과를 예측할 때 루닛 스코프 IO가 판독한 면역 표현형과 새로운 바이오마커의 성능을 평가할 예정이다. 스크럼-재팬 몬스터 스크린의 책임 연구자인 타카유키 요시노 박사는 “이번 협력은 암 치료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가져다 줄 것”이라며 “전세계 암 환자를 위한 개인 맞춤형 의료를 선도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번 협력의 첫 번째 연구 결과는 미국임상종양학회(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산업용 레이저 전문기업 '트럼프(TRUMPF)'가 중국에 새로운 거점기지를 마련했다. 갈수록 거세지고 있는 미국의 대중 수출 규제에도 아랑곳 않고 중국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7일 트럼프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중국 광동성 심천(선전)시에 신규 레이저 응용 센터를 오픈했다. 심천 사업장은 트럼프가 세계에서 9번째, 중국에서 2번째로 설립한 레이저 기술 연구개발 시설이다. 트럼프는 1923년 설립돼 100여 년의 업력을 자랑하는 유서깊은 회사다.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 핵심 장치를 개발한다. 독일 자이스·프라운호퍼 IOF 연구소, 네덜란드 ASML, 벨기에 아이멕 등 1200여 개 기업·대학·연구소와 함께 'EUV 얼라이언스'에 소속돼 있다. EUV 장비에서 EUV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플라즈마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플라즈마는 진공상태에서 EUV 광원에 탄산가스를 공급하고 이를 증폭시킨 뒤 주석(Sn)과 결합해 발생된다. 트럼프는 이 과정에서 필수 소재인 탄산가스 레이저 설비를 제조한다. 트럼프는 2000년 장쑤성 소주시에 전액 출자 자회사를 설립하며 중국 시장에 첫 발을 내딛었다. 심천시와 소주시 외에
[더구루=정등용 기자] 인텔이 이스라엘 자율주행 기업 모빌아이(Mobileye) 지분 일부를 매각한다. 신규 투자 자금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7일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인텔은 14억8000만 달러(약 1조9300억 원)의 투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모빌아이 지분 일부를 매각할 예정이다. 매각은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가 주관한다. 모빌아이가 미국 규제 당국에 제출한 계획안을 보면 인텔은 모빌아이 주식 3500만 주를 매각하고 525만 주를 추가로 매각할 수 있는 옵션을 보유하고 있다. 인텔이 모빌아이 지분 일부를 매각하더라도 지분율은 88%에 이를 전망이다. 인텔의 모빌아이 지분 매각 계획은 투자 자금 확보 차원으로 풀이된다. 앞서 패트릭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제조 기술을 빠르게 발전시키기 위해 관련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인텔은 지난 2017년 153억 달러(약 17조5600억 원)에 모빌아이를 인수했다. 이후 모빌아이는 지난 2022년 10월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됐으며 현재까지 2배 이상 주가가 급등했다. 올해 주가 상승률은 21%에 이른다. 모빌아이는 지난 1999년 설립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