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월가의 퀀트 트레이딩 회사인 '제인 스트리트(Jane Street Group)'가 데이터센터 기업 코어위브(CoreWeave)에 투자했다. [유료기사코드] 22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제인 스트리트는 지난 13일 코어위브 주식 약 2000만주를 매수했다. 매수 가격은 이날 종가(117.76달러) 기준 23억5520만 달러(약 3조3000억원)에 이른다. 제인 스트리트가 보유한 코어위브 지분은 5.4%로, 마그네타파이낸셜·FMR·엔비디아에 이어 네번째 많은 지분을 보유한 기관 투자자가 됐다. 제인 스트리트는 세계 최대 퀀트 트레이딩 기업이다. 퀀트 트레이딩은 수학 모델과 통계 분석을 기반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는 자동화된 거래 방식을 의미한다. 데이터 분석과 과거 성과 검증(백테스트)을 기반으로 전략을 세우고, 감정 개입 없이 객관적인 매매를 실행한다는 게 특징이다. 코어위브는 올해 3월 공모가 40달러로 미국 증시에 상장됐다. 상장 이후 주가가 계속 상승세를 보이며 6월 한때 180달러선까지 치솟았다. 다만 21일 현재 주가는 90.79달러로 고점 대비 반토막 났다. 코어위브는 엔비디아의 AI 반도체를 이용한 데이터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전력(이하 한전)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추진 중인 발전 사업이 자금 조달을 마무리 했다. 자금 지원 기관에는 한국수출입은행을 비롯해 글로벌 금융기관들이 포함됐다. 26일 사우디 민자발전·담수기업 ‘ACWA 파워’에 따르면, 한전·사우디전력공사(SEC)와 공동 추진 중인 루마1(Rumah 1)·나이리야1(Nairyah 1) 발전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 조달이 성공적으로 완료됐다. 총 150억 리얄(약 5조7200억원)의 자금이 확보됐으며, 자금 지원 기관은 △한국수출입은행 △사우디 국립은행 △사우디 투자은행 △사우디 프란시 은행 △스탠다드차타드 은행 △중국은행 △중국농업은행 △중국공상은행 △아랍 석유 투자 공사 등이다. 루마1 프로젝트는 사우디 리야드 주에 1800MW 규모의 복합 사이클 가스 터빈(CCGT) 발전소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한전과 ACWA 파워, 사우디전력공사가 공동 설립한 르말 에너지 컴퍼니(Remal Energy Company)가 운영하며 총 투자 금액은 75억 리얄(약 2조8600억원)이다. 나이리야1 프로젝트는 사우디 동부 주에 1800MW 규모의 CCGT 발전소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나심 에너지 컴퍼니(Naseem
[더구루=김나윤 기자] 태국 정부가 외국인 관광객의 암호화폐를 바트화로 환전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관광객들은 환전된 바트화를 여행 경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지난 19일 아세안 전문 매체 AIF 아세안에 따르면 태국은 오는 4분기부터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투어리스트 디지페이(TouristDigipay)' 프로그램을 18개월간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피차이 춘하바지라(Pichai Chunhavajira) 태국 재무부 장관은 "이번 제도가 암호화폐 환전과 결제를 제도권 안에서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외국인 관광객은 암호화폐를 바트화로 환전할 수 있고 가맹점은 바트화로 대금을 받는다. 제도 남용을 막기 위해 계좌 개설과 전자지갑 활성화에는 엄격한 요건이 적용되고 월 지출 한도는 50만 바트(약 2140만원)로 제한된다. 이번 조치는 최근 태국 관광산업이 중국인 관광객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중동과 동남아시아 관광객 유치 확대를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올해 상반기 태국의 중국인 관광객은 전년 대비 33% 감소했다. 태국은 관광산업이 국내총생산(GDP)의 약 12%를 차지할 만큼 국가 경제의 핵심 축이다. 그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 고성능 전기차 EV6 GT가 이탈리아 슈퍼카 브랜드 페라리 푸로산게(Purosangue)와의 드래그 레이스에서 압도적인 성적을 거뒀다. 최고출력 725마력 V12 엔진을 장착한 푸로산게를 상대로 EV6 GT는 5전 4승을 기록하며 전동화 시대의 성능 우위를 입증했다. 24일 온라인 자동차 플랫폼 '카와우'(Carwow) 따르면 기아 EV6 GT가 1/4마일(약 402m) 직선 가속 레이스에서 페라리 푸로산게를 5전 4승으로 승리했다. EV6 GT가 승리한 배경은 609마력의 전기 파워트레인과 즉각적인 토크 응답력이 자리했다. 전기차 특유의 즉각적이고 직선적인 토크 전달은 가속 구간 초반에서 압도적 우위를 발휘했다. EV6 GT는 무게가 더 무거움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모터 출력과 전자식 사륜구동 시스템 덕분에 초반부터 치고 나가며 우세를 점했다. 반면 푸로산게는 고회전 V12 특유의 매력을 뽐내며 후반 가속에서 격차를 줄였지만, 결승선 통과에는 역부족이었다는 분석이다. EV6 GT가 유일하게 패배한 경우는 수동 모드 전환 등 인위적 제약이 가해졌을 때뿐이었다. 업계는 이번 대결을 통해 고가의 슈퍼카가 아니더라도 압도적인 가속감을
[더구루=김나윤 기자] 아프가니스탄이 중국의 글로벌 인프라·투자 프로젝트인 '일대일로'에 공식 참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아프간 외무부는 지난 20일(현지시간) 중국과 외교장관 회담 후 이같이 밝혔다. 왕이 중국 외무장관은 아미르 칸 무타치 아프간 외무장관에게 "아프간 프로젝트 참여에 관심이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중국은 올해 아프간 일부 채굴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광물 탐사 개발을 확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왕 장관은 "아프간이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어 아시아, 중동, 유럽을 연결하는 인프라·경제 통합 프로젝트에 전략적 가치를 지닌다"고 평가했다. 일대일로 이니셔티브는 10년 전 시진핑 주석이 시작한 중국의 대표적 글로벌 투자·인프라 프로그램이다.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유럽 등의 경제 통합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국 입장에서 아프간은 이들 지역의 교차로에 있어 전략적 가치가 높다. 지난 2021년 아프간에 있던 미국이 철수하고 탈레반이 정권을 장악한 후 중국은 아프간 광물 자원 활용과 영향력 확대를 동시에 추구하는 외교 전략을 채택했다. 왕 장관은 2022년에도 아프간 수도 카불을 방문해 무역 활성화와 국가 경제 재건 지원을 논의
[더구루=정예린 기자] 대한항공이 내년 전 임직원의 PC를 구글 크롬 운영체제(OS) 기반으로 전환, 클라우드 중심의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한다. 전사 업무 환경의 현대화를 통해 생산성을 끌어올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21일 최희정 대한항공 IT전략실장(상무)이 최근 구글 클라우드에 기고한 글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내년부터 구글 크롬OS를 전사 사업부에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앞서 서울 고객센터에서 크롬OS 기반 환경을 도입해 업무 효율과 보안성을 강화한 경험을 바탕으로 내린 결정이다. 대한항공의 구글 기반 디지털 전환은 '구글 워크스페이스' 도입에서 출발했다. 이메일, 문서, 스프레드시트, 드라이브, 화상회의 등을 포함한 클라우드 협업 도구 세트인 구글 워크스페이스를 코로나19 시기에 전사적으로 도입하면서 원격 근무와 안정적인 글로벌 협업이 가능했고, 이는 대한항공이 클라우드 중심 IT 환경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됐다. 대한항공은 고객센터에 구글 크롬OS를 도입하며 IT 인프라 고도화에 속도를 냈다. 구글 크롬OS는 구글이 개발한 리눅스 기반 운영체제로, PC 부팅 시간을 단축하고 보안을 자동 업데이트 방식으로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 원자력 기업 홀텍 인터내셔널(Holtec International)이 미국 뉴저지주(州) 오이스터 크릭 원자력 발전소 부지에 소형모듈원전(SMR) 4기를 건설할 계획입니다. 현대건설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홀텍, 美 뉴저지에 SMR 4기 짓는다…현대건설 수주 청신호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정부가 외국계 기업의 재투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급속히 줄고 있는 외국인 투자를, 다시 끌어올리기 위한 조치다. 24일 코트라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최근 국가발전 개혁위원회를 중심으로 '외국인 투자기업 중국 내 재투자 장려 조치 시행에 관한 통지'를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외국인 투자기업이 미처분 이익 또는 해외 투자자가 중국 내에서 합법적으로 분배받은 이익으로 재투자할 경우 여러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명시했다. 재투자는 △중국 내 기업 신규 설립 △기설립 기업 증자 △중국 내 기업의 주식·지분 혹은 기타 유사 권익을 취득하는 투자 행위 △중국 내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경우 등이다. 혜택 내용은 △토지 공급 지원 △행정절차 간소화 △외환자금 편의성 향상 △금융 지원 확대 등이다. 중국 정부는 외국인 투자기업이 재투자 시 공업 용지 장기 임대, 임대 후 매각, 탄력적 사용기간 설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초기 토지비용 부담을 덜어준다. 또 행정 절차 간소화와 세제 혜택을 통해 외국인 투자기업의 중국 추가 투자를 장려한다. 아울러 합법적인 외환 수익의 중국 내 송금을 허용하고, 조건 부합 시 외환 자본금 재투자에 대한 별도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가 미국 자율주행차 스타트업 누로(Nuro)에 투자했다. 엔비디아는 투자와 함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누로는 신규 투자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차 기술의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누로는 21일(현지시간) 시리즈 E 투자 라운드를 통해 총 2억300만 달러(약 2845억원)를 조달했다고 발표했다. 누로는 이번 펀딩을 통해 60억 달러(약 8조4100억원) 가치를 인정받았다. 누로는 2021년 진행된 시리즈 D 투자 라운드에서 86억 달러(약 12조원)로 평가받았었다. 누로의 시리즈 E 투자 라운드는 1차와 2차로 나눠 진행됐다. 지난 4월 완료된 1차 펀딩에는 △티 로우 프라이스 어소시에이트 △피델리티 매니지먼트&리서치 컴퍼니 △타이거글로벌 △그레이록 파트너스 △XN LP 자문 펀드 등이 참여했다. 총 투자 규모는 1억600만 달러(약 1485억원)였다. 이번에 완료된 2차 펀딩에는 엔비디아를 비롯해 △우버 △아이스하우스 벤처스 △킨드레드 벤처스 △플레지 벤처스 △베일리 기포드 등이 참가자로 이름을 올렸다. 2차 펀딩에서는 9700만 달러(약 1360억원)가 모였다. 누로는
[더구루=오소영 기자] 루이스 알베르토 하라미요 에콰도르 생산통상투자수산부 장관이 HD현대를 방문했다. 조선 기술을 살피고 글로벌 조선 산업 발전을 이끄는 기업이라고 호평했다. 마약 범죄 퇴치와 갈라파고스 수호를 위해 해군 현대화에 나서면서 조선 강국인 'K조선'에 구애하는 분위기다. 26일 에콰도르 생산통상투자수산부에 따르면 하라미요 장관은 전날 경기 성남시 분당구 HD현대 글로벌R&D센터(이하 GRC)를 방문했다. HD현대중공업 특수선사업부 경영진과 만나 GRC 투어를 하며 친환경·디지털 선박 기술을 살폈다. 에콰도르 생산통상투자수산부는 소셜미디어 링크드인을 통해 "HD현대는 대형 선박과 같은 규모있는 프로젝트를 주도하며 글로벌 산업 발전의 기준점이 되고 있다"며 "에콰도르는 전략적 동맹을 강화해 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여가겠다"고 밝혔다. 에콰도르는 중남미에서 치안이 불안한 국가 중 하나다. 주요 마약 거래 통로로 활용되며 마약 범죄 조직이 활개를 떨치고 있다. 에콰도르 정부는 작년 초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내부적으로 무장 갈등에 대응하는 한편, 갈라파고스를 지키고자 전력을 보강했다. 에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에 따르면 에콰도르는 20
[더구루=정등용 기자] 대우건설이 중국의 대형 건설중장비 제조사 줌라이언(Zoomlion)과 전략적 협력에 나섰다. 글로벌 건설 시장에서 협력 관계를 강화하는 한편 새로운 사업 기회를 함께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22일 줌라이언에 따르면, 대우건설은 지난 18일(현지시간) 중국 창사에서 줌라이언과 전략적 MOU를 맺었다. 이번 MOU에 따라 두 회사는 맞춤형 고급 장비 개발과 신에너지 기계 분야에서 심도 있는 협력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개척하는 데 함께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와 함께 줌라이언은 대우건설에 맞춤형 장비와 글로벌 협업 서비스를 지원하기로 했다. 대우건설은 줌라이언의 장비 기술과 글로벌 네트워크가 글로벌 프로젝트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앞서 대우건설은 올 초 줌라이언과 장비 구매 계약도 체결하기도 했다. 지난 1992년 설립된 줌라이언은 건설 기계와 광산 기계, 농업 기계 등의 기술 장비를 연구·개발·제작하는 업체다. 중국 건설중장비 업계 2위로 745개 종류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중국 현지에 29개 공장을 가동 중이며 해외에 10개 연구 개발·제조 기지를 운영 중이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수소차 시장이 오는 2033년 5480억 달러(약 766조원)까지 성장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아시아 태평양 시장이 가장 빠르게 성장할 것이란 분석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스페리컬 인사이트(Spherical Insights)’는 2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글로벌 수소차 시장 분석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기준 글로벌 수소차 시장 규모는 약 345억 달러(약 48조원)로 평가됐다. 시장 규모는 2023년부터 오는 2033년까지 연평균 31.8% 성장해 5480억 달러를 넘을 전망이다. 지역별로는 북미 시장이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봤다. 미국, 캐나다, 멕시코가 수소차 시장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글로벌 파트너십과 정보 교류에 적극적이라는 이유에서다. 특히 미국은 첨단 기술에 개방적일 뿐만 아니라 자동차 수요도 증가하는 추세다. 성장 속도에서는 아시아 태평양 시장이 가장 빠를 것으로 예측했다. 높은 차량 생산성과 수요로 인해 상당한 진전을 이룰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한국과 일본을 언급하며 “두 나라가 수소 연료 전지 기술에 지속적인 지원을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보고서는 글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BYD가 세계 전기차 레이싱 기록을 새롭게 썼다. 전기 슈퍼카 ‘양왕(Yangwang) U9 트랙 에디션’이 시속 472.4km(293.5마일)을 기록, 리막(Rimac) 네베라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전기차 자리에 올랐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BYD 전기 슈퍼카 양왕 U9 트랙 에디션은 지난 8일(현지시간) 독일 파펜부르크(Papenburg) ATP 자동차 테스트 트랙에서 시속 472.4km(293.5마일)을 기록,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전기차로 자리매김했다. 기존 최강자로 꼽히던 리막 네베라의 기록인 431.4km를 넘어선 것이다. U9 트랙 에디션은 4개의 전기모터를 탑재, 총 2960마력(hp)의 출력을 발휘한다. 이는 리막 네베라가 보유한 1989마력 성능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차량 중량 대비 출력 비율 역시 톤당 1000마력이 넘어 리막(800마력/톤)을 압도한다. BYD는 지난해 양왕 U9 일반형 모델로도 최고 시속 391.9km를 기록했으나, 당시에는 네베라의 431.4km 기록을 넘지 못했다. 하지만 이번 트랙 에디션은 공기 저항을 최소화한 세팅으로 네베라의 벽을 단숨에 돌파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베트남이 세계 1위 해상풍력 개발·투자 전문기업인 덴마크 코펜하겐 인프라 파트너스(Copenhagen Infrastructure Partners, CIP)와 협력해 중부에 해상풍력발전을 개발한다. 베트남은 해상풍력의 개발로 재생에너지 사업 확장과 국내 지원 산업 체인을 구축해 국가 에너지 안보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베트남 국영 에너지기업 페트로베트남은 22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에서 CIP와 베트남 해상풍력 개발에 대한 공동 개발 협약(JDA)을 체결했다. 협정은 CIP가 운영하는 성장 펀드인 CI GMF II COÖPERATIEF U.A.와 페트로베트남 간 협정서 교환으로 진행됐다. CI GMF II는 베트남을 포함한 신흥 시장의 녹색 에너지 인프라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펀드이다. 이들은 지난해 3월 베트남 중부 해상풍력 개발 관련 업무 양해각서(MOU)를 서명한 뒤 1년 5개월 만에 공동 개발을 본격화한다. 양사는 이번 협정을 바탕으로 과거 중부 빈투언성(현재 람동성)에 위치한 3.5GW 규모의 라간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개발할 계획이다. 총 투자액은 105억 달러(약 14조6000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