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명은 기자] 캐나다 바이오 기업 앱토즈 바이오사이언스(Aptose Biosciences, 이하 앱토즈)가 개발 중인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치료 후보물질인 '투스페티닙(Tuspetinib)'이 임상시험에서 표준 치료 대비 개선된 효과를 보이며, 기술을 이전한 한미약품에 대한 기대감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25일 앱토즈에 따르면 미국에서 진행 중인 TUSCANY 임상 1·2상에서 투스페티닙을 기존 표준 치료제인 베네토클락스(VEN), 아자시티딘(AZA)에 병용 투여한 결과 90%의 높은 완전 관해율(CR/CRh)을 기록했다. 이는 기존 표준 요법의 65%보다 훨씬 좋은 결과다. 특히 NPM1, FLT3-ITD, TP53 돌연변이를 지닌 고위험 환자군에서는 100% 완전 관해율을 기록해 주목받고 있다. 미세잔존질환(MRD) 음성률 역시 병용요법군이 70%, 표준치료군은 27.9%로 격차가 컸으며, 완전 관해 환자 중 MRD 음성률은 각각 78% 대 40.9%였다. 이는 투스페티닙을 기존 치료제에 추가했을 때 현재 의료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치료법에 비해 암세포가 검사상 보이지 않을 정도로 사라지는 상태(완전 관해)에 도달한 환자의 비율이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 계열사 글로벌X 유럽이 공동 대표 체제로 전환했다. 부문별 전문성을 강화해 회사 성장에 속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글로벌X 유럽은 공동 대표 체제를 도입했다고 23일 밝혔다. 글로벌X 유럽은 "투자자 수요를 충족하고 역내 선도적 입지를 강화, 플랫폼의 성장과 규모를 가속화하기 위해 새로운 경영 체제를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X 유럽은 우선 조지 테일러 최고운영책임자(COO)를 공동 대표로 선임했다. 회사 운영과 상품 부문을 담당한다. 테일러 신임 공동 대표는 금융업계 18년 이상 경력을 갖춘 베테랑으로, 글로벌X 유럽 설립 이후 회사 성장을 가속화하고 제품 혁신을 주도하는 등 탄탄한 운영 인프라를 구축하는 역할을 했다. 글로벌X 유럽은 영업·마케팅·홍보·투자 전략 등을 담당하는 사업 개발 책임자 겸 공동 대표직을 새로 신설했다. 추후 선임할 예정으로, 테일러 공동 대표가 당분간 겸직한다. 테일러 공동 대표는 "새로운 경영 체제는 그동안 쌓아온 빠른 성장을 기반으로 플랫폼을 확장하고 투자자 수요를 지속적으로 충족시킬 기회를 열어줄 것"이라며 "고객을 최우선으로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글로벌X 유럽
[더구루=김은비 기자] 아마존이 미국에서 글로벌 렌터카 기업 허츠(Hertz)와 손잡고 중고차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허츠가 자사 중고차를 아마존의 ‘아마존 오토(Amazon Autos)’ 플랫폼에서 판매하기 시작하면서 기존 온라인 중고차 업계에 지각변동이 예고되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아마존은 허츠와의 중고차 판매 프로그램을 우선 미국 내 4개 도시에서 시범 운영한 뒤 향후 전국 단위로 확대할 계획이다. 허츠는 현재 54만대 이상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어 아마존은 안정적이고 대규모의 공급망을 확보하게 됐다. 아마존 행보는 기존 생태계를 재편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동안 아마존은 서적, 가전, 식품, 헬스케어 등 진출하는 산업마다 구조를 바꿔온 만큼 중고차 시장 역시 예외가 되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자체 고객 네트워크와 유기적인 결제·배송·리뷰 시스템 등 타 브랜드 대비 높은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서다. 아마존 중고차 진출 소식에 다른 온라인 중고차 플랫폼은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중고차 기업 카바나(Carvana), 카맥스(CarMax)와 렌터카 기업 에이비스(Avis) 주가는 일제히 하락했다. 업계는 아마존이 허츠와의 협력을
[더구루=이연춘 기자] 롯데칠성음료가 유성탄산음료 ‘밀키스’를 앞세워 인도네시아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롯데칠성음료는 부드러운 우유와 탄산의 이색적인 조합인 ‘밀키스’를 인도네시아 편의점 체인 업체인 ‘인도마렛(Indomaret)’에 입점시키며 현지 유통망을 확보했다. 인도마렛은 인도네시아 전역에 매장을 보유한 인도네시아 대표 편의점 브랜드로, 약 5천 가지 이상의 제품을 취급하는 현지 주요 유통채널이다. 롯데칠성음료는 7월 중순 인도마렛에 밀키스 입점을 시작해 8월부터 본격적으로 입점수를 확장했다. 현재는 인도마렛 2만3000여 개 점에서 밀키스 오리지널, 딸기, 멜론 등 총 3종을 판매하고 있다. 롯데칠성음료는 현지 맞춤형 전략 일환으로 올해 초 제품 패키지를 영어 표기에서 인도네시아어 표기로 리뉴얼했다. 또한 인도네시아 할랄제품보증청(BPJPH)과 한국이슬람교(KMF)를 통해 할랄(Halal) 인증도 완료했다. 이를 기반으로 올해 4월에는 인도네시아 내 로손(LAWSO)과 패밀리마트(Family Mart) 편의점에 밀키스를 입점하기도 했다. 이 같은 현지화 전략에 힘입어 올해 7월까지 롯데칠성음료의 밀키스 인도네시아 수출액은 전년 대비 약 318%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물산 상사부문의 인도네시아 팜 법인이 리아우주 최우수 업체로 선정됐다. 소상공인을 지원하며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26일 리아우포스 등 외신에 따르면 이넥다(PT.Inecda)는 지난 19일(현지시간) 페칸바루에서 열린 '2025년 리아우 투자 포럼(Riau Investment Forum)'에서 '소상공인 협업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리아우주는 이넥다의 소상공인 지원 활동을 높이 평가했다. 압둘 와히드(Abdul Wahid) 리아우 주지사는 "소상공인과의 파트너십에 관심과 꾸준함을 보여준 이넥다에 감사드린다"며 "이는 기업이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며 공정한 경제를 이끌어가는 생생한 모범 사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넥다는 15개 마을에서 23개 소상공인 단체를 대상으로 다양한 CSR(사회적 책임) 할동을 진행했다. 지역 스낵·음료, 자수 교육을 통한 옷·가방 등 제조·판매를 지원했다. 또한 도로·학교를 포함해 인프라 건축과 개보수, 사회적 약자를 위한 생필품 제공, 지역 축제·행사 후원을 추진하며 지역 사회와 상생을 모색했다. 이넥다는 "리아우주 CSR 최우수상 수상에 감사해 하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지역
[더구루=김나윤 기자] 미국과 중국이 각각 희토류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면서 희토류 가격이 2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통제 완화 움직임이 없는 한 이같은 상승세가 계속될 전망이다. 지난 26일(현지시간) 중국의 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NdPr) 산화물 현물가가7월 초 이후 40% 급등, 톤당 63만2000위안(약 1억2300만원)에 달하며 2023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NdPr 산화물은 전기차 모터, 풍력 터빈, 군수 장비 등에 사용되는 영구자석의 핵심 원료다. 이같은 급등세의 배경에는 미국 기업 MP 머터리얼즈(MP Materials)가 있다. 이 회사는 지난 3년 동안 중국 NdPr 산화물 공급의 7~9%를 차지해왔다. 그러다 지난달부터 미국 정부와 체결한 합의에 따라 중국 수출을 전면 중단했다. 미 정부는 자국 내 공급망 안정을 위해 킬로그램당 110달러(약 15만3500원)의 가격 지원까지 제공했다. 이는 당시 중국 시세의 약 두 배 수준이다. 광물 연구 기업 '아다마스 이텔리전스(Adamas Intelligence)'는 "MP 머터리얼즈의 물량은 중국에 들어가는 NdPr 산화물의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는데 수출 중단으로 상당한 공급 공백이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케이던스(Cadence)'가 엔비디아와 협력해 인공지능(AI) 반도체 설계 전력 분석 능력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설계 초기 단계부터 전력 최적화를 가능하게 해 AI 칩의 에너지 효율과 개발 속도를 동시에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케이던스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하드웨어 기반 검증 플랫폼 '팔라듐 Z3(Palladium Z3 Enterprise Emulation Platform)'와 전력 분석 소프트웨어 'DPA(Dynamic Power Analysis) 앱'을 출시했다. 수십억 사이클에 걸친 전력 분석을 단 '2~3시간' 만에 처리, 최대 97% 정확도로 반도체 초기 설계 단계에서 전력 최적화를 돕는다는 게 케이던스의 설명이다. 케이던스는 AI·고성능 반도체 설계 검증 속도와 지원 범위를 개선하기 위해 엔비디아와 협력했다. '팔라듐 Z3'와 'DPA 앱'을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와 연동, 시뮬레이션과 전력 분석 효율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고객사는 엔비디아 GPU 기반 AI 반도체 설계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검증할 수 있다. 팔라듐은 케이던스가 2015년 처음 선보인 하드웨어 기반 설계
[더구루=김예지 기자] LG전자가 중국 시장에 '첫' 스마트 홈 솔루션 체험 매장을 오픈했다. 중국 시장에서의 브랜드 인지도 강화와 고객 접점 확대를 동시에 겨냥한 전략적 행보다. 22일 LG전자에 따르면 중국 톈진에 'LG 라이프 스타일(Life Style) 체험점'을 공식 개장했다. LG전자가 중국 내에 오프라인 체험 공간을 선보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전자는 프리미엄 가전 수요가 증가하는 중국 시장을 겨냥해 톈진을 전략 거점으로 삼았다. 톈진은 베이징, 상하이에 이어 중국의 제3도시로 꼽히는 도시다. 특히 고급 주거공간에 대한 수요가 높아, 공간 맞춤형 가전에 대한 관심이 높은 지역이다. 체험점은 실제 주거 공간과 유사한 형태로 꾸며졌다. △세탁기 △건조기 △식기세척기 등 생활가전부터 △에어컨 △공기청정기 같은 공조 제품 △TV △노트북 등 전 제품군이 전시돼 있다. 소비자는 제품 디자인과 성능을 자연스럽게 체험할 수 있다. 방문은 자유롭게 가능하며, 단체 방문 시에는 사전 예약이 필요하다. LG전자는 톈진 매장의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내 추가 매장 개설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번 개장은 변화하는 중국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구매 패턴에 대
[더구루=오소영 기자] 두산에너빌리티의 베트남 법인 '두산비나'가 꽝응아이성 정부와 20여 년의 파트너십을 다졌다. 꽝응아이성 당서기와 회의를 갖고 대내외 경제 환경에 민첩하게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HD현대 품에 안긴 이후에도 현지 정부의 지원을 토대로 지속적인 성장을 모색한다. 22일 꽝응아이성 기관지 '바오 꽝응아이(Bao quangngai)'에 따르면 김효태 두산비나 법인장은 지난 21일(현지시간) 부이 티 꾸안 빈(Bùi Thị Quỳnh Vân) 당서기와 만났다. 두산비나의 사업장이 있는 꽝응아이성 중꾸엇(Dung Quat) 산업공단의 책임자 '르엉 낌 썬(Lương Kim Sơn)'을 비롯해 성 정부 관계자들이 배석했다. 김 법인장은 회사 운영 현황과 발전 방향을 보고했다. 글로벌 경제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고 더욱 강력한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자 전략적 조정을 꾀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두산비나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유리한 환경을 조성해 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빈 당서기는 두산비나가 지역에서 이룬 성과를 호평했다. 연 매출 약 2억 달러(약 2700억원)를 올리며 지역의 세수 증대와 수출 활성화에 기여했다고
[더구루=정등용 기자]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최근 신규 원전 사업에 대한 환경 인허가를 승인했지만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23일 남아공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환경단체들은 이번 신규 원전 사업에 대한 정부의 환경 인허가 승인 결정에 대해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환경단체들은 "원전 개발시 우려되는 환경 파괴 가능성 뿐만 아니라, 운영 시기 종료 후 재가동을 위한 추가 비용도 막대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디온 조지 남아공 산림·어업·환경부 장관은 지난 13일 “신규 원전 사업에 대한 환경 인허가를 승인했다”고 밝혔다.<본보 2025년 8월 14일 참고 남아공 '15조' 신규 원전 환경 인허가 승인…한전·한수원 수주 행보 본격화> 남아공 환경단체들은 지난해 8월에도 이번 사업에 대한 이의를 한 차례 제기한 바 있다. 이후 사업 진행이 일시 중단 됐지만 환경부의 이번 결정으로 다시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이번 사업은 남아공 국영 전력회사 ‘에스콤(Eskom)’이 웨스턴케이프 주 듀이네폰테인에서 추진하고 있다. 에스콤이 운영하는 코버그 원전 인근에 총 1250㎿급 대형 원전 2기를 건설하는 것으로, 가동 시점은 2032~2033년으로 예상된다. 한국전력
[더구루=정등용 기자] 코오롱글로벌이 전라남도 완도에서 추진 중인 '장보고 해상풍력사업'의 기술 자문사로 DNV(노르웨이 선급)를 선정했다. DNV는 세계 풍력발전 인증 1위 업체로 평가 받는다. 코오롱글로벌은 20일 DNV와 장보고 해상풍력사업에 대한 기술 자문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기간은 2년으로 터빈 선별에 대한 자문 서비스 외에 △프로젝트 관리 지원 △입찰 준비 △입찰 평가 △계약 협상 등이 이번 계약에 포함됐다. 노르웨이 DNV는 지난 1864년 설립된 해상풍력 인증기관으로 전 세계 100여 개국에 현지 사무소를 두고 있다.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풍력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프로젝트 비용 분석은 물론 에너지 생산량 산출, 풍력터빈 설계, 하부구조물 분석·설계 등을 지원하고 있다. 장보고 해상풍력사업은 지난 2012년부터 코오롱글로벌이 추진해왔다. 총 사업비 약 3조3000억원, 발전용량 400㎿ 이상 규모로 오는 2027년 착공해 2030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상업운전 시 연평균 120만㎿의 전력을 생산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4인 가족 기준 28만 가구가 연간 사용할 수 있는 발전량이다. 코오롱글로벌은 이번 사업 추진을
[더구루=오소영 기자] 올해 상반기 중국 소비자용 확장현실(XR) 기기 판매가 저조했다. 증강현실(AR) 기기 판매량이 증가한 반면 가상현실(VR) 기기는 감소해 희비가 엇갈렸다. 23일 CINNO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 소비자용 XR 기기 판매량은 26만1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했다. AR 기기 판매량은 같은 기간 35% 증가해 18만6000대를 기록했다. 반면 VR 기기는 7만5000대로 최근 3년간 판매량 중 최저치였다. CINNO리서치는 AR 기기의 경우 연이은 신제품 출시와 이구환신(새 가전제품을 사면 정부가 보조금을 주는 정책) 보조금, '6.18 쇼핑데이' 할인 혜택 등으로 판매가 호조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반면 VR 기기는 지원 콘텐츠가 여전히 부족하며, 눈에 띄는 신제품 출시 소식도 없었다. 올해 전체 소비자용 XR 기기 판매량은 전년 대비 6.5% 늘어 60만6000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AR 시장 성장세가 VR 기기의 판매 부진을 만회할 전망이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BYD가 세계 전기차 레이싱 기록을 새롭게 썼다. 전기 슈퍼카 ‘양왕(Yangwang) U9 트랙 에디션’이 시속 472.4km(293.5마일)을 기록, 리막(Rimac) 네베라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전기차 자리에 올랐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BYD 전기 슈퍼카 양왕 U9 트랙 에디션은 지난 8일(현지시간) 독일 파펜부르크(Papenburg) ATP 자동차 테스트 트랙에서 시속 472.4km(293.5마일)을 기록,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전기차로 자리매김했다. 기존 최강자로 꼽히던 리막 네베라의 기록인 431.4km를 넘어선 것이다. U9 트랙 에디션은 4개의 전기모터를 탑재, 총 2960마력(hp)의 출력을 발휘한다. 이는 리막 네베라가 보유한 1989마력 성능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차량 중량 대비 출력 비율 역시 톤당 1000마력이 넘어 리막(800마력/톤)을 압도한다. BYD는 지난해 양왕 U9 일반형 모델로도 최고 시속 391.9km를 기록했으나, 당시에는 네베라의 431.4km 기록을 넘지 못했다. 하지만 이번 트랙 에디션은 공기 저항을 최소화한 세팅으로 네베라의 벽을 단숨에 돌파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베트남이 세계 1위 해상풍력 개발·투자 전문기업인 덴마크 코펜하겐 인프라 파트너스(Copenhagen Infrastructure Partners, CIP)와 협력해 중부에 해상풍력발전을 개발한다. 베트남은 해상풍력의 개발로 재생에너지 사업 확장과 국내 지원 산업 체인을 구축해 국가 에너지 안보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베트남 국영 에너지기업 페트로베트남은 22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에서 CIP와 베트남 해상풍력 개발에 대한 공동 개발 협약(JDA)을 체결했다. 협정은 CIP가 운영하는 성장 펀드인 CI GMF II COÖPERATIEF U.A.와 페트로베트남 간 협정서 교환으로 진행됐다. CI GMF II는 베트남을 포함한 신흥 시장의 녹색 에너지 인프라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펀드이다. 이들은 지난해 3월 베트남 중부 해상풍력 개발 관련 업무 양해각서(MOU)를 서명한 뒤 1년 5개월 만에 공동 개발을 본격화한다. 양사는 이번 협정을 바탕으로 과거 중부 빈투언성(현재 람동성)에 위치한 3.5GW 규모의 라간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개발할 계획이다. 총 투자액은 105억 달러(약 14조6000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