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한아름 기자] 일본 시오노기제약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 등 감염병 치료제·백신 사업 강화에 나선다. 해당 사업 부문에서만 올해 매출 1000억엔(약 9470억원)을 달성하겠단 목표다. 매출 부진의 늪에 빠진 일동제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시오노기제약은 일동제약과 코로나 치료제 조코바 공동 연구를 진행해온 바 있다. [유료기사코드] 시오노기제약은 2일 감염병 치료제·백신 사업 경쟁력을 강화해 해외 매출을 늘리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먼저 중국과 동남아 시장을 중심으로 인플루엔자 백신 관련 마케팅 활동을 펼친다. 브랜드 인지도와 제품력을 기반으로 이후 미국 시장까지 진출한다는 목표다. 조코바 관련해서는 예방약으로도 쓰일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한다. 기존에는 경증·중등도 코로나 환자에게만 쓰였으나 발병 위험이 큰 노약자 등을 대상으로 예방약으로 쓸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한다. 판매국 또한 확대한다. 중국과 대만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쓰일 수 있도록 임상시험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달 두 번째 코로나 신약 개발에 도전했다. 코로나 신약후보물질 'S-892216' 관련 임상 1상을 개시했다. 임상 자
[더구루=정등용 기자] 캐나다 리튬 이온 배터리 재활용 업체 라이사이클(Li-Cycle)과 스위스 광산 업체 글렌코어(Glencore)가 추가 파트너십을 맺고 협력 관계를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라이사이클과 글렌코어는 지난 1일(현지시간) 장기 상업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에 따르면 글렌코어는 라이사이클의 스포크 시설에 사용되는 배터리 원료와 라이사이클 허브 시설에 사용되는 블랙 매스·황산을 공급할 예정이다. 글렌코어는 또한 라이사이클의 배터리 등급 최종 제품을 마케팅 해 기존 파트너십을 보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글렌코어는 2억 달러(약 2600억 원) 규모의 전환사채 매입으로 라이사이클에 대한 투자를 완료했다. 채권 만기는 5년이며 주당 9.95달러의 가격에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이번 투자의 일환으로 글렌코어 재활용 부문 책임자인 쿠날 신하가 라이사이클 이사회에 합류할 예정이다. 글렌코어와 라이사이클은 지난 10일 이탈리아 포르토베스메에 유럽 최대 규모의 폐배터리 재활용 시설을 설립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내년 중반까지 타당성 조사를 마무리 한 후 이르면 오는 2026년 말께 시운전에 돌입한다는 목표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의 글로벌 마케팅을 담당하는 이노션이 인도 시장 입지 확대에 드라이브를 건다. 전년 대비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기록해 마케팅 업체 '톱10' 지위를 이어가는 가운데 전문 인력을 대거 충원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이노션 인도법인은 최근 파르토 차크라바티(Partho Chakrabarti)와 아누바브 말호트라(Anubhav Malhotra), 아스타 사크데바(Astha Sachdeva), 아룬 우파디야이(Arun Upadhyay) 등 각계 분야 전문가 4명을 영입했다. 파르토 차크라바티는 기아 브랜드 사업본부장으로 임명됐다. 그는 Marcom(마케팅+커뮤니케이션) 시장에서 약 20년간 경험을 쌓은 전문가이다. 이노션 입사 전 Rattan India Enterprise에서 근무했다. 앞으로 기아 브랜드 관련 통합 의제를 도출해 각 팀의 협력을 도모하고 우선 사업 순위를 정한다. 아누바브 말호트라는 기아 디지털 책임자로 합류했다. 미디어 광고 분야에서 약 15년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 그는 디지털 광고통으로 불린다. FMCG를 비롯해 여행, 내구소비재 등 분야를 막론하고 산업 전반에 걸쳐 경험을 쌓았다. 아디다스와 서브쉐이 등
[더구루=정예린 기자] SK E&S의 핵심 파트너사인 미국 수소기업 '플러그파워'가 유럽에서 3건의 대규모 전해조 주문을 확보했다. 유럽에서 잇따라 수주 행보를 이어가며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4일 플러그파워에 따르면 회사는 △스웨덴 '아르다 글래스' △노르웨이 '하이드로 하브란드' △독일 'APEX그룹'에 5MW급 전해조를 공급하는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3건의 계약을 통해 4개의 전해조를 납품한다. 전해조는 녹색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수전해 설비다. 플러그파워가 공급하는 5MW급 전해조는 하루 2.1t의 수소를 생산해 수소충전소 저장탱크에 저장한다. 아르다 글래스와 하이드로 하브란드는 각각 1개의 전해조를 납품받는다. 아르다 글래스는 확보한 녹색수소를 유리 생산 공정에 투입해 탄소 배출량을 줄인다. 하이드로 하브란드는 노르웨이 호이앙에르(Hoyanger)에 위치한 자사 알루미늄 재활용 공장에 전해조를 설치, 순환 경제를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APEX그룹은 파트너사인 세계 1위 철강 회사 '아르셀로미탈(ArcelorMittal)'와 독일에서 용광로 탈탄소화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 플러그파워에 전해조를 주문했다. 플러그파워는
[더구루=한아름 기자] LG화학이 스웨덴 바이오기업 스프린트 바이오사이언스(Sprint Bioscience)와 비알코올성지방간염(NASH) 치료제 공동 연구를 중단한다. 지난 2019년부터 스프린트 바이오사이언스와 NASH 치료제 공동 연구를 진행해 왔으나 상업적 가치가 낮다고 판단, 연구에서 손 뗀다. 다만 LG화학은 다른 NASH 신약후보물질 연구에 역량을 집중하겠단 계획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스프린트 바이오사이언스가 LG화학과의 파트너십이 종료됐다며 파트너사 모집에 나섰다. 마티아스 스캄스타드(Mathias Skalmstad) 최고경영자(CEO) 대행은 "LG화학이 다른 신약후보물질에 투자하기를 결정했다며 공동 연구를 추진할 의사가 없다고 밝혔다"며 "최근 임상에서 성장 잠재력이 큰 것을 확인한 만큼 새로운 파트너사를 모집할 것"이라고 전했다. LG화학은 스프린트 바이오사이언스와 공동 연구는 중단하지만, 또 다른 NASH 치료제 연구에 집중하겠단 계획이다. 지난 2020년 트랜스테라 바이오사이언스(TransThera Biosciences)로부터 NASH 치료제 후보물질 'TT-01025'(LG303174)의 중국, 일본을 제외한 미주 및 유럽지역 등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멕시코 국민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지 사회적 책임(CSR) 활동 강화를 토대로 지역 발전과 환경 보호에 앞장선 결과 5년 연속 사회공헌기업에 선정됐다. 3일 멕시코 사회공헌 재단(CEMEFI)에 따르면 기아는 최근 CEMEFI 선정 사회공헌기업(ESR) 목록에 5년 연속 이름을 올렸다. ESR은 사회적 책임과 지속 가능성에 전념하는 기업에 주어지는 표창이다. 기업 윤리와 지역 사회 공헌, 환경 보호 활동 등 현지 CSR 활동을 토대로 평가한다. 경제 및 사회적 측면에서 환경과 건강, 보안을 위한 정책 및 캠페인을 적극 펼친 데 따른 결과라는 설명이다. 특히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환경 조성을 위한 탄소배출 중립을 목표로 환경 보호에 앞장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리카르도 게라(Ricardo Guerra) 기아 멕시코 홍보총괄은 "5년 연속 ESR을 수상하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전 직원이 함께 지역 사회를 지속 가능한 환경으로 만들기 위해 매일 헌신한 데 따른 결과"라고 강조했다. 기아는 품질 및 생산 기준을 높이는 동시에 전 직원이 환경에 헌신하는 일원이 됐다는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이어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오만 HVAC(난방·환기·공조) 솔루션 전문 유통사와 손을 잡는다. 맞춤형 프리미엄 공조시스템을 제공, 중동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3일 LG전자에 따르면 걸프법인은 최근 블루레이크 테크놀로지(Blue Lake Technologies, 이하 블루레이크)와 HVAC 솔루션 유통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사는 오만에 운영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고품질 공조시스템을 제공한다는 목표다. 증가하고 있는 현지 수요에 적기 대응해 시장점유율을 높일 계획이다. LG전자의 주력 제품인 멀티브이 시리즈 판매에 주력할 방침이다. 멀티브이 시리즈는 LG전자의 대표적인 고효율 대용량 시스템 에어컨(VRF) 라인업이다. 건물의 크기, 특징, 용도에 따라 최적의 냉난방을 구현하는 게 특징이다. LG전자가 독자 개발한 고효율 인버터 컴프레서를 탑재했으며, 실내외 온도뿐 아니라 습도까지 자동으로 감지해 절전효과를 높여준다. 극한의 온도에서도 최적의 성능과 안전성을 보장한다. 블루레이크는 지난 2002년 설립된 회사다. 에어컨, 난방, 냉장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도매·유통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어 가정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와 루프트한자테크닉의 합작사 'AERQ'가 항공기 좌석용 디스플레이의 안전성을 입증했다. 안전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며 경쟁력을 강화, 글로벌 시장 내 입지를 확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AERQ는 독일 장거리 레저노선 전문 항공사 '유로윙스 디스커버'의 에어버스 A320 항공기 내 좌석 등받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대한 머리 상해 수준(HIC) 테스트에서 합격점을 받았다. HIC는 사고 발생시 인체가 머리에 받게 될 충격을 수치화한 것이다. 항공기에 설치되는 부품·장비들이 받아야 할 주요 안전 인증 중 하나다. AERQ는 올 3월에도 국제 항공우주 산업 주요 품질 인증인 'AS 9100와 'EN 9100’를 확보한 바 있다. 설계, 개발, 설치,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공급망 전반에 대한 품질이 보장된 셈이다. AS·EN 9100은 국제항공품질협회(IAQG)가 항공, 우주, 방위 분야에서 요구되는 안전성, 신뢰성, 특수요건을 반영해 제정한 국제 표준 규격이다. 항공산업 진출에 필수적인 인증으로 AS는 북미, EN은 유럽용이다. <본보 2023년 3월 16일 참고 'LG·루프트한자 합작' AERQ, 항공산업 글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처음으로 '메이드 인 베트남' 냉장고를 선보였다. 하이퐁 공장에 냉장고 생산라인을 신설하고 글로벌 주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한다. 1일 LG전자에 따르면 베트남법인은 하이퐁 공장에서 자체 생산한 일반형 냉장고 완제품을 첫 출하했다. 지난해 냉장고 생산라인을 구축한지 1년도 채 안돼 이뤄낸 성과다. 하이퐁 공장에서 제조한 냉장고는 상단에 냉동고, 하단에 냉장고가 있는 일반형 제품이다. 필요한 부품을 현지에서 조달하거나 해외에서 수입, 전체 조립 공정을 거쳐 탄생한다. 베트남산 냉장고는 내수 시장은 물론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대만, 싱가포르 등 인근 아시아 국가와 페루, 가나, 나이지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 남미·중동에도 수출된다. LG전자는 증가하는 글로벌 냉장고 수요에 대응하고자 작년 하이퐁 공장에 냉장고 제조 시설을 건설했다. 지난 2021년 스마트폰 사업 철수에 따른 생산라인 재편 작업 일환으로 관측된다. 기존에는 한국, 인도, 중국, 인도네시아, 멕시코 등에서만 냉장고를 생산해왔다. 하이퐁 냉장고 신규 라인 가동을 계기로 올해 LG전자의 연간 냉장고 생산량은 1000만 대를 돌파할 것으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테슬라가 글로벌 프리미엄 자동차 시장에서 처음으로 독일 3사, 이른바 'BBA'(벤츠·BMW·아우디) 막내인 아우디를 추월했다. 가격 인하 정책과 전기차 생산 역량 확대를 토대로 데드크로스를 만들었다. [유료기사코드] 5일 독일 시장 조사 업체 슈미트 오토모티브 리서치(Schmidt Automotive Research)에 따르면 테슬라는 지난 1분기(1~3월) 글로벌 프리미엄 자동차 시장에서 총 42만2875대를 판매, 처음으로 아우디를 따돌렸다. 아우디는 같은 기간 총 41만5700대를 기록했다. 가격 인하 정책과 독일 브란덴부르크 공장 전기차 생산 속도 증가가 맞물린 데 따른 성과다. 브란데부르크 공장의 경우 지난 3월 주당 5000대 생산을 돌파한 이후 지속해서 생산량을 늘려가고 있다. 테슬라는 이곳 공장이 연말 1만대 생산을 달성할 것으로 보고 있다. BMW와 벤츠도 사정권에 놓였다. 양사는 같은 기간 각각 약 53만대와 50만대를 판매했다. 테슬라를 약 8~11만 대 차이로 앞서고 있지만 현재 생산 속도 등을 고려할 때 테슬라가 이르면 4분기 이들 업체를 모두 제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테슬라는 올해 글로벌 생산 목
SK가 투자한 미국의 플러그파워가 핀란드에 그린수소 생산 거점 세 곳을 구축하고 하루 850톤(t)의 생산능력을 확보합니다. 현대자동차가 중국 그레이터 베이 내 1700조 규모의 핵심 수소 사업자로 나섭니다. 한국광해광업공단이 캐나다의 최대 광물 생산지 브리티시컬럼비아주(州)와 지난 1일 코미르와 핵심 광물 개발 협력을 위한 협약을 맺었습니다. 오리온이 올해 베트남에서 제과류 가격을 동결하며 고객 친화 정책과 현지 차별화로 반등을 노립니다. 상세기사 'SK 투자' 플러그파워, 핀란드서 그린수소 생산...글로벌 수소공급망 강화 [단독] 현대차, '1700조' 中그레이터 베이 수소사업 추진…장재훈·왕웨이중 '빅픽쳐' 논의 [단독] 韓, 캐나다 최대 광물 생산지 BC주와 맞손 "올해도 가격 인상없다"…오리온, 베트남 현지 차별화로 반등 노린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미니맥스(MiniMax)가 텐센트 등으로부터 대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미니맥스는 미중 갈등 속 중국형 챗GPT 구축에 속도를 낸다. 로이터통신은 1일(현지시간)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미니맥스가 12억 달러 가치를 기반으로 2억5000만 달러(약 3300억원) 자금 조달 작업을 거의 마무리했다고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텐센트에 논평을 요청했지만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미니맥스는 2021년 중국의 AI회사 센스타임의 부사장 출신 얀 준지에를 중심으로 20명의 센스타임 출신 직원들이 모여 설립했다. 미니맥스는 중국판 오픈AI를 꿈꾸며 글로우라는 AI앱을 개발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니맥스는 초기 자금을 모바일 MMORPG 원신을 개발한 미호요에서 지원 받았으며 바이두의 AI모델보다 더 좋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번 투자에 대해 경기침체와 미국의 견제로 중국 투자 환경이 압박을 받고 있지만 AI 부문에 대한 중국 내 투자자들 관심이 얼마나 큰 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라는 평가다. 실제로 지난 3월에는 AI스타트업 프론티스(Frontis, 衔远科技)가 수억 위안 규모의 투자를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산업용 레이저 전문기업 '트럼프(TRUMPF)'가 중국에 새로운 거점기지를 마련했다. 갈수록 거세지고 있는 미국의 대중 수출 규제에도 아랑곳 않고 중국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7일 트럼프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중국 광동성 심천(선전)시에 신규 레이저 응용 센터를 오픈했다. 심천 사업장은 트럼프가 세계에서 9번째, 중국에서 2번째로 설립한 레이저 기술 연구개발 시설이다. 트럼프는 1923년 설립돼 100여 년의 업력을 자랑하는 유서깊은 회사다.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 핵심 장치를 개발한다. 독일 자이스·프라운호퍼 IOF 연구소, 네덜란드 ASML, 벨기에 아이멕 등 1200여 개 기업·대학·연구소와 함께 'EUV 얼라이언스'에 소속돼 있다. EUV 장비에서 EUV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플라즈마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플라즈마는 진공상태에서 EUV 광원에 탄산가스를 공급하고 이를 증폭시킨 뒤 주석(Sn)과 결합해 발생된다. 트럼프는 이 과정에서 필수 소재인 탄산가스 레이저 설비를 제조한다. 트럼프는 2000년 장쑤성 소주시에 전액 출자 자회사를 설립하며 중국 시장에 첫 발을 내딛었다. 심천시와 소주시 외에
[더구루=정등용 기자] 인텔이 이스라엘 자율주행 기업 모빌아이(Mobileye) 지분 일부를 매각한다. 신규 투자 자금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7일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인텔은 14억8000만 달러(약 1조9300억 원)의 투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모빌아이 지분 일부를 매각할 예정이다. 매각은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가 주관한다. 모빌아이가 미국 규제 당국에 제출한 계획안을 보면 인텔은 모빌아이 주식 3500만 주를 매각하고 525만 주를 추가로 매각할 수 있는 옵션을 보유하고 있다. 인텔이 모빌아이 지분 일부를 매각하더라도 지분율은 88%에 이를 전망이다. 인텔의 모빌아이 지분 매각 계획은 투자 자금 확보 차원으로 풀이된다. 앞서 패트릭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제조 기술을 빠르게 발전시키기 위해 관련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인텔은 지난 2017년 153억 달러(약 17조5600억 원)에 모빌아이를 인수했다. 이후 모빌아이는 지난 2022년 10월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됐으며 현재까지 2배 이상 주가가 급등했다. 올해 주가 상승률은 21%에 이른다. 모빌아이는 지난 1999년 설립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