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SK에코플랜트가 미국 수소연료전지 기업 블룸에너지(Bloom Energy)에 대한 추가 투자를 완료했다. 북미 연료전지 시장 공략에 더욱 속도를 높일 전망이다. 블룸에너지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를 통해 지난 20일(현지시간) SK에코플랜트와 투자 계약에 따라 1349만1701주 규모의 의결권이 없는 시리즈B 상환전환우선주(RCPS)를 발행·매각했다고 24일 밝혔다. 인수액은 주당 23.05달러로 총 3억1100만 달러(약 4000억원)에 이른다. 향후 클래스A 보통주로 전환이 가능하다. SK에코플랜트는 이번 투자로 이 회사 지분 11.6%를 확보했다. SK에코플랜트는 앞서 지난해 12월 상환전환우선주 1000만주를 클래스A 보통주로 전환한 바 있다. <본보 2022년 12월 13일자 참고 : [단독] SK에코플랜트, 블룸에너지 지분 11.6% 확보…상환전환우선주 실행> 양사는 또 최대 약 3억1100만 달러(약 4000억원) 규모의 신용 약정도 맺었다. 블룸에너지는 특정 조건이 충족하는 경우 SK에코플랜트에 만기 5년, 금리 4.6% 조건으로 대출을 요청할 수 있다. 양사간 투자가 완료됨에 따라 북미 연료전지 사
[더구루=최영희 기자] KB자산운용이 20일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 펀드 4종’(이하 청년펀드)을 출시했다. 청년펀드로 출시되는 펀드는 총 4종이다. ‘KB 지속가능 배당 청년형 소득공제 펀드’, ‘KB 지속가능 배당 50 청년형 소득공제 펀드’, ‘KB 한미 대표성장 청년형 소득공제 펀드’, ‘KB 한국 인덱스 50 청년형 소득공제 펀드’ 등이다. 청년펀드는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20에 의거하여 청년층의 자산형성을 위해 출시된 펀드로, 2023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할 수 있다. 가입 대상은 연간 급여액이 50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이 3800만원 이하인 만 19∼34세 이하의 청년이다. 가입자는 최소 3년에서 최대 5년까지 연간 60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으며, 납입금액의 40%(연간 240만원 한도)에 대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가입자가 5년간 연 600만원씩 청년펀드에 납입한다면 총 납입금액의 40%인 1200만원에 대하여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세율 16.5%(과세표준 연소득 1400만∼5000만원 구간)를 적용하면 최대 5년간 198만원의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 KB자산운용 연금WM본부 이석희 상무는 “청년펀드는 동일한 전략
[더구루=정예린 기자] 한종희 삼성전자 DX부문장(부회장)이 로봇과 인공지능(AI)을 필두로 한 미래 먹거리 확보 의지를 다졌다. 가전 등 전통 사업에도 접목해 시너지를 내고 불황을 돌파한다는 계획이다. 한종희 부회장은 21일 서울 중구 커뮤니티 하우스 마실에서 열린 삼성전자 비스포크 라이프(BESPOKE Life) 미디어데이 행사에서 "로봇은 또 하나의 성장동력으로 삼고 한걸음씩 나아가고 있다"며 "전사적인 역량을 집중해 새로운 사업을 찾고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삼성리서치에서는 많은 엔지니어가 모여 삼성 로봇 플랫폼을 만들고 있다"며 "로봇 사업팀은 올해 출시될 보행보조 로봇 'EX1'을 만들고 있으며, 로봇 청소기도 청소기뿐 아니라 더 발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최근 로봇 사업 육성을 본격화하고 있다. 국내 로봇 개발업체 레인보우로보틱스 지분 14.99%를 확보했고, 연내를 목표로 인수합병(M&A)도 추진하고 있다. 지난 2019년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에서 '삼성봇'을 처음 선보이며 로봇 사업 진출을 공식화한지 4년여 만이다. 한 부회장은 대화형 AI '챗GPT'의 가전 사업 활용 가능성도
[더구루=정예린 기자] 캐나다 '시그마리튬(Sigma Lithium)'이 미국 공매도 투자사의 표적이 됐다. 기업가치가 과대평가 됐다며 테슬라의 인수설(說)을 일축하고, 개발중인 브라질 리튬 프로젝트에 의문을 제기했다. [유료기사코드] 그리즐리리서치(Grizzly Research)는 21일(현지시간) '시그마리튬: 가짜 타당성 조사 및 생산 지연으로 인해 투자자들은 매수를 기도하게 될 것’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냈다. 시그마리튬의 주가가 약 50~75%까지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우선 주가 급등의 핵심 요인이었던 테슬라의 인수 가능성이 현저히 낮다고 판단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관심이 기존 스포듀민(고순도 리튬 광물광석)에서 네바다에서 사용 가능한 점토 광물 정제로 옮겨가고 있으며, 위험 요소가 상대적으로 낮은 오프테이크 계약을 활용하는 방안을 더 선호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인수가도 터무니 없이 높다고 봤다. 현재 매각가는 약 31억~47억 달러(4조~6조1288억원) 수준으로 논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이는 약 56%의 프리미엄이 붙은 금액이다. 그리즐리리서치는 실제 리튬을 생산하고 있는 리오틴토 보다 높은 금액이 오가는
[더구루=최영희 기자] 주방가전 전문 브랜드 하우스쿡이 이달 28일부터 이틀간 태국 방콕서 진행되는 한국우수상품전에 참가한다고 23일 밝혔다. 주최측에 따르면 이번 상품전은 코트라가 국내 기업의 동남아 시장 진출을 지원키 위해 준비 된 것. 기간 동안 전시 쇼케이스 형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혁신산업과 소비재 등 국내 100개사가 참가한다. 하우스쿡 정수조리기는 ‘라면조리기’, ‘즉석라면조리기’로 알려져 있다. 하우스쿡 제품만이 정수 조리가 된다. 간편 조작과 편리성, ‘정수기+인덕션’ 결합이 가장 큰 장점. 평소엔 정수기로, 요리 땐 인덕션으로 쓴다. 현재 정수조리기는 정수기와 인덕션을 동시에 쓸 수 있는 멀티 기능을 인정 받아 사용처를 확대 중이다. 정수조리기는 출시 7년만인 올 3월 기준으로 국내외 2000개소에 설치 운용 중이다. 유럽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를 시작으로 작년 7월 프랑스 K푸드페어, 9월 독일 IFA2022, 올해 진행된 독일 암비엔테 2023에서 참석자들의 호평을 받았다. 동남아는 출시 때부터 적극 진출 중으로 태국과 인도네시아, 베트남에서 진행된 각종 전시회에서 바이어 상담을 진행 시장을 공격적으로 개척 중이다. 하우스쿡 측은 이번
[더구루=최영희 기자] 삼성자산운용은 21일 미국 S&P500 섹터 ETF 4종을 새롭게 상장한다고 밝혔다. 신규 상장하는 ETF는 ▲KODEX 미국S&P500 금융 ▲KODEX 미국S&P500 헬스케어 ▲KODEX 미국S&P500 필수소비재 ▲KODEX 미국S&P500 경기소비재 총 4종이다. 미국 S&P500 섹터 ETF는 대표지수 투자와 개별주식 투자의 중간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만큼 미국 대표지수인 S&P500의 주요 기업들에 효율적으로 분산 투자가 가능하면서, 동시에 투자자가 원하는 섹터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수 있다. 실제로 미국 S&P500 섹터 ETF는 경기순환 사이클에 따라 차별화된 움직임을 보이는 섹터들을 선택해 투자하는 로테이션 전략을 취할 수 있다. 경기가 조정·하락하는 추세에서는 헬스케어, 필수소비재 섹터가, 경기가 회복·상승할 때는 경기소비재 섹터가 차별적인 상승세를 기록했다. 이처럼 경기 국면에 따라 유망한 섹터, 투자자가 원하는 섹터에 집중 투자할 수 있다. 삼성자산운용은 국내 투자자들의 미국 투자 수요에 부응하고자, 미국 섹터 중 기존에 상장되어 있던 에너지, 산업재 섹터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가 동남아시아 디지털 신용 플랫폼 기업 크레디보 홀딩스(Kredivo Holdings, 이하 크레디보)에 대한 추가 투자를 단행했다. 크레디보는 글로벌 경체 침체 속 투자가 얼어붙고 있는 가운데 대규모 펀딩 유치에 성공하며 성장 가능성을 증명했다. 크레디보는 23일(현지시간) 1억2500만 달러를 투자한 미즈호 파이낸셜 그룹이 주도한 시리즈D 투자 라운드를 통해 2억7000만 달러(약 3500억원)를 조달했다. 이번 펀딩으로 크레디보는 현재까지 총 4억 달러를 조달하게 됐다. 이번 펀딩에는 네이버 파이낸셜을 비롯해 스퀘어 페그 캐피털, 정글 벤처스, GMO 벤처 파트너스, 오픈스페이스 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크레디보는 이번 펀딩에서 평가된 가치를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매번 라운드마다 평균 4배 이상씩 가치가 증가해왔다고 전했다. 크레디보 홀딩스는 이전에는 핀액셀(FinAccel)로 알려졌으며 현재 핀테크 플랫폼 크레디보, 네오뱅크 '크롬 뱅크 인도네시아' 등을 운영하고 있다. 크롬 뱅크 인도네시아는 현재 최종 승인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내 예금, 트랜잭션 뱅킹 서비스 등을 출시한다. 크레디보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기반으로
[더구루=정등용 기자] 데이터 시각화 기업 그라파나(Grafana)가 오픈 소스 연속 분석 플랫폼 파이로스코프(Pyroscope)를 인수했다. 그라파나는 자사 연속 관측 데이터베이스인 플레어(Phlare)와 파이로스코프를 통합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그라파나는 20일 파이로스코프에 대한 인수 계약을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지난 2020년 설립된 파이로스코프는 와이콤비네이터의 지원을 받아 지난 2021년 초기 투자 라운드를 유치했다. 이후 센서 타워와 컨플루언트, 라인, 플레이드 등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다. 파이로스코프는 eBPF를 사용해 리눅스 커널에서 기업 인프라 전반에 관한 데이터를 직접 수집할 수 있다. 이 데이터는 배드저DB(BadgerDB)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파이로스코프 서버에 전송된다. 그라파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시스템의 등장으로 지속적인 프로파일링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파이로스코프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특히 파이로스코프는 회사 전체 컴퓨팅 인프라에 대한 정기적인 스냅샷을 생성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그라파나의 관심이 높았다. 최근엔 5억4000만 달러(약 7088억 원)의 투자 자금도 유치하면서 파이로스코프 인
[더구루=오소영 기자] HD현대의 엔진기계사업부(HHI-EMD)가 일본 선박 엔진 업체와 특허 라이선스 계약을 연장했다. 저속엔진 기술을 확보해 글로벌 시장에서 선두 지위를 공고히 한다. 일본엔진(J-ENG)은 지난 17일(현지시간) HD현대의 엔진기계사업부(HHI-EMD)와 UE 엔진에 대한 특허 라이선스 계약을 갱신했다고 밝혔다. UE 엔진은 일본에서 유일한 저속 엔진 브랜드다. 미쓰비시 중공업이 1910년대 개발한 디젤 엔진을 기반으로 개발됐다. 일본엔진은 1984년부터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UE 엔진 기술을 수출했다. HD현대 엔진기계사업부는 UE 엔진의 성능과 경제성, 친환경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일본엔진과의 협력을 강화해 저속엔진 사업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마켓츠앤마켓츠에 따르면 세계 선박용 엔진 시장 규모는 2022년 117억 달러(약 15조원)에서 2027년까지 133억 달러(약 17조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세계적인 환경 규제 강화로 고성능 엔진의 수요가 증가하며 UE 엔진도 주목받고 있다. HD현대 엔진기계사업부는 10년의 연구 끝에 지난 2000년 중형 저속엔진 모델인 '힘센엔진'을 개발했다. 모듈화 설계와 뛰
[더구루=오소영 기자] 효성의 타이어코드 공장을 운영하는 룩셈부르크 법인(Hyosung Luxembourg S.A.) 노사가 임금협상을 원만히 타결했다. 룩셈부르크 노조 OGBL과 LCGB는 지난 13일(현지시간) 효성첨단소재 룩셈부르크 법인과 단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노사 합의안에 따라 2024년부터 시급제 직원은 시간당 0.1유로, 월급제 직원은 월 17.3유로 기본급이 인상된다. 고강도 작업에 대한 수당은 이달부터 시간당 0.9유로에서 1.5유로로 상향된다. 이번 단체협약은 120여 명의 효성 직원을 대상으로 한다. 효성첨단소재는 2006년 글로벌 타이어 업체인 굿이어로부터 룩셈부르크 타이어코드 공장을 인수하며 현지에 진출했다. 생산 물량을 전량 유럽에 공급하며 유럽의 전진기지로 도약했다. 효성첨단소재는 승용차 타이어에 주로 쓰이는 폴리에스터(PET) 타이어코드 시장에서 46%의 점유율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가 북미에서 태양광 가치사슬(밸류체인)을 완성한다. 한화솔루션 큐셀부문(한화큐셀)이 조지아주에 대규모 태양광 통합 생산단지를 짓는 가운데 한화첨단소재도 인근에 태양광 모듈용 시트의 핵심 소재인 'EVA 시트' 신공장 건설을 결정했다. 23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 주정부에 따르면 한화첨단소재 조지아법인(Hanwha Advanced Materials Georgia Inc, 이하 HAGA)은 카터스빌시 내 산업단지(Highland 75 Corporate/Industrial Park)에 1억4700만 달러(약 1880억원)를 투자해 EVA 시트 공장을 설립한다. 2024년 여름부터 가동하고 엔지니어와 생산라인 운영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160명 이상 고용할 예정이다. 신공장이 들어설 산업단지는 GRAD(Georgia Ready for Accelerated Development) 인증을 받은 곳이다. GRAD는 조지아 주정부가 전력 인프라와 환경 영향 등을 포괄적으로 평가해 빠르게 공장을 건설할 수 있도록 준비가 끝난 사이트에 부여하는 인증이다. HAGA는 이번 투자를 통해 EVA 시트 사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한화큐셀 조지아 공장과도 시너
[더구루=최영희 기자] NFT·메타버스 전문기업인 트레져랩스가 글로벌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 플랫폼 ‘솔라나’ 운영사인 솔라나 재단(이하 솔라나)으로부터 전략적 투자 유치를 완료했다고 24일 밝혔다. 트레져랩스는 솔라나 재단이 지분을 투자한 최초의 국내 기업이 됐다. 이번 투자 유치를 단행한 솔라나는 트레져랩스가 솔라나 플랫폼에서 웹3.0(Web 3.0) 기반 게임을 개발하고 출시할 수 있도록 다각적 기술 지원과 리소스를 제공한다. 특히 트레져랩스가 개발중인 게임의 P2E(Play-to-Earn) 설계, 토크노믹스 및 관련 기술사항에 대한 전문 지식과 노하우를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또 솔라나는 트레져랩스 소속 개발진이 솔라나 플랫폼상에서 다수 프로젝트를 운영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기술 개발 관련 교육 리소스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지원을 통해 트레져랩스는 솔라나의 블록체인 기능을 접목해 기술적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솔라나 관계자는 “트레져랩스의 Web 3.0 사업과 네트워크 성장성을 높이 평가했다”며, “트레져랩스가 추후 솔라나 생태계에서 잠재적 파트너와 연결하는 아시아의 허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투자 단행에 대한 기대감을 비췄다. 솔라나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기반 암 예측, 테스트 기술 개발기업 아르테라(Artera)가 존슨앤존슨 등으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아르테라는 존슨앤존슨, 코트, 코흐 디스럽티브 테크놀로지스, 월든 카탈리스트 벤처스, 타임 벤처스, 브라이어 캐피탈, 더 팩토리 등 7개 기관과 11명의 앤젤투자자들로부터 9000만 달러(약 1200억원)를 투자받기로 했다. 아르테라는 이와함께 아르테라AI 프로스테이트 테스트라고 불리는 국소 전립선암 치료 효과 테스트도 본격적으로 배포한다고 덧붙였다. 아르테라는 암환자 맞춤형 치료를 위한 AI 테스트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아르테라의 기술을 활용하며 국소 전립선 암 환자에 대한 개인화된 치료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아르테라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기반으로 아르테라AI 프로스테이트 테스트의 미국, 글로벌 배포에 속도를 낸다. 또한 다른 암에 대한 테스트 기술 개발에도 투입할 계획이다. 아르테라 관계자는 "미국 암 협회는 2023년에만 28만8000건 이상의 새로운 전립선암 사례가 발생하고 3만4000명 이상이 사망할 것으로 추정했다"며 "의사들은 아르테라의 테스트를 활용해 환자를 검사하고 예후
[더구루=김형수 기자] 중국 최고의 명주로 꼽히는 마오타이가 아이스크림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중국에서 마오타이를 비롯한 백주 시장이 위축되는 양상을 보이자 신사업 진출을 모색하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마오타이는 지난해 5월 마오타이 아이스크림을 처음 론칭하고 젊은층 공략에 들어갔다. 오리지널, 매실맛, 바닐라맛 등 다양한 라인업을 구축했다. 중국 백주 시장 규모가 쪼그라들자 발빠르게 활로를 찾기위해 움직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중국 전체 백주 생산량은 지난 2016년 1358만톤을 기록한 이후 하락세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해 백주 생산량은 절반에 가까운 671만톤에 그쳤다. 6년 사이에 반토막이 났다. 지난 2016년 생산량이 전년 대비 22.2% 증가한 3만9312톤에 달했던 마오타이 생산량 증가세도 한풀 꺾였다. 이후 증가율은 △2017년 8.9% △2019년 16.0% △2019년 0.5% △2020년 0.6% △2021년 10.2% △2022년 2.7%를 기록했다. 마오타이는 모바일에 친숙한 젊은층을 겨냥한 공식 앱 i마오타이(i茅台)도 출시했다. 앱 내 플랫폼을 통하면 각종 한정판매 주류에 대한 예약, 주력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