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중국의 희토류 영구자석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신에너지차 등 미래 친환경 산업이 본격적인 성장세로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희토류 영구자석은 △스마트폰 △전기차 △드론 △로봇 △에너지절약형 가전제품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전동공구 등 미래 친환경 모빌리티와 산업 현장의 탄소중립 전환에 필수적인 소재다. 중국의 희토류 영구자석 수요는 최근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세계 각국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과 친환경 제품 보급을 확대하면서다. 이 중 신에너지차와 풍력 발전, 에너지절약형 가전 등이 최근 희토류 영구자석 수요 성장세를 이끄는 주요 분야로 꼽힌다. 신에너지차의 경우 지난 2020년 탄소중립이 세계적인 화두로 떠오르면서 판매가 늘고 있다. 지난 2021년 650만 대를 넘어선 데 이어 지난 2022년엔 1000만 대를 돌파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업계는 글로벌 신에너지차 시장 호황이 지속될 경우 올해 희토류 영구자석 공급량이 4만9000톤, 2025년엔 8만 톤을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풍력 발전 인프라도 희토류 영구자석 수요 상승에 힘을 보태고 있다. 실제로
[더구루=오소영 기자] 세계 1위 리튬 업체인 간펑리튬이 아르헨티나 경제부와 만났다. 전 세계 리튬 매장량의 10%를 차지하는 아르헨티나에서 추가 사업 기회를 모색했다. 특히 위안화 결제 도입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져 미·중 경쟁 판도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여 귀추가 주목된다. 2일 간펑리튬에 따르면 리량빈 회장은 지난달 31일 중국 상하이에서 세르히오 마사 경제부 장관이 이끄는 아르헨티나 대표단과 회동했다. 왕샤오센 사장 등 간펑리튬 경영진이 배석했다. 양측은 아르헨티나 광산 개발과 위안화 결제 등을 논의했다. 마사 장관은 아르헨티나가 리튬을 비롯해 주요 광물에서 세계 2위 수출국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간펑리튬과 같은 우수 기업과 협력을 심화하길 희망한다고 전했다. 리량빈 회장도 아르헨티나 사업장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추가 투자 의지를 내비쳤다. 왕샤오센 사장은 간펑리튬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이니셔티브를 설명하고 아르헨티나에서 이를 준수하겠다고 약속했다. 간펑리튬은 아르헨티나 정부와 협력 관계를 돈독히 하고 사업 보폭을 넓힌다. 아르헨티나는 볼리비아, 칠레와 함께 '리튬 삼각주'로 불린다. 수산화리튬(LiOH) 순도가 높아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평가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심화하는 와중에도 많은 미국 헤지펀드가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 주식을 대거 매집했다. 1일 블룸버그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대형 헤지펀드 무어캐피탈은 지난 1분기 미국 증시에 상장된 알리바바 미국주식예탁증서(ADR) 196만5668주를 매수했다. 3월 말일 종가(102.18달러)를 반영하며 2억90만 달러(약 2650억원)에 달하는 규모다. 다른 유명 헤지펀드인 써드포인트도 1분기 알리바바 ADR 132만6450주를 매수하며 폴트폴리오에 새롭게 추가했다. 3월 말일 종가 기준 1억3550만 달러(약 1790억원) 수준이다. 인베스트넷에셋매니지먼트는 188만3022주(1억9240만 달러·약 2540억원)를 샀다. 영화 '빅쇼트'의 주인공 마이클 버리가 이끄는 사이언에셋매니지먼트는 알리바바 ADR 5만주를 추가 매수하며 보유 주식을 10만주로 두 배 확대했다. 사이언에셋 포트폴리오에서 알리바바 주식 비중은 9%에 달한다. 알리바바는 올해 1분기 매출이 2082억 위안(약 38조623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했다. 순이익은 235억1600만 위안(약 4조3620억원)으로 지난해 162억4
[더구루=정등용 기자] 인공지능(AI) 기반 암 진단 솔루션 기업 루닛이 일본 의료기관과 AI 병리학 협력을 진행한다. 양측은 이번 협력을 통해 암 치료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루닛은 1일 AI 병리 솔루션 평가·검증을 위해 국립암센터 동부병원(NCCHE)과 협력을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은 국립암센터 동부병원의 분자 프로파일링 프로젝트인 ‘스크럼-재팬 몬스터 스크린(SCRUM-Japan MONSTAR-SCREEN)’에 루닛의 AI 바이오마커 플랫폼인 ‘루닛 스코프(Lunit SCOPE)’를 활용하는 것이다. 주요 목표는 HER2과 PD-L1 같은 바이오마커를 AI가 정확하게 판독하는지 평가하는 데 있다. 또한 다양한 치료 환경에서 임상 결과를 예측할 때 루닛 스코프 IO가 판독한 면역 표현형과 새로운 바이오마커의 성능을 평가할 예정이다. 스크럼-재팬 몬스터 스크린의 책임 연구자인 타카유키 요시노 박사는 “이번 협력은 암 치료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가져다 줄 것”이라며 “전세계 암 환자를 위한 개인 맞춤형 의료를 선도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번 협력의 첫 번째 연구 결과는 미국임상종양학회(
[더구루=길소연 기자] 카타르 국영 에너지 기업 '카타르에너지'가 40척 상당의 2차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발주 협상을 마무리 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카타르에너지는 선주들과 6월 첫 2주 동안 영국 런던에서 40척의 LNG선 발주를 위한 2단계 킥오프 미팅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르면 16일 신조 프로젝트 협상이 종료된다. 당초 HD한국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과는 6월 말로 협상 시한을 정했고, 한화오션(옛 대우조선해양)은 9월까지 발주 협상을 마무리할 것으로 알려졌다. 선가는 카타르 에너지의 LNG 신규 건조 프로그램의 1단계에서 체결된 66척의 선박 가격 약 2억1500만 달러를 기반으로 한다. 다만 올해 계약된 선박 수준이 2억6000만 달러 선까지 올라 척당 2억3000만 달러 이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선박 유형은 약 26만㎥급인 'Q-max' LNG선을 발주할지 관심이 쏠린다. 초대형 선박을 선호하는 카타르에너지는 지난 3월 글로벌 조선소들에게 26만3000CBM~26만5000CBM 선박에 대한 견적을 요청했다. <본보 2023년 3월 31일 참고 카타르, 차세대 초대형 Q클래스 LNG선 최대 12척 발주 추진…韓 물망> 건조사 발주
[더구루=정등용 기자] 구글이 광자 컴퓨팅 스타트업 라이트매터(Lightmatter)에 투자했다. 라이트매터는 이번 투자 자금을 활용해 새로운 차원의 광자 컴퓨팅 기술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라이트매터는 1일 시리즈C 투자 라운드를 통해 1억5400만 달러(약 2000억 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구글은 기업형벤처캐피털(CVC) 구글 벤처스를 통해 이번 투자 라운드에 참여했다. 이 밖에 △SIP 글로벌 △피델리티 매니지먼트 앤 리서치 컴퍼니 △바이킹 글로벌 인베스터스 △HPE 패스파인더 등이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 이로써 라이트매터는 총 2억7000만 달러(약 3600억 원) 이상의 투자 자금을 확보하게 됐다. 기업 가치는 3배 이상 증가했다. 라이트매터 광자 컴퓨팅 칩은 기본적으로 광학적 흐름을 사용해 행렬 벡터 곱과 같은 계산 프로세스를 해결한다. 노트북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칩이 아닌 특화된 칩으로 생산되고 있다. 현재 칩은 파일럿 버전으로 대량 생산은 오는 2024년 예정돼 있다. 라이트매터는 컴퓨팅 하드웨어 엔바이즈(Envise)와 대규모 컴퓨팅 작업에 상호 연결 역할을 하는 패시지(Passage), 소프트웨어 플랫폼 이디엄(Idiom)을 운
[더구루=김형수 기자] 삼양식품이 불닭 브랜드 포트폴리오 확대에 나서며 '불닭 신화'를 잇는다. 불닭 브랜드를 내세워 일본 라면 시장 내 영향력 확대에 힘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앞서 지난 1월 일본에서 출시한 야키소바불닭볶음면은 2주 만에 초도물량 20만개가 완판되는 등 괄목할 성과도 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삼양식품은 일본에서 신제품 불닭볶음탕면을 론칭한다. 불닭볶음탕면 봉지라면과 컵라면을 현지 잡화점 돈키호테를 통해 순차적으로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불닭볶음탕면은 삼양식품이 지난 2016년 론칭한 라면이다. 불닭의 맛과 마늘의 풍미가 어우러진 걸쭉한 국물이 마니아층을 형성하며 인기를 끌었다. 2018년 봉지면, 지난해 컵라면 판매가 종료되자 그 맛을 그리워하는 소비자들이 해외에서 수출용 불닭볶음탕면을 구입하는 등 수요가 계속됐다. 소비자들의 재출시 요청이 이어지자 이달 국내에서 다시 판매를 시작한 데 이어 일본에서도 선보이기로 결정했다. 실제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1000건이 넘는 재출시 관련 문의가 접수됐다. 소비자 요청에 부응해 삼양식품이 국내에서 재출시한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일본에서도 판매해달라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재출시되는 불닭볶음탕면은 기존 제품
[더구루=길소연 기자] 노르웨이 국영 에너지기업 에퀴노르(Equinor)가 캐나다 해양플랜트 프로젝트를 3년 연기한다. 프로젝트 지연으로 핵심 사업인 부유식 원유생산 저장 및 하역설비(FPSO) 설계·건조 사업자 선정도 미뤄지면서 해당 사업에 눈독을 들여온 한화오션과 삼성중공업은 허탈한 모습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에퀴노르는 파트너인 영국 에너지기업 BP와 함께 '베이 두 노드(Bay du Nord)' 프로젝트 착공을 보류키로 했다. 보류 이유는 프로젝트의 견고성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에퀴노르는 이번 기회에 베이 두 노드 프로젝트를 한층 더 발전 시킨다는 계획이다. 트론드 보큰 에퀴노르 프로젝트 개발 수석 부사장은 "프로젝트 비용이 증가하고 상황이 변화했다"며 "우리의 개념과 전략을 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다시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당초 이 프로젝트는 비용 증가와 코로나19로 인해 수차례 지연되다 올 초 재개됐다. 지난 3월에는 미국 최대 엔지니어링기업 KBR과 프로젝트 기본설계(FEED) 의향서(LOI)를 체결하며 속도를 내는 듯 했다. <본보 2023년 3월 16일 참고 '12조' 캐나다 해양플랜트 FEED 업체 선정…대우조선·삼성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의 스트리밍 게임 플랫폼 연동 서비스 '삼성 게이밍 허브'가 새로운 파트너들의 게임을 출시하며 콘텐츠를 대거 확대했다. 삼성 게이밍 허브는 스마트TV를 통한 스트리밍 게임 플랫폼 서비스로 엑스박스, 엔비디아 지포스 나우, 아마존 루나, 유토믹 등의 클라우드 게이밍 서비스와 연동돼 있다. 삼성전자의 스마트TV를 보유한 소비자라면 별도의 장치를 구매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스트리밍 게임 플랫폼 '앤트스트림 아케이드(Antstream Arcade)'와 '블랙넛(Blacknut)'의 게임을 게이밍허브에 추가했다. 지난해 11월 파트너십 체결 발표 이후 7개월만에 서비스가 시작된 것이다. 삼성 게이밍 허브에 서비스를 시작한 앤트스트림 아케이드는 레트로 게임계 넷플릭스로 불리는 플랫폼이다. 앤트스트림 아케이드는 팩맨, 모탈컴뱃, 메탈슬러그 등 80년대에서 2000년대 시장을 주름잡던 1400개 이상의 레트로 게임을 제공하고 있다. 블랙넛은 500개 이상의 프리미엄 게임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게이밍 구독 서비스로 '클릭 앤 플레이' 경험을 제공하고 스마트폰, PC, 스마트TV에서 최대 5명의 플레이어가
[더구루=길소연 기자] 수주 증가 등으로 인력난에 허덕이고 있는 한국 조선소를 위해 네팔인들이 온다. 국내 조선소들은 생산 인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인력 수급에 나선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 조선 업체들은 인력난 지원을 위해 네팔인 3000명을 고용한다. 고용 허가 제도(EPS)에 따라 네팔 구직자를 채용한다. 푸쉬파 라즈 카투왈(Pushpa Raj Katuwal) 외국고용부 산하 EPS코리아 과장은 "한국이 네팔 당국에 올해 조선업 분야에서 3000명을 선발해 달라고 요청했다"며 "전체 인원 중 제조업 분야 어학시험 합격자 1210명을 선발하고, 나머지는 올해 말 시험을 통해 선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네팔 구직자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과 실기시험을 모두 통과해야 한다. 지원자는 조선소에서 일하기 전 2개월의 교육을 받게 된다. 교육기간 동안 급여도 지급된다. 현재까지 742명의 응시자가 지원했다. 한국 고용주들은 다음 달부터 직원 선발을 시작한다. 카투왈 과장은 "조선 부문의 실제 급여와 복리후생은 근로자 계약이 체결되면 공개되지만 다른 제조업 부문보다 약간 높을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 조선소는 과거 불황을 겪으면서 인력이 대거 이
[더구루=정예린 기자] 한화솔루션이 스페인에서 수주한 태양광 발전소 매각처를 확보했다. 에너지 프로젝트가 성과를 내며 유럽 내 종합 개발 사업자로서의 입지가 공고해지고 있다. 한화솔루션 큐셀부문(한화큐셀)의 유럽 에너지 사업 자회사인 '큐에너지(Q.Energy)'는 지난 6일(현지시간) 스페인 시우다드 레알 지방에 위치한 38.3MW급 태양광 발전소 두 곳을 판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인수 대상과 거래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큐에너지는 해당 태양광 발전소 건설부터 운영, 유지·보수까지 맡는다. 최근 건설 준비를 마무리하고 첫 현장 작업을 개시했다. 오는 2024년 완공 후 가동이 목표다. 두 곳의 태양광 발전소에는 한화큐셀이 공급하는 13만8000개 이상의 고성능 태양광 모듈이 설치된다. 총 발전 용량은 76.6MW로 현지 1만2000 가구에 전력을 공급하기에 충분한 양이다. 연간 3만4000톤(t) 이상의 탄소 배출 저감 효과가 기대된다. 큐에너지는 한화솔루션의 유럽 에너지 사업을 총괄하는 100% 자회사로 작년 7월 출범했다. 유럽에서만 약 15GW 규모 태양광 발전 포트폴리오를 보유하며 영토를 넓히고 있다. 특히 스페인 비중이 높다. 스페인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남미 자동차 시장 바로미터인 콜롬비아 공략을 위해 현지 쇼룸 전체 리뉴얼 작업에 돌입했다. 브랜드 이미지 변신을 토대로 현지 고객들의 만족도를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최근 콜롬비아 전역 브랜드 쇼룸 리뉴얼 작업에 착수했다. 새로운 로고 'KИ'와 신규 슬로건 '무브먼트 댓 인스파이어스'(Movement that inspires)를 전면에 내세워 현지 브랜드 이미지 변신에 나선 것이다. 혁신적이고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로 거듭나겠다는 의지가 담겼다는 설명이다. 이번 리뉴얼을 위해 기아는 5000만 달러(한화 약 663억 원)에 달하는 금액을 투자했다. 리뉴얼 작업은 현재 콜롬비아 전역에 위치한 51개 판매 대리점과 49개 쇼룸, 45개 서비스 센터에서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기아는 이번 리뉴얼이 콜롬비아 내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도 제고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지 맞춤형 전략을 병행, 시너지를 토대로 현지 입지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기아 남미 판매의 대부분을 콜롬비아 시장이 책임지고 있는 만큼 현지 기반 작업에 특별히 더 신경을 쓰는 모양새다. 실제 기아는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산업용 레이저 전문기업 '트럼프(TRUMPF)'가 중국에 새로운 거점기지를 마련했다. 갈수록 거세지고 있는 미국의 대중 수출 규제에도 아랑곳 않고 중국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7일 트럼프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중국 광동성 심천(선전)시에 신규 레이저 응용 센터를 오픈했다. 심천 사업장은 트럼프가 세계에서 9번째, 중국에서 2번째로 설립한 레이저 기술 연구개발 시설이다. 트럼프는 1923년 설립돼 100여 년의 업력을 자랑하는 유서깊은 회사다.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 핵심 장치를 개발한다. 독일 자이스·프라운호퍼 IOF 연구소, 네덜란드 ASML, 벨기에 아이멕 등 1200여 개 기업·대학·연구소와 함께 'EUV 얼라이언스'에 소속돼 있다. EUV 장비에서 EUV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플라즈마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플라즈마는 진공상태에서 EUV 광원에 탄산가스를 공급하고 이를 증폭시킨 뒤 주석(Sn)과 결합해 발생된다. 트럼프는 이 과정에서 필수 소재인 탄산가스 레이저 설비를 제조한다. 트럼프는 2000년 장쑤성 소주시에 전액 출자 자회사를 설립하며 중국 시장에 첫 발을 내딛었다. 심천시와 소주시 외에
[더구루=정등용 기자] 인텔이 이스라엘 자율주행 기업 모빌아이(Mobileye) 지분 일부를 매각한다. 신규 투자 자금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7일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인텔은 14억8000만 달러(약 1조9300억 원)의 투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모빌아이 지분 일부를 매각할 예정이다. 매각은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가 주관한다. 모빌아이가 미국 규제 당국에 제출한 계획안을 보면 인텔은 모빌아이 주식 3500만 주를 매각하고 525만 주를 추가로 매각할 수 있는 옵션을 보유하고 있다. 인텔이 모빌아이 지분 일부를 매각하더라도 지분율은 88%에 이를 전망이다. 인텔의 모빌아이 지분 매각 계획은 투자 자금 확보 차원으로 풀이된다. 앞서 패트릭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제조 기술을 빠르게 발전시키기 위해 관련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인텔은 지난 2017년 153억 달러(약 17조5600억 원)에 모빌아이를 인수했다. 이후 모빌아이는 지난 2022년 10월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됐으며 현재까지 2배 이상 주가가 급등했다. 올해 주가 상승률은 21%에 이른다. 모빌아이는 지난 1999년 설립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