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일본 자동차 토요타가 아시아 전기차 시장에서 입지가 축소됐다. 반면 중국 전기차 비야디(BYD)과 유럽의 스텔란티스가 이를 틈 타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22일 자동차 시장분석업체 자토다이내믹스(JATO Dynamics)에 따르면 1분기 아시아에서 토요타 전기차 신규 등록 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8.7% 감소했다. 같은 기간 아시아 전체 전기차 시장이 11.4% 성장한 것과 대조적이다. 토요타 대표 전기차 모델인 bZ4X의 판매 대수는 1만4680대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2.3% 급감했다. 전문가들은 "토요타가 하이브리드 차량에 집중하면서 전기차 부문에 뒤늦게 뛰어든 데 따른 결과"라고 풀이하고 있다. 반면 중국 BYD는 매출이 43.2% 증가해 높은 성장세를 이어갔다. 대표 모델인 '돌핀'과 '씰'은 올들어 각각 8만7450대, 6만5320대 판매됐다. BYD 아시아 전기차 시장 점유율은 19.8%로 1위를 차지했다. 토요타는 8.3%에 그쳤다. 스텔란티스는 아시아 전기차 시장 공략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올해 스텔란티스의 동남아 전기차 판매량은 34.7% 증가했다. 푸조 e-208은 동남아 시장에서 2만3740대의 판매량
[더구루=윤진웅 기자] 자동차 부품 생산 업체 '두올'이 멕시코 자동차 부품 공장 건설을 위한 '첫 삽'을 떴다. 멕시코를를 비롯한 북미를 아우르는 전장 사업 본격화를 위해 현지 진출을 확정한 지 약 1개월 만이다. 21일 멕시코 코아우일라주 주정부에 따르면 두올은 지난 19일(현지시간) 코아우일라주 몽클로바 리브라미엔토 노르테 산업단지에서 자동차 부품 공장 기공식을 진행했다. 이날 기공식에는 조인희 두올 대표이사를 비롯해 마놀로 히메네스 살리나스 코아우일라주 주지사 등이 참석했다. 카를로스 비야레알 페레스 몽클로바 시장과 루이스 올리바레스 코아우일라주 경제개발부 장관도 참석했다. 두올은 총 3억 페소(한화 약 76억 원)를 투자해 축구장 2개 정도 크기인 1만4000㎡ 규모의 자동차 부품 공장을 설립할 계획이다. 오는 9월 시범 생산에 이어 내년 1월 100% 풀가동을 목표하고 있다. 구체적인 생산 부품 종류와 생산 규모는 따로 밝히지 않았다. 두올은 생산 과정의 품질과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한 전문 인력 선발도 병행하고 있다. 이에 따른 현지 일자리 창출 효과는 하반기 300개에서 내후년인 2027년 1000개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두올의 멕시코 진출은 이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브라질 고객 접점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연말까지 현지 주요 지역에 브랜드 쇼룸 5곳을 오픈한다. 쇼룸 확장과 더불어 현지 생산 기지 마련에도 속도를 높이고 있다. 21일 기아 브라질법인에 따르면 연말까지 현지 쇼룸을 61개까지 늘린다. 라인업 확대로 판매 네트워크와 애프터 서비스를 강화한다는 전략에 따른 것이다. 현재 브라질 쇼룸은 55개이다. 지난 20일 브라질 북부 파라주 주도 벨렘에 신규 쇼룸을 오픈했다. 차량 전시와 정비 공간, 예비 부품 보관 창고 등을 두루 갖췄다. 기아는 벨렘에 이어 추가 지역을 살피고 있다. 벨루오리존치와 카시아스두술, 포르탈레자 등 주요 지역을 놓고 검토하고 있다. 현지 고객의 접근성을 최우선으로 쇼룸 위치를 결정할 방침이다. 기아는 쇼룸 확대와 더불어 현지 생산 기지 마련도 검토하고 있다. 현대차 브라질 공장을 비롯한 현지 자동차 조립공장과 협력해 별도 생산 라인을 구축하거나 우루과이 자동차 위탁생산업체 노르덱스(Nordex) 공장 위탁 생산을 놓고 저울질하고 있다. 브라질 당국이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수입관세 폭탄'을 예고한 데 따른 대응 차원이다. 당국은 올해 수입관세 30% 적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2종이 미국에서 패밀리카로써 성능을 인정받았다. 북미 전략형 SUV 모델 텔루라이드는 6년 연속 최고 패밀리카로 꼽혔으며, 전기차 모델 EV9은 처음으로 최고 패밀리 전기차 칭호를 얻었다. 기아 미국법인은 텔루라이드가 US뉴스&월드리포트 선정 '2025 최고 패밀리 카 어워즈'(2025 BEST CARS FOR FAMILIES AWARDS)에서 '가족용 최고 3열 중형 SUV'(Best 3-Row Midsize SUV for Families)로 꼽혔다고 21일(현지시간) 밝혔다. 공간·편의성과 실용성, 안전성 등 여러 면에서 최상의 조합을 제공하는 차라는 평가를 받으며 6년 연속 최고득점을 획득했다. EV9의 경우 '가족용 최고 전기차'(Best Electric Vehicle for Families)로 선정됐다. EV9는 에너지 효율성이 높고 충전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인정받았다. 특히 브랜드 전용 전기차 특유의 아이덴티티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호평을 받았다. 특히 이들 모델은 최종 결선에서 모두 현대차 모델과 접전을 펼쳤다. 텔루라이드는 현대차 팰리세이드, EV9은 현대차 아이오닉5를
[더구루=김은비 기자] 볼보가 애플의 디지털 자동차 키 기능인 '애플 카 키(Apple Car Keys)' 적용 범위를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으로도 확대한다. 볼보는 지속적인 소프트웨어(SW) 업데이트를 통해 차량 기능을 개선하고, 사용자 경험(UX)을 향상시킨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볼보는 전기 SUV 모델인 EX30·90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애플 카 키 기능을 지원한다. 볼보는 앞서 XC40·60·90, S60·90 V60·90 모델에 애플 카 키 기능을 적용한 바 있다. 애플 카 키는 아이폰 또는 애플워치를 통해 차량을 잠금 해제할 수 있는 기능이다. 애플 월렛(Wallet) 앱에 저장된 디지털 키를 근거리 무선 통신(NFC) 리더가 장착된 차량 도어에 가까이 대는 것만으로 차 문을 개폐할 수 있다. 특히 애플 '익스프레스 모드(Express Mode)'를 통해 안면 인식 보안 기능인 '페이스 ID' 없이도 즉시 문을 열 수 있다. 애플 카 키는 BMW를 비롯해 △현대차·기아 △아우디 △비야디(BYD) △메르세데스-벤츠 △리비안 등 주요 완성차 업체가 각 차량에 속속 적용하고 있다 EX30은 볼보의 최신 안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의 미국 내 차량 도난 사고가 크게 줄었다. 그러나 다른 완성차 브랜드와 비교할 때 도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미국 비영리기관 전미보험범죄사무소(National Insurance Crime Bureau, NICB)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내 차량 도난 건수는 85만708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102만729대) 대비 17% 감소한 수치이다. 지난 2021년 이후 처음으로 100만 대 이하로 줄어들었을뿐 아니라 40년 만에 최대 감소치를 기록했다. 특히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해 도난 건수는 약 37.5% 감소했다. 현대차 엘란트라와 쏘나타가 지난해 가장 많이 도난 당한 모델로 꼽혔다. 이들 모델 도난 사고는 각각 3만1712대와 2만6720대로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이어 △쉐보레 실버라도(만21666대) △혼다 아코드(1만8539대), 기아 옵티마(1만7493대) 등 순으로 나타났다. NICB는 "현대차·기아는 최근 몇 년 동안 보안 기능 개선을 통해 전체 도난 건수를 37.% 줄였지만 여전히 주요 타깃이 되고 있다"거 말했다. 한편, 현대차와 기아는 2021년과 2023년에도 도난 차량 상위 모델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인도 자동차 가격 인상 대열에 가세했다. 최대 인상폭은 3%이며 현지 공급망 비용 증가에 따른 수익성을 고려한 조치이다. 현대차 인도판매법인(HMIL)은 내달 1일 부터 현지 판매 가격을 인상한다고 19일(현지시간) 밝혔다. 전체 판매 라인업에 걸쳐 최대 3% 올린다. 타룬 가르그(Tarun Garg) HMIL 최고운영책임자(COO)는 "가능한 상승 비용을 절감하고 고객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아도 가격 인상 대열에 가세했다. 기아는 내달 1일 부터 전 모델을 대상으로 최대 3% 인상을 결정했다. 현대차·기아에 앞서 현지 완성차 브랜드도 가격을 인상했다. 로컬 브랜드인 마루티 스즈키는 전체 모델을 대상으로 최대 4%를, 타타모터스는 상용차 라인업을 대상으로 최대 2% 가격을 올린다. 마루티 스즈키의 경우 올들어 세 번째 인상이다. 지난 1월과 2월에도 가격을 인상한 바 있다. 메르세데스-벤츠가 환율을 고려해 내달 판매 가격을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미 지난 1월 현지 가격 인상을 단행한 바 있지만, 수익성 등을 고려해 추가 가격 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더구루=윤진웅 기자] 혼다가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대응을 위해 토요타와 손을 잡았다. 토요타가 미국에서 생산한 배터리를 대량 공급받는다. 인디애나주에서 생산 예정인 차세대 시빅 하이브리드 모델부터 탑재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혼다는 미국 인디애나 자동차 생산 공장에 토요타 노스캐롤라이나 배터리 공장에서 내달부터 본격 생산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를 공급받는다.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혼다는 지금까지는 일본과 중국에서 생산된 하이브리드차량용 배터리를 사용했었다. 혼다와 토요타의 하이브리드차량용 배터리 공급 계약 규모는 약 40만 대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는 혼다의 일본 연간 하이브리드차 판매량과 맞먹는 수치이다. 토요탙의 미국산 배터리는 혼다 인디애나주 그린스버그 공장에 공급될 것으로 보인다. 혼다가 관세 대응 차원에서 차세대 시빅 하이브리드차량을 그린스버그 공장에서 생산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혼다는 그린스버그 공장 외 오하이오주 메리스빌과 이스트 리버티, 앨라배마주 링컨에도 생산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 2월 완공된 토요타 노스캐롤라이나 배터리 공장은 총
[더구루=정예린 기자] 영국 재규어랜드로버의 내부 시스템이 해킹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인포테인먼트시스템(IVI) 해킹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자동차 업계 보안 취약점이 수면 위로 떠오르며 보안 강화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인포스틸러리포트(Infostealers Reports) 등 해외 보안 전문 매체에 따르면 최근 재규어랜드로버가 해커 그룹 2곳으로부터 사이버 공격을 받아 민감한 데이터가 대량으로 유출됐다. 유출된 데이터에는 차량 소프트웨어 소스 코드, 연구개발(R&D) 문서, 내부 운영 자료, 직원·협력업체 정보 등이 포함된다. 해커 그룹 '헬캣(HELLCAT)'이 가장 먼저 재규어랜드로버의 내부망을 침해해 약 700개의 내부 문서를 유출했다. 이후 'APTS'라는 또 다른 해커 그룹이 같은 계정을 이용해 침입, 추가적으로 350기가바이트(GB) 규모에 달하는 주요 데이터를 빼돌렸다. 이들은 재규어랜드로버 파트너사 직원이 사용하던 아틀라시안(Atlassian)의 업무용 협업 플랫폼 '지라(Jira)' 계정을 이용해 재규어랜드로버의 내부망에 접근한 것으로 전해진다. 해당 직원의 PC가 데이터를 탈취하는 룸마(Lumma)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독일법인과 제네시스 현지법인이 통합·운영된다. 현지 프리미엄 시장에서 제네시스 부진이 이어진 데 따른 특단 조치이다. 이번 제네시스 독일 통합은 영국에 이은 것으로 제네시스 유럽법인이 존폐의 기로에 서 있다는 분석이다. 19일 현대차 등에 따르면 현대차 독일판매법인(HMD)은 오는 6월부터 제네시스 독일판매법인(GMD)을 통합·운영한다. 울리히 메하우(Ulrich Mechau) 제네시스 독일법인장은 지난 1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서신을 현지 딜러사에 전달했다. 메하우 법인장은 "이번 조치는 독일에서 제네시스의 새로운 시대를 만들어 가기 위한 것"이라며 "두 브랜드 간 시너지를 최대로 활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브랜드 간 인사 이동도 실시한다. GMD 직원 상당수가 HMD로 옮기고 GMD 일부 직원은 구조조정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기존 GMD 파트너사와 고객에게 미치는 영향은 없다고 HMD측은 강조했다. 메하우 법인장은 "GMD는 HMD의 지원을 토대로 현지 프리미엄 자동차 시장 내 포지션을 재설정하고 고객 중심 브랜드로 거듭나게 될 것"이라며 "지속해서 독립 브랜드로 유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통합 운영 조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운송업체 등록 작업을 완료했다. 테슬라는 운송업체 등록에 이어 무인 로보택시 운행을 위한 추가 승인작업을 가속해 상용화를 위한 기반 마련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캘리포니아 공공사업위원회(CPUC)는 테슬라가 지난해 11월 신청한 운송업체 허가(transportation charter-party carrier permit, TCP) 라이선스를 승인했다고 18일(현지시간) 밝혔다. TCP 라이선스를 보유한 기업은 캘리포니아에서 '회사가 소유한 차량'에 '운전자를 탑승'시켜 '정해진 차선'에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우버와 리프트는 운송 네트워크 회사(TNC)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다. TNC 라이선스 보유 기업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개인 차량'을 사용하는 운전자와 승객을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테슬라는 자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운송 서비스를 시작하고 향후 일반 승객으로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테슬라는 로보택시 상업화에 필요한 추가 라이선스 획득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는 "2025년 중으로 캘리포니아와 텍사스에서 일반 고객을 대상으로 무인 승차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기아 전기차 모델 인스터(국내명 캐스퍼 일렉트릭)와 EV3가 '2025 월드 카 어워즈(World Car Awards·WCA)' 최종 결선에 올랐다. 지난 2023년 아이오닉 6과 지난해 EV9에 이어 3년 연속 왕좌에 오를지 관심이 쏠린다. WCA는 18일(현지시간) '2025 세계 올해의 자동차(2025 World Car of the Year·WCOTY) 최종 결선 후보로 △인스터(국내명 캐스퍼 일렉트릭) △EV3 △BMW X3가 선정됐다고 밝혔다. WAC 측은 다음달 16일 뉴욕 국제 오토쇼에서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최종 우승 모델을 발표할 예정이다. 인스터와 기아 EV3는 포르쉐 마칸 일렉트릭과 함께 전기차 부문 최종 결선 후보로 선정됐다. 또한 EV3는 토요타 랜드크루저와 폭스바겐 ID. 버즈와 함께 디자인 부문에도 올랐다. 이밖에 △포르쉐 마칸 △포르쉐 파나메라 △볼보 EX30 등이 럭셔리카 부문에 △BMW M5 △포르쉐 911 카레라 GTS △포르쉐 타이칸 터보 GT는 퍼포먼스 부문으로 꼽혔다. WCA는 지난 2004년 출범했으며 한국과 미국, 일본, 중국, 인도 등 전 세계 24개국의 자동차 전문기자 90여명으
[더구루=오소영 기자] 필리핀군 수장이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경공격기 'FA-50' 12대에 대한 추가 조달 의지를 재확인했다. 협상을 순항하고 있다며 계약 체결에 대한 기대감을 불어넣었다. [유료기사코드] 15일 마닐라스탠다드 등 외신에 따르면 로메오 S. 브라우너 주니어(Romeo S. Brawner Jr., 육군 대장) 필리핀군 합동참모의장은 지난 13일(현지시간) 군현대화의 진전에 대한 현지 기자의 질문에 "FA-50 12대를 추가 도입하는 절차에 돌입했으며, 계획대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브라우너 합참의장은 최근 방한했을 때에도 FA-50을 극찬했었다. 그는 전쟁기념사업회를 방문해 양국의 오랜 방산 협력을 높이 평가하며, "한국산 FA-50 전투기의 전투 능력과 성능에 매우 만족해 추가로 12대를 더 도입할 예정"이라고 말한 바 있다. 필리핀군이 FA-50 확보 계획을 거듭 밝히면서 양국 협상도 급물살을 타고 있다. KAI의 추가 계약이 곧 체결될 것이라는 전망이 업계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수주 규모는 약 400억 필리핀페소(약 1조90억원)로 추정된다. 필리핀은 국방 현대화 사업 '리호라이즌(Re-horizon 3)'의 일환으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분석 솔루션 기업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alantir Technologies, 이하 팔란티어)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이하 나토)에 인공지능(AI) 전투시스템을 공급한다. 나토는 빠른 시일내에 AI 전투시스템 도입작업을 마무리하고 연합사령부 작전(Allied Command Operations, ACO)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15일 나토에 따르면 팔란티어와 '메이븐 스마트 시스템 나토(Maven Smart System NATO, 이하 MSS 나토)'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 나토가 도입한 MSS는 거대언어모델(LLM)와 생성형 AI와 기계학습까지 다양한 AI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해 전장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AI 전투 시스템이다. 팔란티어는 MSS를 이용하면 전투원의 전장 정보 처리능력과 표적 확인, 전장인식·계획, 의사결정 속도 등이 향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MSS는 지금까지 미군에서 주로 이용해왔다. 팔란티어는 지난해 5월 미국 국방부 MSS 도입을 위해 4억8000만 달러(약 6850억원) 계약을 체결했으며, 9월에는 미 육군과 1억 달러(약 1425억원) 규모 도입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