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 목적기반차(PBV) 모델 'PV7' 출시를 앞두고 캠핑카 디자인이 공개되며 눈길을 끌고 있다. 대형 캠핑카 모델이라는 점에서 내부 공간 디자인 활용에 초점을 맞춰 새로운 개념을 제시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자동차 문화 전문 매체 오토피안(Autopian)은 최근 PV7 캠핑카 디자인을 공개했다. 현대 캠핑카 내부를 참고해 PV7 인테리어를 새롭게 해석했다. PV7은 기아가 오는 2027년 출시를 예고한 대형 PBV 모델이다. 공개된 PV7 캠핑카 디자인은 △여행 모드 △캠핑카 모드 △숙면 모드 △밴 모드 등 크게 4가지로 구분됐다. 숙면 모드에서는 최대 4명, 나머지 여행 모드 등에서는 다이닝 공간을 활용해 8명까지 수용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좌석 추가가 가능할 것이라는 설명도 포함됐다. 차량 후미에는 중앙 도어가 적용됐다. 양쪽으로 활짝 열릴 수 있도록 설계해 내부 공간 배치를 원활하도록 돕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보인다. 별도 이동 도구를 사용해 주방과 다이닝 테이블을 외부로 옮기고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오토피안은 "공개된 캠핑카 디자인처럼 내부 공간 설계가 이뤄질지는 모르지만 모드 현실 가능한 일"이라며 "다만
[더구루=윤진웅 기자] 전기 픽업트럭이 단순한 운송 수단을 넘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전동화 속도가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되는 가운데, ESS(에너지 저장 장치)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전동화가 단순한 ‘내연기관 대체’에서 ‘에너지 저장과 공급’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전기 픽업트럭의 새로운 역할이 논의되고 있다는 것. 3일 코트라 등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전기 픽업트럭을 활용한 V2L(Vehicle-to-Load) 및 V2G(Vehicle-to-Grid) 기술을 도입하며 전력 저장 및 공급 수단으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일반 전기차보다 더 큰 배터리를 탑재했다는 점에서 에너지 저장 및 공급 기능을 확장하고 있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 전기 픽업트럭 ESS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노후화된 전력망과 신재생에너지의 변동성으로 인해 전력 수급 안정성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어서다. 실제 포드 F-150 라이트닝, 리비안 R1T, 테슬라 사이버트럭 등 미국 브랜드 픽업트럭 모델은 V2L 기능을 통해 차량 배터리를 외부 전력 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했다. 무엇보다 V2G 기술을 통해 전기 픽업트럭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화웨이와 상하이자동차그룹(SAIC)이 새로운 전기차 브랜드를 출범시켰다. 화웨이 연합이 점차 규모를 확대하며 중국 전기차 시장의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화웨이와 SAIC는 스마트 신에너지 자동차(NEV) 생산에 힘을 합치기로 하고 '샹제(尚界)'라는 공동 브랜드를 출범시키로 했다. 양사는 샹제 브랜드 차량 제조, 공급망 관리, 판매 서비스 분야에서 전략적 협력을 하기로 했다. 이번 합작 브랜드 설립은 화웨이 HIMA(Harmony Intelligent Mobility Alliance) 전략에 따라 진행됐다. 화웨이는 △완성차 업체에 부품만 제공하는 티어1 △첨단 소프트웨어(SW)와 하드웨어(HW)를 공급하는 HI(Huawei Inside) △차량 설계 과정, 디자인, 브랜드 운영과 판매까지 참여하는 HIMA 등의 자동차 사업모델을 보유하고 있다. HIMA는 화웨이가 전기차 개발과 판매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사업 모델로 지금까지 세레스 아이토(AITO), 체리 럭시드(Luxeed), BAIC 스텔라토(STELATO), JAC 마에스트로(MAXETRO) 브랜드가 출범했다. 화웨이 HIMA 모
[더구루=윤진웅 기자] 글로벌 3대 명차 브랜드 벤틀리가 럭셔리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벤테이가' 출시 10주년을 기념한 스페셜 에디션 모델을 선보였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베틀리는 최근 벤테이가 아틀리에 에디션(Bentayga Atelier Edition)을 공개했다. 벤테이가 아틀리에 에디션은 벤틀리가 직접 설정한 컨피규레이터로 고객에게 제공되는 특별한 모델이다. 다섯 가지 고유 컬러가 제공되며 고급스러움을 강조하기 위해 새틴과 크롬을 아낌 없이 사용했다. 측면부에는 차별화를 위한 아틀리에 에디션 배지가 부착됐다. 10 스포크 디자인을 적용한 22인치 휠에는 벤틀리 셀프 레벨링 센터 캡이 장착됐다. 실내는 외관에 맞춘 색상으로 조합됐다. 고급스러운 브러시드 알루미늄과 우드 트림, 최고급 가죽과 투톤 마감까지 선택할 수 있다. 파워트레인은 V8 4.0리터 엔진과 V6 3.0리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두 가지로 제공된다. W12 엔진은 제공되지 않는다. 판매 가격은 발표하지 않았다. 다만 일반 벤테이가보다 더 높은 프리미엄이 붙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일반 벤테이가의 경우 옵션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2억 원 후반에서 3억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판 테슬라'로 불리는 전기차 제조업체 패러데이퓨처(Faraday Future)가 저가형 인공지능(AI) 전기차 시제품의 테스트에 돌입했다. [유료기사코드] 패러데이퓨처는 지난달 21일(현지시간) 저가형 AI 전기차 모델인 FX6의 첫 시제품 2대를 중국에서 미국으로 선적했다. 패러데이퓨처는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본사에서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자율주행 검증 △파워트레인·성능 최적화 △지능형 캐빈 △사용자 경험 등을 포함해 광범위한 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 패러데이퓨처는 작년 9월 저가형 AI 전기차 브랜드 '패러데이X'를 공개했다. 패러데이X 브랜드로 FX5와 FX6 등 두 개 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다. 예상 가격은 각각 2만~3만 달러, 3만~5만 달러 범위에서 책정한다. 이르면 올해 말 양산한다. 패러데이퓨처는 AI 전기차 시장 선점을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달 10일 티커심볼(Ticker Symbol, 증권을 나타내는 기호나 문자)을 'FFIE'에서 'FFAI'로 변경한다. 이어 17일에는 AI 관련 행사를 개최한다. 패러데이퓨처는 지난 2014년 중국의 일론 머스크로 불렸던 자웨이팅이 설립한 전기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투싼이 스페인 중고차 시장에서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매물 등록 기준, 평균 한 달이면 새 주인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현지 중고차 시장에서 가장 짧은 기간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투싼은 지난달 지난달 스페인 중고차 시장 판매 1위 모델로 꼽혔다. 평균 회전 기간은 30일로 집계됐다. 특히 8년 전 출시된 구모델이 인기다. 평균 1만~1만2000유로 저렴한 가격이 매력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투싼의 인기 덕에 스페인 중고차 시장도 활력을 띄고 있다. 같은 달 신차가 아닌 중고차를 선택한 운전자가 두 배 이상 많은 것으로 전히잰다. 특히 투싼의 이 같은 인기는 현지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도 제고로 이어지고 있다. 올해 현지 시장 판매량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는 올해 전년 대비 5% 성장한 6만8000대, 점유율은 0.1%포인트 늘어난 6.5%를 예상하고 있다. 이는 스페인 시장 규모가 전년 대비 3%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을 반영한 수치이다. 목표 달성을 위해 현지 전기차 판매 라인업 확대를 위한 작업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이미 보급형 전기차 모델 인스터(국내명 캐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저장지리홀딩그룹(Zhejiang Geely Holding Group) 산하 브랜드 볼보가 상하이 엔지니어링 팀의 주도로 개발한 첫 번째 글로벌 모델이 관심과 우려의 시선을 동시에 받고 있다. 미래차 플랫폼을 탑재한 스마트카라는 점은 기대감을 키우고 있는 반면 중국산이라는 점과 생성형 AI 딥시크(DeepSeek) R1 탑재 예고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볼보는 오는 5일 차세대 플래그십 전기 세단 'ES90'을 공개할 예정이다. ES90은 볼보 미래차 플랫폼 '슈퍼셋 테크 스택'을 기반으로 한 브랜드 최초 순수 전기 세단이다.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개념을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듀얼 엔비디아 드라이브 AGX 오린 반도체를 을 탑재해 기존 대비 8배 향상된 인공지능(AI) 컴퓨팅 성능을 제공하며, 무선 업데이트(OTA)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SPA2 플랫폼을 기반으로 EX90에 이어 두 번째로 슈퍼셋 테크 스택을 적용한 모델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단일 시스템으로 통합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만으로도 차량의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중국 신에너지차(NEV) 공략을 위한 현지 전략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을 하반기 출시한다. 현지 시장 반등을 위한 새로운 전환점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신차 개발부터 양산 단계에 이르는 전 과정에 현지 고객들의 의견을 반영할 것이라고 약속한 모델인 만큼 현지 운전자들의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중국 합작사 베이징현대는 오는 9월 중국 신에너지차(NEV) 시장에 전략형 전기 SUV 모델(코드명 OE)을 출시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전기차 출시 시기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차가 선보이는 OE는 지난해 10월 中 독자 EV 플랫폼+기술 현지화’ 융합 전략을 통해 개발을 시작한 전기차이다. 로컬 전기차 브랜드와 경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중국 전략형 EV 플랫폼이 탑재된다. 개발은 현대차 첨단기술연구개발(상하이) 유한회사(Hyundai Motor Advanced Technology R&D (Shanghai) Co., Ltd.·이하 상하이 연구센터) 주도하고 있다. 현지 운전자 고려한 독점적인 설계를 통해 개발한 EV 플랫폼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디자인과 첨단 신기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완성차 제조사 제너럴 모터스(GM)가 줄소송 위기에 놓였다. 자회사인 온스타가 고객 동의 없이 운전 데이터를 브로커 및 보험사에 판매한 사실이 적발되면서 아칸소주가 소송을 제기했다. 아칸소주뿐 아니라 다른 주에서도 소송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팀 그리핀 아칸소주 검찰총장은 지난 26일 GM과 온스타를 사기 행위 혐의로 가처분 신청을 냈다. 지난 10년간 교묘한 방법으로 운전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당 데이터를 브로커에 제공, 보험사가 보험료와 보장 범위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줬다는 이유에서다. 아칸소주 필립스 카운티에서 접수된 민원 등을 예로 들어 실제 운전자 보험료 인상과 보험 가입 거부 등이 이뤄졌다는 사실도 밝혔다. 그리핀 총장은 "GM과 온스타는 온보딩 프로세스를 의무적으로 보이게끔 만들어 운전자와 차량의 안전을 위한 데이터 수집인 것처럼 위장, 소비자를 기만했다"며 "고객 동의를 얻는 과정에서 정보 활용을 짐작할 수 없게 만든데다 이들 회사가 제공하는 고객 데이터 정보 수집 동의 내용을 주의 깊게 읽더라도 보험사에 제공된다는 사실을 알 수 없게 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가처분 신청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 전기차 모델이 미국 시장조사기관 J.D. 파워가 실시한 전기차 만족도 조사 '톱10'을 휩쓸었다. 아이오닉6 포함 총 6개 모델이 순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28일 J.D. 파워에 따르면 현대차 아이오닉6는 'JD 파워 2025 US EVX(Electric Vehicle Experience) 만족도 조사' 일반 전기차 부문에서 1000점 만점 기준 751점을 기록, 1위를 차지했다. 평균(725점)보다 26점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기아 EV6는 743점으로 2위, 쉐보레 이쿼녹스EV는 737점으로 3위에 올랐다. 이어 아이오닉5와 쉐보레 블레이저EV가 각각 728점과 724점으로 4위와 5위를 기록했다. 6위부터 10위는 △기아 EV9(724점) △코나EV(720점) △포드 머스탱 마하-E(718점) △스바루 솔테라(714점) △니로EV(702점) 순이었다. JD파워가 올해로 5년째 진행하고 있는 US EVX 만족도 조사는 매년 미국 운전자를 대상으로 △주행거리 정확도 △충전 편의성 △유지 비용 △주행 만족도 등 10가지 항목을 토대로 이뤄진다. 이번 조사는 북미 전기차 충전소 정보공유 앱 '플러그쉐어'(PlugShar
[더구루=윤진웅 기자] 호세 무뇨스 현대자동차 대표이사(사장)가 2025년 글로벌 자동차 산업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선정됐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메리 배라 GM 회장, R.J 스카린지 리비안 창업자 겸 CEO 등이 '톱5'에 이름을 올렸다. 미국 자동차전문지 모터트렌드(MotorTrend)는 27일(현지시간) 무뇨스 사장이 '올해의 인물'(Person of the Year 2025)」로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모터트렌드는 이날 '2025 모터트렌드 파워리스트(2023 MotorTrend Power List)' 50인을 공개했다. 무뇨스 사장의 지난해 순위는 15위였다. 지난 1949년 미국에서 창간된 모터트렌드는 자동차 분야 최고 유력매체이다. 매년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서 영향력 있는 50인의 파워리스트를 공개하고, 그 중 가장 영향력이 높은 1인을 '올해의 인물'로 명명한다. 모터트렌드 파워리스트는 모터트렌드 에디터들과 자문위원들의 엄격한 평가와 비공개 투표를 통해 작성되고 순위가 결정된다. 모터트렌드는 무뇨스 사장이 현대차 창사 이래 첫 외국인 최고경영자(CEO)로서 현대차의 기록적인 성장을 이끌었
[더구루=윤진웅 기자] "르노가 아브토바즈 지분을 다시 매입할 경우 1125억 루블(한화 약 1조8640억 원)을 지불해야 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막심 소콜로프 아브토바즈(AvtoVAZ)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러시아 국영 리아 노보스티(RIA Novosti)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러시아 시장 철수 이후 부재 기간 동안 이뤄진 투자비 상환 명목이라는 것. 아브토바즈는 르노가 러시아 시장 철수 전까지 최대 주주를 지냈던 러시아 국민차 라다 생산 업체이다. [유료기사코드] 그는 "2023년 우리 투자 규모는 275억 루블이 넘었고, 지난해에는 400억 루블에 달했다"며 "올해에는 투자 계획상 최소 450억 루블이 투입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기 위한 미국과 러시아 간 논의가 시작된 가운데 막심이 르노의 러시아 복귀 조건을 제시함에 따라 르노 러시아 시장 복귀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르노 역시 러시아 시장 재친출을 염두에 두고 있다. 루카 데 메오 르노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20일 보도된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자사가 러시아로 복귀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빅테크 기업 텐센트(Tencent)가 새로운 인공지능(AI) 추론(reasoning) 모델을 출시한다. 텐센트는 올해 AI 부문 자본 지출도 확대하기로 하며 딥시크(DeepSeek)로부터 촉발된 '중국산 AI' 경쟁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텐센트는 중국 베이징 표준시간 기준 21일 오후 11시, 새로운 AI 추론 특화 모델인 '훈위안 T1(Hunyuan T1)' 출시 행사를 진행한다. 훈위안 T1은 텐센트 독자 생성형 AI 모델인 '훈위안'의 추론 특화 모델이다. 추론 모델은 학습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간과 유사한 사고 과정을 거쳐 이용자의 질문에 최적의 답변을 제공하고, 어떤 과정으로 답변을 도출했는지 단계별로 보여준다. 반면 비추론 모델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답변만 빠르게 제공한다. 훈위안 T1은 딥시크의 추론 모델인 R1과 유사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텐센트는 기존 트랜스포머 아키텍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맘바(Mamba) 아키텍처와 전문가 혼합(MoE·Mixture of Experts) 기술 등을 도입했다. 맘바 아키텍처는 입력된 토큰이 늘어나면 속도가 줄어드는 트랜스포머 아키텍처의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업 '오클로(Oklo)'가 아이다호국립연구소(INL)와 '오로라' 상용화를 위해 힘을 합치기로했다. 원전 건설에 따른 환경 훼손 우려를 사전에 해소하고, 이해관계자들과 적극 소통하고자 부지 조사 과정에서 관련 책임을 명시한 계약에 서명했다. [유료기사코드] 오클로는 20일(현지시간) INL과 인터페이스 계약(Interface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인터페이스 계약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 간 책임과 절차, 기준 등을 규정하는 문서이다. 오클로는 이번 계약을 통해 부지 조사 과정에서 환경 규제를 엄격히 준수하고 지역사회와도 상생을 꾀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INL, 미 에너지부(DOE)와 긴밀히 소통해 발전소 부지의 지질과 수질, 생태계 등을 포괄적으로 검토한다. 지역 원주민인 쇼쇼니 배녹 부족(Shoshone Bannock Tribes)과도 협력해 문화유산·생태계에 미칠 영향을 조사한다. 제이컵 드위트(Jacob DeWitte) 오클로 공동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첫 번째 첨단 원전 건설에 한 걸음 더 나아갔다"며 "효율적이면서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개발을 진행하는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