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미국 내 딜러 매장의 절반 이상을 새롭게 탈바꿈시켰다.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담은 통일된 콘셉트로 리뉴얼을 진행, 고객 만족도 제고와 현지 경쟁력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대차 미국법인(HMA)은 24일(현지시간) 미국 전체 딜러망의 50% 이상이 글로벌 딜러십 스페이스 아이덴티티(GDSI)를 적용한 리노베이션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현재 미국 내 현대차 딜러망은 총 853개로, 이 가운데 457곳의 리뉴얼이 마무리됐다. GDSI는 현대차가 지난 2015년 처음 도입하고 2019년 새롭게 개편한 글로벌 매장 디자인·운영 표준이다. '모던 프리미엄'을 기본 모토로 △배려(Caring) △단순함(Simple) △창의성(Creative)을 핵심 가치로 내세운다. 이를 통해 일관되고 세련된 매장 환경을 구현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현대차는 일부 완성차 업체들이 소비자 직접 판매(D2C)로 전환하는 것과 달리, 딜러 네트워크를 핵심 접점으로 유지·강화하는 전략을 고수하고 있다. 첨단 기술과 새로운 파워트레인 확대에 따라 딜러십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어서다. 현대차 딜러십은 단순 판매 공간을 넘어 지역사회와의 연결고리 역할도 수행
[더구루=정예린 기자] 현대자동차가 유럽에서 '현대(HYUNDAI)' 상표권 놓고 진행하던 분쟁에서 항소를 자진 철회했다. 브랜드 오용을 막기 위한 현대차의 법적 대응은 빈손으로 정리됐다. 특히 향후 유럽 시장에서 비자동차 분야 등 일정 사업 부문에서 상표권 제약을 받게 됐다. 25일 유럽연합(EU) 지식재산권청(EUIPO)에 따르면 항소위원회는 현대차가 제기했던 2건의 항소를 철회함에 따라 지난 18일 사건을 본안 판단 없이 종결 처리했다. 이로써 앞서 1심 격인 EUIPO 반대부(Opposition Division)가 미국 '현대테크놀로지(Hyundai Technology Inc.)'의 이의신청을 받아들여 내렸던 '상표 일부 사용 제한' 판결이 그대로 확정됐다. 이번 사건은 현대차가 스마트워치와 화상회의 장비, GPS 장치 등 전자기기·컴퓨터 주변기기 제품군에 대해 국제상표(IR) 방식으로 유럽에서 ‘HYUNDAI’ 로고를 등록하려 한 데서 비롯됐다. 현대차는 이들 제품군에서 자사와 무관한 제3자 기업이 'HYUNDAI' 상표를 사용하는 것이 소비자 혼동을 초래할 수 있다며 방어적 차원에서 상표 출원을 시도했다. 하지만 현대테크놀로지가 기존 상표권 보유에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협력사 서연이화의 옛 중국 창저우(沧州) 자동차 부품공장이 결국 헐값에 현지 개인 사업자 손에 넘어갔다. 현대차 중국 생산거점 축소로 현지 협력사 구조조정도 매듭되는 분위기다. 25일 중국 법원경매 플랫폼 '알리바바 법원 경매망' 등에 따르면 서연이화 중국 자회사 북기한일(沧州)자동차내장유한공사(이하 북기한일) 공장 부지와 건물, 설비 등이 일괄 매각됐다. 이번 경매 대상은 전체 부지 약 5만7841㎡, 건물 연면적 2만3809㎡ 규모다. 지난 22일 경매 시작가는 약 3185만 위안(한화 약 60억원)였으나 개인 투자자가 단독 응찰해 최저가로 낙찰받았다. 해당 부지는 앞서 8차례 유찰을 거듭한 끝에 결국 첫 감정가(5520만 위안·한화 104억원) 대비 절반 수준으로 팔렸다. 지난 2015년 설립된 북기한일은 서연이화와 베이징자동차(BAIC) 산하 자동차 부품 기업 '베이징해나촨자동차부품유한회사(北京海纳川汽车零部件有限公司)' 합작사다. 현대차 중국합작사 베이징현대 창저우공장과 인접, 자동차 바닥 매트와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을 베이징현대에 납품해왔다. 이번 사례는 베이징현대의 현지 판매 급감에 따른 현대차 중국 생산라인 구조
[더구루=정예린 기자] 기아가 카자흐스탄에 건설 중인 제2공장이 오는 10월 본격 양산을 앞두고 인력 부족에 직면했다. 자동화 설비를 도입했지만 현장 인력을 완전히 대체하긴 어려워 생산 차질 우려도 제기된다. 25일 카자흐스탄 경제지 '인비즈니스(inbusiness)'에 따르면 기아는 카자흐스탄 정부 공인 온라인 취업 플랫폼 '엔벡(enbek)'을 통해 목표로 한 총 1500명의 인력 채용을 진행 중이다. 용접공, 창고관리원, 전기설비 기술자, 품질 엔지니어 등 다양한 직종에서 구인을 진행하고 있으나, 지원자가 부족해 채용이 난항을 겪고 있다. 기아는 무경력자도 채용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자체 교육센터를 운영하는 한편 필요 시 한국 연수도 검토 중이다. 공장이 위치한 코스타나이주뿐만 아니라 인근 도시인 토빌, 루드니 등 주변 지역까지 인력 모집 범위도 넓혔다. 통근 차량과 무료 급식, 사내 행사 등 복지 혜택도 제공하고 있지만 인력난 해소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이을란 툴레타예프(Erlan Tuletayev) 기아 카자흐스탄 공장 개발·사업 지원 담당 이사는 "우리는 지역 내 대학교 및 전문대학과 협력 중이며, 카자흐스탄 전역의 교육기관과도 함께하고 있다"며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글로벌 생산거점인 인도와 인도네시아에서 핵심 부품 현지 조달을 확대한다. 일본 자동차 부품사 니탄(NITTAN)과의 엔진벨브 공급 계약을 맺었다. 현대차는 현지에서 고품질 부품을 안정적으로 확보, 글로벌 공급망 최적화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25일 니탄 등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법인(HMIL)과 인도네시아 생산법인(HMMI)은 니탄과 연간 580만개 엔진벨브를 공급받는 계약을 체결했다. HMIL은 오는 11월부터 니탄 인도법인으로부터 연간 220만개의 엔진밸브를, HMMI은 내년 연간 180만개, 오는 2027년부터는 연간 360만개의 엔진밸브를 니탄 인도네시아법인으로부터 조달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이번 계약을 통해 핵심 부품의 현지 생산·조달 체계를 강화, 물류 효율성 개선과 비용 절감, 환경 부담 저감 효과를 동시에 노린다. 특히 인도와 동남아시아 시장을 미래 성장 거점으로 삼고 생산을 확대하고 있는 현대차로서는 안정적인 부품 공급망 확보가 경쟁력으로 이어진다. 특히 현대차는 지난 16일(현지시간)부터 인도 마하라슈트라주 푸네 탈레가온(Talegaon)공장에서 승용차용 엔진 생산을 시작한 만큼 신공장이 가동되면 탈레가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중국에서 최대 쇼핑 축제 '618 행사'를 맞아 파격 혜택을 제공한다. 가격 할인에 한국 여행권과 K-팝 콘서트 관람권까지 제공, 중국 젊은 소비자들을 겨냥한다. 이를 통해 중국 내수 시장 반등을 노리고 있다. 25일 현대차 등에 따르면 중국 합작법인 베이징현대는 618 행사 기간 동안 신형 엘란트라(국내명 아반떼)를 비롯해 쏘나타, 투싼L, 현지 전략 모델 쿠스투 등 주요 차종을 대상으로 대규모 할인과 다양한 사은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신형 엘란트라 구매 고객에게는 국내 3일 여행권과 함께 블랙핑크 2025 홍콩 콘서트 티켓을 제공, 눈길을 끌고 있다. 여기에 △최대 4000위안 차량 교체 보조금 △차량 보험 무료 △7년·15만km 연장 보증 △샤오미 TV·화웨이 스마트폰 등 대규모 경품과 실질적 혜택도 함께 마련했다. 618 행사는 중국 온라인몰 징둥의 창립일(6월 18일)을 기념해 시작된 대규모 할인 이벤트다. 알리바바 티몰 등 주요 다수 온라인 쇼핑몰이 가세, 가전과 전자기기, 휴대전화 등 전반에 걸쳐 대규모 할인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여기에 현지 정부의 '이구환신(以舊換新·노후 제품 교체 지원)' 정책까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올 들어 5월 영국 누적 판매에서 토요타를 제치고 ‘톱10’를 차지했다. 코나 등 대표 모델 판매 호조와 인스터(국내명 캐스퍼 일렉트릭) 등 전기차 모델이 전체 판매를 견인했다. 25일 영국자동차제조판매협회(SMMT)에 따르면 현대차는 올들어 5월까지 영국에서 3만8669대를 판매해 브랜드 순위 10위를 기록했다. 점유율은 4.4%로 집계됐다. 현대차는 경쟁사인 토요타를 0.1%포인트(743대) 차이로 근소하게 앞섰다. 토요타 판매량은 3만7926대로, 11위로 밀려났다. 점유율은 4.3%다. 지난달 한달 기준으로는 7259대(점유율 4.8%)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한 수치이며, 브랜드 판매 순위로는 7위를 기록했다. 기아는 올들어 5월까지 5만1962대를 판매, 3위를 기록했다. 점유율은 5.9%를 기록했다. 지난달에는 8579대를 판매, 역시 3위에 올랐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3.7% 하락한 수치로, 점유율은 5.7%로 집계됐다. 올해 누적 1위는 폭스바겐이 차지했다. 7만7192대를 판매, 점유율 8.7%를 기록했다. 2위는 BMW로, 5만2972대를 판매했다. 점유율은 6.0%로 집계됐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중국 합작법인 베이징현대가 현지 전략형 전기 SUV '일렉시오(ELEXIO)'에 첨단 자율주행 기술을 탑재한다. 중국 정부 인증을 통과하며 출시가 임박한 가운데 자율주행 기술도 공개, 업계의 이목을 끌었다. 특히 자율주행 탑재는 현지 '스마트카' 소비 트렌드를 정조준한 것으로 풀이된다. 24일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에 따르면 일렉시오는 중국 자율주행 스타트업 '하오모즈싱(毫末智行)'의 자율주행 플랫폼 '하오모 인텔리전트 드라이빙(Haomo Intelligent Driving)'을 탑재했다. 이 플랫폼 내에는 대규모 언어모델(LLM) 기반 AI 주행·음성 제어 기술인 '하오모 드라이브GPT(Haomo DriveGPT)'가 적용됐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음성으로 차량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어 운전 중 편의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하오모 드라이브GPT는 퀄컴의 고성능 칩 'SA8295'으로 구현된다. 현대차는 연내 △자율주행 보조 △메모리 주차 등 기능을 순차 도입하고, 내년에는 자율주행 레벨 2 수준의 도시 주행 기능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레벨 2는 현재 테슬라 대부분 차량에 적용된 'FSD' 기술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교통당국이 테슬라 로보택시 서비스의 교통법규 위반 사실을 인지하고 자료 수집을 시작했다. 교통당국은 자료 수집이 마무리되면 관련된 조치를 취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23일(현지시간) "소셜 미디어에 게시된 테슬라 로보택시 관련 영상을 인지하고 있으며, 테슬라에서도 추가 정보를 전달받고 있다"고 밝혔다. 테슬라는 전날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약 10대의 모델Y를 투입, 로보택시 서비스를 개시했다. 문제는 일부 차량이 과속을 하거나 반대편 차로를 침범하는 사례가 확인됐다는 점이다. 특히 위반 사례가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영상 형태로 공유되면서 논란이 커졌다. 위반 사례 중에서도 테슬라 팟캐스트 진행자이자 투자자인 롭 모어러(Rob Maurer)가 게재한 영상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롭 모어러가 올린 영상에는 모델Y가 좌회전 전용 차선에 진입하다가 갑자기 오른쪽으로 방향을 전환해 직진하는 모습이 담겼다. 이 과정에서 롭 모어러가 탑승한 모델Y가 중앙선을 침범하는 모습도 포착됐다. 다행히 반대편 차선에 차량이 정차해 있지 않아 사고로 이어지지는 않았지만 대형사고가 날 뻔했다는 우려의 목소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1위 배터리 기업 중국 CATL이 로보택시 사업에 진출한다. 테슬라에 이어 CATL과 앤트그룹이 사업 진출을 선언하면서 로보택시 분야 성장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중국 기업정보 플랫폼 치차차(企查查)에 따르면 23일(현지시간) 상하이 자오푸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Shanghai Zaofu Intelligent Technology)라는 기업이 상하이에서 설립됐다. 상하이 자오푸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의 자본금은 12억8800만 위안(약 2460억원)이며, 사명은 중국 역사상 가장 뛰어난 '마부'로 불리는 자오푸라는 인물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법인은 CATL과 앤트그룹, 중국 모빌리티 플랫폼 하뤄(哈啰, Hello)가 합작해서 설립했으며, 완전자율주행차 기술 개발과 로보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ATL 등 3사의 초기 투자액은 30억 위안(약 5720억원) 안팎이다. 합작사 설립은 지난 4월 CATL과 앤트그룹, 하뤄가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하면서 본격화 됐다. 3사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레벨4 완전자율주행 기술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상용화와 생태계 구축까지 협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인도법인의 임금·단체협약(임단협) 교섭이 노사(勞使)가 아닌 노노(勞勞) 갈등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 현지 복수노조 간 대표·정당성 다툼이 격화하면서 임단협 타결에 제동이 걸린 상황이다. 24일 인도 첸나이 고등법원과 업계에 따르면 복수노조 중 하나인 '현대차인도공장노조(HMIEU)'가 교섭 대표 지위를 요구하고 소송을 제기했다. 사측이 기존 교섭단체인 '현대차통합노조(UUHE)'와만 협상에 나선 데 대해 문제를 제기한 것. HMIEU는 인도 내 대표적인 좌파 성향 노동단체인 전국노조연맹(CITU) 소속이다. HMIEU는 이와 함께 사측에 △비밀투표 실시 △양 노조 공동 교섭을 요구하고 있다. 실제로 HMIEU는 지난해 12월 비밀투표를 요구하는 공문을 보냈으며 첸나이법원에 비밀투표 실시를 촉구하는 소송도 제기했다. HMIEU는 “조합원 2420명 중 1356명의 서명을 확보해 과반을 넘겼다”며 “사측이 응하지 않으면 파업 등 실력행사에 돌입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반면 현대차 인도법인은 기존 협상 구조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현대차 측은 올해 임단협도 산업 표준 절차에 따라 UUHE와 진행 중이며 HMIEU 주장에 대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 EV5가 호주 전기차 시장에서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출시 약 5개월 만에 베스트셀링 전기차 2위에 오르며 시장을 주도하는 모양새다. 특히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픽업트럭이 중심인 호주 시장 특성을 고려할 때 EV5의 선전은 더욱 고무적이라는 평가다. 23일 호주연방자동차산업협회(FCAI)에 따르면 기아 EV5는 올들어 5월까지 2212대를 판매, 베스트 셀링 전기차 2위를 차지했다. EV3는 같은 기간 832대를 판매하며 8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 모델Y로, 6974대가 판매됐다. 3, 4위는 MG MG4와 BYD 씰라이언7이 차지했다. 각각 2017대, 1961대를 판매했다. 5위부터는 △BYD 아토3(1278대) △지리 EX5(1023대) △BYD 씰(982대) △기아 EV3(832대) △BYD 돌핀(776대) △테슬라 모델3(317대) 순으로 이어졌다. 기아는 이같은 전기차 판매 호조 속에 호주 자동차 시장에서도 뚜렷하게 약진하고 있다. 기아는 올들어 5월까지 3만2940대를 판매, 전체 브랜드 중 4위를 차지했다. 전체 자동차 시장이 2.8% 감소하고, 특히 전기차 시장은 20.5% 급감한 가운데서도 기아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양자컴퓨터 전문기업 리게티컴퓨팅(Rigetti Computing)이 다중칩 양자컴퓨터를 통해 오차율을 절반으로 낮췄다고 밝혔다. [유료기사코드] 리케티는 17일 "모듈형 36큐비트(0과 1 상태의 정보를 동시에 갖는 중첩 상태로, 양자컴퓨터의 연산 단위) 시스템에서 99.5%의 중간값 2큐비트 게이트 충실도(두 개의 큐비트 사이에서 수행되는 양자 게이트 연산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2큐비트 게이트 충실도가 99.5%라는 것은 오차율이 0.5%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84큐비트 단일칩 시스템에서 기록한 중간값 2큐비트 게이트 오차율은 약 1%로, 2배 감소한 수치다. 2큐비트 게이트는 양자컴퓨터에서 큐비트 간 상호작용과 얽힘을 구현하는 핵심 연산 단위다. 이 단계에서 발생한 오류는 후속 연산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게이트 오류율을 낮추는 것이 양자 연산 전체의 신뢰도와 확장성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다. 리케티는 자사 독점 모듈형 칩 기술을 기반으로 9큐비트 칩 4개로 구성된 36큐비트 시스템을 개발했다. 내달 15일 이를 출시할 예정이다. 이 모듈형 기술을 바탕으로 100큐비트 이상을 탑재한 확장형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구축하고 있는 복합문화공간 '슈퍼차저 다이너(Supercharger Diner)'에 대한 새로운 정보가 공개됐다. 일론 머스크의 브랜드 전략이 집약된 공간으로 일컬어지는 슈퍼차저 다이너는 하반기 정식 오픈할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 슈퍼차저 다이너의 영업시간이 '24시간 연중무휴'로 결정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사실은 차량 인포테인먼트 이용자 인터페이스(UI) 전문 기업 어베러띠어터닷컴(ABetterTheater.com)의 소유자인 아론 캐시(Aaron Cash)가 촬영한 사진을 통해 전해졌다. 아론캐시는 지난 15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에 "테슬라 다이너가 24시간 연중무휴로 영업한다"며 사진을 게재했다. 해당 사진에는 슈퍼차저 다이너의 내부 모습 일부와 출입문에 적힌 'Open 24/7'이라는 글자를 확인할 수 있다. 테슬라 슈퍼차저 다이너의 내부는 최근 엑스 이용자인 소이어 메릿(Sawyer Merritt)에 의해서 모습을 드러냈다. 소이어 메릿이 지난 9일 공개한 슈퍼차저 다이너 사진에는 전통적 형태의 바테이블과 현대적 디자인의 원형 소파와 결합된 다이너 테이블 등의 모습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