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기아가 멕시코 대중차 브랜드 중 JD파워 '자동차 상품성 및 디자인 만족도 조사'(Automotive Performance, Execution and Layout, APEAL) 1위를 차지했다. 현대자동차도 톱5에 포함되며 멕시코 대중차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JD파워는 22일(현지시간) JD파워 2023 멕시코 APEAL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기아는 919점을 받아 대중차 브랜드 중 1위에 올랐다. 현대차는 909점으로 5위를 차지했다. 프리미엄 브랜드를 포함하면 GMC가 933점으로 1위에 올랐으며 그 뒤를 BMW(930점), 벤츠(929점)가 이었다. APEAL은 자동차 성능과 완성도 디자인, 설계에 대한 구매자의 만족도를 종합적인 점수(1000점 만점)로 환산하는 평가다. 이번 멕시코 APEAL 조사는 2022년 10월부터 2023년 7월까지 2020~2022년에 자동차를 구매한 604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파워트레인 △주행감 △안전성 △연비 △승차감 △외관 △승하차 △설정 및 시동 △인포테인먼트 △인테리어 등 10개 영역에 대한 평가를 진했다. 이번 조사에서 프리미엄 브랜드들은 대
[더구루=홍성일 기자] 기아 플래그십 전기SUV EV9이 '2024 유럽 올해의 자동차' 최종 후보에 올랐다. 기아는 2022년 EV6에 이어 2년만에 유럽 올해의 자동차 왕좌를 노린다. 유럽 올해의 자동차(Europe Car Of The Year)는 27일(현지시간) '2024 유럽 올해의 차' 최종 후보에 오른 7개 모델을 발표했다. 최종 후보에 기아 EV9을 비롯해 △BMW 5시리즈 △BYD 씰(Seal) △푸조 E-3008/3008 △르노 세닉 △토요타 C-HR △볼보 EX30 등이 올랐다. 기아는 2022년 EV6에 이어 2년만에 유럽 올해의 자동차 수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최종후보 명단은 22개국 59명의 자동차 전문 언론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21일(현지시간) 발표된 28종의 후보 명단을 심사해 선정했다. 심사위원단은 최종 후보에 오른 7종의 자동차를 두고 최종 심사에 돌입한다. 최종 심사에서는 심사위원들의 주행 테스트 등이 진행되며 우승자는 2024년 2월 26일(현지시간) 제네바 모터쇼에서 열리는 시상식에서 발표된다. EV9은 '세계 올해의 차(World Car of the Year)', '2024 북미 올해의 차(NACTOY…
[더구루=윤진웅 기자] 정밀냉간인발튜브(인발강관) 제조사 율촌이 한국과 멕시코에 이어 폴란드에 세 번째 생산 거점을 마련한다. 생산 능력 확대를 토대로 유럽 시장을 공략하는 것은 물론 글로벌 주문량 증가 수요 대응에 나선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율촌은 폴란드 돌니실롱스크주 스로다 실롱스카 카운티 코모르니키(Komorniki) 지역에 1억 즈워티(한화 약 330억 원) 규모 자동차 부품 공장을 마련한다. 주도이자 폴란드 남부 최대 산업 및 물류 중심지인 브로츠와프(Wrocław)와의 거리 등을 고려한 전략적인 위치 선택이라는 설명이다. 생산량 확대에 따른 수요 대응은 물론 신규 고객 유치와 대규모 글로벌 수주 확보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했다. 특히 폴란드 국립 종합대학 등 20여개 대학이 모여 있다는 점에서 향후 현지 인력 확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공장 설립 관련 율촌은 폴란드 레그니차 경제특별구역(Legnica Special Economic Zone, LSEZ)으로부터 지원도 약속받았다. LSEZ는 폴란드 레그니차市에 1997년 설립된 1400 헥타르(약 424만평) 규모 경제특별구역이다. 폭스바겐, 바스프(BASF) 등 77여개의 글로벌…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전기차 기업 테슬라가 첫 픽업모델 사이버트럭 출시를 앞두고 대대적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 팁스터인 그린더온니(@greentheonly)는 25일(현지시간) 자신의 엑스(구 트위터)를 통해 테슬라의 2023.44.1 업데이트 내용 중 일부를 공개했다. 그린더온리에 따르면 테슬라는 전면카메라에도 세탁기능을 추가하고 작동 버튼도 추가한다. 또한 새로운 미디어용 플레이어로 '샤카 플레이어'도 추가한다. 또한 미디어 재생 속도에 1.25배, 1.5배, 2배 옵션을 추가했다. 해당 기능은 애플 팟캐스트 전용 기능인 것으로 전해졌다. 전면카메라 세척 기능이 업데이트 된 것은 사이버트럭에 전면카메라가 설치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최근 출시된 모델3 하이랜드에는 전면에 별도의 새로운 전면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이버트럭은 각진 형태가 특징이다. 우주선 제조에 쓰이는 초고경도 냉간압연 스테인리스 스틸과 권총에 적용되는 9mm탄 방탄 성능을 갖췄다. 차체는 스테인리스강 소재와 방탄유리를 적용했다. 지붕에는 태양광 전지패널을 탑재해 운전할 때 차를 충전하는 태양광 충전도 가능하다. 10개 이상의 카메라도
[더구루=윤진웅 기자] 스웨덴 볼보그룹 트럭 사업 계열사 르노트럭이 삼성SDI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트럭 생산을 본격화했다. 브랜드 전동화 전략에 따라 오는 2040년 탄소중립을 목표하고 있는 만큼 양사 간 동맹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르노트럭은 최근 프랑스 동부 부르앙브레스(Bourg-en-Bresse) 소재 자동차 조립 공장에서 대형 상용 전기트럭 'E-테크 T·C'(E-Tech T·C) 생산을 시작했다. 사전 주문 접수 약 1년 만이다. 앞서 르노트럭은 지난해 10월 이들 모델 사전 주문 접수를 시작하고 다음달인 11월 공식 출시를 알린 바 있다. 이곳 공장은 르노트럭의 지난 60년간 트럭 조립·생산 노하우가 집결된 생산 기지이다. E-테크 T·C 생산을 위해 라인 증설과 직원 교육을 마쳤다. 현재 약 135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E-테크 T는 지역 물류 운송용, E-테크 C는 건설 현장 운송용으로 설계됐다. 신차의 중량은 44t이다. 3900mm 휠베이스가 적용된 4×2 버전과 6×2 버전의 트랙터로 주문 가능하다. 리지드 버전은 △4x2 △6x2 △8x4 총 3가지 버전이 있으며, 3900~6700mm 범위에서 최
[더구루=윤진웅 기자] 제네시스가 추구하는 브랜드 철학을 담은 하이퍼 레이싱카 모델이 내달 공개를 앞두고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실제 양산되는 모델이 아닌 가상 디지털 모델이지만 브랜드 창의성을 엿볼 수 있는 만큼 미래 경쟁력을 나타내는 지표가 될 것이라는 평가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제네시스는 내달 2일 '그란 투리스모 7'(Gran Turismo 7) 전용 가상 게이밍 하이퍼 레이싱카 '제네시스 비전 그란 투스리모'(Genesis Vision Gran Turismo, GVGT)를 공개한다. GVGT를 통해 창의성을 뽐내는 것은 물론 브랜드가 가진 하이퍼카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다. 그란 투리스모 7은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비디오게임 개발 자회사 '폴리포니 디지털'(Polyphony Digital)이 제작한 레이싱 게임이다. GVGT는 그란 투리스모 7에 등장하는 네 번째 제네시스 모델이 된다. 앞서 제네시스는 지난 2021년 △G70 기반 GR4 GT △제네시스 엑스(GENESIS X)를 변형한 GR3 콘셉트 △완전히 새롭게 디자인된 GR1 비전 그란 투리스모 총 3종을 선보인 바 있다. 이미 티저 영상도 공개됐다. 그란 투스리모 TV 공식 유튜브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전용 전기차 모델 '아이오닉5'가 인도 출시 약 10개월 만에 1000대 판매를 돌파했다. 세련된 디자인과 성능으로 현지 젊은 운전자들의 선택을 받으며 현지 판매 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다. 27일 현대차 인도판매법인(HMIL)에 따르면 HMIL은 최근 아이오닉5 1000대 판매를 돌파했다. 현지 출시 이후 약 10개월 만에 달성한 성과이다. 월평균 100대를 꾸준히 판매한 셈. 3년 표준 보증과 5년/14만km 연장 보증, 8년/16만km 배터리 보증을 제공하며 현지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인 결과로 풀이된다. 앞서 HMIL은 지난 1월 인도 수도 뉴델리 인근 그레이터노이다에서 열린 '오토 엑스포-더 모토쇼 2023'를 통해 아이오닉5 출시 행사를 진행한 바 있다. 특히 하반기 들어 판매 속도가 증가했다. 지난 7월 현지 출시 이후 약 6개월 만에 500대 판매 돌파를 이뤘다는 점에서 500대 기준 판매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6개월에서 4개월로 줄었다. 아이오닉5의 인기에 힘입어 HMIL은 현지 전기차 시장에서 가파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상반기(1~6월) 현지 시장에서 전기차 총 597대를 판매해 브랜드 순위 6위에 올랐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러시아 전기자동차 시장 규모가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로컬 브랜드와 중국 브랜드가 시장을 장악하는 가운데 올해 들어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차 시장 비중이 처음으로 1%를 돌파했다. [유료기사코드] 26일 러시아 자동차 시장 분석업체 Autostat에 따르면 올 상반기 러시아 전기차 시장 규모는 3만2700대로 집계됐다. 이는 러시아 전체 자동차 시장 약 0.07% 비중이다. 이 중 78.6%는 배터리 전기자동차(BEV), 21.4%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2월 러시아 전기차 시장 비중은 처음으로 1% 수준에 도달했다. 이는 작년 0.3% 비중을 나타낸 것과 비교해 급증한 수치이다. 미미하지만 러시아 전기차 시장 규모는 4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21년의 경우 전년 대비 약 228% 세 자릿수 증가하며 역대 최고 규모를 나타내기도 했다. 작년 역시 전년 대비 33% 두 자릿수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 다만 아직까지 러시아 전기차 시장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과 비교해 상당히 뒤처진 수준이다. 2020년 기준 러시아 전기차 점유율은 0.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최근 주요 글로벌 자동차 시상식 후보 명단에 일제히 이름을 올리며 '종횡무진' 영향력을 과시하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월드카 어워즈 2024'(World Cars Awards 2024, WCA 2024) 최고 영예인 '세계 올해의 차'(World Car of the Year)와 자동차 업계 '오스카상'으로 불리는 '2024 북미 올해의 차'(NACTOY 2024)' 결선, '여성 세계 올해의 차'(2024 Women's World Car of the Year·WWCOTY 2024) 등 주요 글로벌 자동차 시상식 후보로 선정됐다. 구체적으로 WCA 2024에선 현대차 코나/코나EV와 싼타페, 기아 EV9가 후보 명단에 올랐다. 함께 후보로 발탁된 33개 모델과 맞붙는다. 심사위원단은 내년 2월까지 남은 두 개 테스트를 마치고 최종 결선 진출 후보 명단을 추릴 예정이다. 최종 우승자 발표는 내년 3월 27일 열리는 뉴육 국제 오토쇼에서 공개된다. 지난해 '세계 올해의 자동차' 수상은 현대차 아이오닉6였다. NACTOY 2024에는 현대차 아이오닉6와 제네시스 GV70EV, 기아 EV9가 후보로 이름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글로벌 브랜드 컨설팅 업체 '인터브랜드(Interbrand)'가 조사한 브랜드 가치 평가에서 글로벌 완성차 업체 브랜드 부문 상위권을 기록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인터브랜드가 발표한 '2023 글로벌 100대 브랜드(Best Global Brands 2023)'에서 브랜드 가치 204억 달러(한화 약 26조원)를 기록하며 글로벌 완성차 업체 부문 6위를 기록했다. 종합 브랜드 순위는 32위로 집계됐다. 특히 현대차는 지난 2005년과 비교해 브랜드 가치 169억 달러가 오르는 등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뤘다. 당시 현대차 브랜드 가치는 35억 달러였다. 전년 대비 브랜드 가치는 약 18% 두 자릿수 성장을 나타냈다. 인터브랜드 관계자는 "현대자동차는 친환경 상품 및 혁신적 기술을 통해 브랜드의 비전을 실현하는 데 큰 진전을 이루고 있고, 지속 가능성 등 인류의 핵심 가치에 대해 진정성 있는 소통으로 깊은 인상을 남기고 있다"며 "앞으로도 격변하는 모빌리티 산업에서 현대자동차의 성장을 기대한다"고 평가했다. '인터브랜드'는 세계적으로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브랜드 컨설팅 업체이다. 매년 전 세계 주요 브랜드의…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고성능 브랜드 N 전기차 모델 '아이오닉5 N' 독일 판매 가격을 책정했다. 1억원대부터 시작한다는 점에서 가격 부담 우려가 있지만, 현지 프리미엄 브랜드 포르쉐 타이칸 모델과 비교해 손색이 없다는 점에서 적정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특히 현지 Z세대 운전자들 사이에서 고성능 모델 인기가 높아지고 있어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최근 아이오닉5 N 독일 판매 시작 가격을 7만5000유로(한화 약 1억645만 원)로 결정했다. 지난 7월 현지 공식 출시 이후 약 4개월 만이다. 이르면 내달 중 공식 판매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이오닉5 N은 현대차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를 기반으로 개발된 첫 번째 고성능 사륜 구동 전기 스포츠카다. 현지 경쟁 모델로는 포르쉐 타이컨과 테슬라 모델 S가 꼽힌다. 이들 모델과 맞먹는 고성능을 지녔기 때문이다. 아이오닉5 N 파워트레인은 전∙후륜 모터를 통한 고성능 사륜구동 시스템을 통해 시스템 합산 최고출력 609마력, 최대토크 75.5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최고 속도는 시속 약 260km/h에 달한다. ‘N 그린 부스트(NGB)’ 사용 시 합산 최고 출
[더구루=정등용 기자] 배터리 가격 하락이 전기차 판매 제고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다만 사업 지역에 따라 다소간 편차는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골드만삭스는 24일 ‘배터리:차세대 혁신의 동력’이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배터리 가격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40%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비용 개선의 대부분은 리튬인산철(LFP)과 리튬니켈망간코발트산화물(NMC) 같은 리튬 산화물 재료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올해 배터리 기본 가격은 165달러/kWh(킬로와트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60kWh 배터리를 사용하는 테슬라 모델Y RWD 기준으로는 배터리 팩 가격이 약 9900달러에 달한다. 골드만삭스는 오는 2025년 배터리 가격이 40% 하락해 약 99달러/kWh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테슬라 모델Y RWD 기준으로는 동일한 배터리 팩 가격이 5940달러에 불과할 것이란 의미다. 골드만삭스는 오는 2030년까지 배터리 가격이 평균 11% 하락해 72달러/kWh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 같은 비용 절감은 보조금 없이도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비용 평준화를 이뤄 전기차 판매량 증가를 촉진할 것이란 전망이다. 골드만삭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넥스젠에너지(NexGen Energy Ltd, 이하 넥스젠)가 연방 정부 허가를 받아 조만간 우라늄 생산에 들어간다. 생산 초기 전세계 우라늄 생산량의 23%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만반의 준비를 통해 생산을 준비한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캐나다 CBC방송에 따르면 닉 에스펜버그(Nick Espenberg) 넥스젠 광산 기술 서비스 담당은 지난 28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락 원 프로젝트(Rook I Project)의 진행 상황에 대해 "캐나다 원자력안전위원회와 연방 승인 절차를 밟고 있다"며 "내년 말까지 공청회를 마무리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어 "모든 승인이 완료되면 2020년대 안에 우라늄 생산이 시작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락 원 프로젝트는 캐나다 서스캐처원주 라 루체 지역에서 북쪽으로 130㎞ 떨어진 곳에 우라늄 광산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넥스젠은 지분 100%를 보유했다.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해 지난 9일 서스캐처원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우라늄 프로젝트 중에서 현지 주정부의 허가를 받은 건 약 20년 만이다. 에스펜버그 담당은 락 원 프로젝트의 친환경성을 강조했다. 그는 "지하 광미(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CATL이 연내 인도네시아 배터리 통합 공급망 구축 프로젝트에 본격 착수한다. 광산 채굴을 시작으로 업스트림부터 다운스트림까지 현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선점, 글로벌 시장 1위 입지를 공고히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인도네시아 하원(DRP)에 따르면 토토 누그로호(Toto Nugroho) 인도네시아 국영 배터리 코퍼레이션(IBC)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7일(현지시간) 열린 하원 광물에너지 분과위원회(Komisi VII) 청문회에서 "CATL은 내달 10일 니켈 광산 국영기업 '안탐(ANTM)'과 최종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라며 "업스트림을 시작으로 CATL의 전체 배터리 프로젝트가 공식적으로 시작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CATL은 자회사 CBL을 통해 업스트림 사업을 운영한다. 안탐과의 합작사 설립 주체도 CBL이다. 이 과정에서 안탐은 자회사 '섬베르다야 아린도(Sumberdaya Arindo)'가 관리하는 니켈 채굴권 지분 49%를 CBL 홍콩 자회사에 매각한다. 앞서 올 1월 안탐은 CBL과 조건부 주식매매계약(CSPA)과 조건부주주계약(SHA)을 체결하며 프로젝트에 신호탄을 쐈었다. <본보 2023년 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