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수소연료전지차(FCEV) 모델 '넥쏘'가 지난해 미국 전기차(EV) 시장에서 워스트셀링카 모델 1위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캘리포니아주에서만 한정 판매되고 있는데다 현지 수소 충전 인프라 부족 등에 따른 수요 저하까지 겹쳐 인기가 시들했다. 올해 출시 예정인 차세대 넥쏘 모델의 흥행 기대감도 떨어진 상태이다. 14일 미국 자동차 평가 기관 켈리블루북(Kelley Blue Book)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해 미국 EV 시장에서 넥쏘 94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241대) 대비 61% 줄어든 수직다. 현지 판매 단일 모델 기준으로는 가장 낮은 판매량이다. 월평균 10대도 팔리지 않았다. 특히 경쟁 모델인 토요타 미라이의 5분의 1수준이다. 미라이는 같은 해 전년(2737대) 대비 81.8% 급감한 499대가 판매됐다. 하락률로만 따지면 미라이가 훨씬 크지만, 전년 판매량이 10배 이상 차이가 났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수치는 아니다. 다만 넥쏘의 경우 캘리포니아주 한정 판매되고 있다는 점에서 현지 입지는 비슷한 수준이다. 전반적으로 수소차 판매가 저조했다. 현지 수소차 시장에서 개인용 승용차로 판매되는 모델은 사실상 현대차 넥쏘
[더구루=윤진웅 기자] 빌 포드(Bill Ford) 포드자동차 회장이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자동차 정책에 대해 기대감을 내비쳤다. 특히 포드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오른팔로 주목받고 있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 줄 것으로 확신했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대표이사가 지난 7일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긍정적"이라고 밝힌 것과 비슷한 맥락였다. 디트로이트 프리 프레스는 13일(현지시간) 포드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포드 회장은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산업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있다"며 "특히 (미국내) 공장에 있는 사람들을 매우 소중히 여긴다"고 강조했다.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전기차 세액 공제 관련해서는 "이미 트럼프와 세액 공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며 "향후 포드가 이에 대한 발언권을 가지고 협상 테이블에 앉게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취임 후 7500달러 규모 전기차 세액 공제 철회 뜻을 밝힌 상태이다. 보조금 완전 폐지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전망이
[더구루=윤진웅 기자] 스티브 클로티 아우디코리아 사장이 국내 미디어와의 첫 소통 자리를 마련했다. 지난해 주요 성과를 설명하고 올해 비전과 계획을 공유했다. 2025년을 아우디 브랜드 역사상 가장 많은 신모델 출시와 굳건한 파트너십에 기반한 도약의 해로 삼아 한국 프리미엄 수입차 시장에서 아우디의 입지를 키워나가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아우디코리아는 13일 신라호텔 서울 영빈관에서 ‘신년 미디어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 아우디 신년 미디어 라운드테이블은 지난해 5월 부임한 스티브 클로티 사장이 국내 미디어와 공식적으로 만나는 자리로, 긴밀한 소통과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스티브 사장은 아우디 코리아의 2024년 주요 성과를 설명하고 2025년 계획 및 향후 비전을 공유했다. 스티브 사장에 따르면 아우디코리아에 있어 지난해는 고객 중심 맞춤형 서비스 강화 및 네트워크 최적화에 집중하는 시기였다. 아우디코리아는 도전적인 시장 환경 속에서도 고객의 변화하는 니즈와 구매행동 변화에 발맞춰 고객 중심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채널 강화에 주력했다. 지난해 주요 성과로는 지속가능한 네트워크를 위한 최적화 작업에 따른 효율화와 시티몰 콘셉트 판매 네트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모비스가 브라질 내 짝퉁부품 근절 캠페인을 통해 현지 유통되고 있는 위조품을 대량 압수하고 위조품 판매 사이트를 폐쇄 조치했다. 브랜드 신뢰와 고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경영전략에 따른 것이다. 특히 현대모비스는 정품 부품 사용 가이드라인 홍보와 고객 응대 관련 현지 영업 사원 대상 별도 교육도 병행하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모비스는 브라질 민정경찰(DEIC)과의 협력을 토대로 지난 5년간 브라질 내 현대모비스 위조품 49만여 개를 압수하고 위조품을 판매하는 웹사이트 150여 개를 비활성화 조치했다. 자체 조사 결과 △공기 필터 △오일 필터 △연료 필터 △벨트 △브레이크 패드 △와이퍼 △코일 △스파크 플러그 △암호화 키 등 부품이 가장 많이 위조된 것으로 파악됐다. 현대모비스는 브라질 운전자들을 위한 정품 부품 사용 가이드라인 홍보도 병행하고 있다. 현대모비스가 제시한 정품 부품을 식별하기 위한 핵심 확인 사항은 총 6가지이다. 먼저 제품 검사를 통해 마감을 확인하고, 포장과 인쇄 결함 및 변조 흔적을 확인해야 한다. 현대모비스 정품의 경우 포장에 '순정 부품'이라는 설명과 함께 현대차 로고가 새겨져 있다는 설명이다. 상
[더구루=윤진웅 기자]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식을 기점으로 수차례 만날 것으로 관측된다. 현대차그룹은 성 김 대외협력 담당(사장)을 주축으로 정 회장과 트럼프 당선인과 취임식 전후 비공식 면담 성사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비공개 면담이 성사될 경우 정 회장은 트럼프 당선인이 예고한 보편적 관세(Universal Tariff)를 비롯해 전기차 보조금 폐지 등과 관련해 현대차그룹 입장을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 ◇정 회장, 취임식 전날 19일 만찬 참석 13일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취임위원회(President-elect Donald J. Trump’s inaugural committee)에 따르면 현대차 미국법인은 오는 20일(현지시간) 열리는 트럼프 취임식에 100만 달러(약 14억7480만원)를 기부했다. 취임 기금(inaugural fund)을 기부한 기업에게는 내각 지명자들과 함께하는 비공개 리셉션 참가 티켓 6장과 저녁 만찬 참가 티켓 6장, 기타 특별 행사 참가권 등이 주어진다. 이에 따라 정 회장을 비롯해 호세 무뇨스 현대차 대표이사는 취임식 전날인 19일 미국 플로리다주 팜비치 마러라고리조트에서 열리는 만찬 행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중국 양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징동닷컴'(京东)과 알리바바 '티몰'과 손 잡고 자동차 애프터 서비스 강화에 나선다. 양사 디지털 체인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자동차 정비 등에서 추적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중국 합작사 기아기차유한공사(起亚汽车有限公司, 이하 기아기차)는 지난 9일 중국 상하이에서 중국 대형 온라인 플랫폼 △JD닷컴 △티몰오토케어와 각각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김경현 기아기차 총경리와 리우 징윤(Liu Jinyun) JD닷컴 자동차 부품 채널 사업 총괄, 차 용지(Cai Yongzhi) 티몰 카즈 총괄 매니저가 참석했다. JD닷컴은 현지 자동차 애프터마켓 주요 브랜드 중 하나이다. 자동차 마케팅과 판매, 애프터 세일즈, 온라인 쇼핑몰 등 다양한 채널에서 서비스 역량을 갖추고 있다. 오프라인 매장은 2000개가 넘는다. 티몰오토케어는 69개 자동차 브랜드와 협력하고 있다. 티몰오토케어를 통한 연간 완성차 주문량은 280만 대에 달하며 연간 구매자 수는 2억 명을 넘는다. 이에 따라 티몰오토케어는 현지 인터넷 자동차 정비 분야의 선두 브랜드로 여겨지며 사용자 평판 역시 업계 1위를 차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일본 전기차 시장에서 입지를 빠르게 키워가고 있다. 지난해 현지 전기차 시장 규모가 움츠려든 가운데 성장을 일구며 눈길을 끌었다. 현지 판매 라인업 확대와 공격적인 온라인 판매를 병행한 데 따른 결과이다. 현대차는 올해 보급형 전기차 모델 '인스터' 출시를 토대로 현지 전기차 판매 확대에 드라이브를 건다. 12일 일본자동차수입조합(JAIA)에 따르면 현대모빌리티재팬(Hyundai Mobility Japan, HMJ)은 지난해 일본 전기차 시장에서 총 607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489대) 대비 24.1% 성장한 수치이다. 현지 판매 라인업에 아이오닉5 페이스리프트 모델과 고성능 모델인 아이오닉 5N 등을 추가하는 등 공격적인 온라인 판매를 진행한 결과이다. 특히 HMJ는 현지 전기차 시장 규모가 쪼그라드는 상황에서도 성장을 일궈 눈길을 끌었다. 지난해 일본 전기차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33% 급감한 5만9736대로 예상된다. 4년 만에 첫 하락이다.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주요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은 2% 미만으로 떨어졌다. 현지 전기차 시장 규모 축소 주요 원인으로는 일본 로컬 브랜드들의
[더구루=윤진웅 기자] 프랑스의 한 슈퍼차저 스테이션에서 충전 중이던 테슬라 준대형 전기 세단 '모델S'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 당국이 화재를 진압했으며 인명피해는 없었다. 현재 차체 결함 여부 등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5일 오후 7시경 프랑스 퐁타리에(Pontarlier)에 위치한 테슬라 슈퍼차저에서 충전 중이던 모델S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차량은 형체를 알 수 없을 정도로 파손됐지만, 따로 승객이 탑승하고 있지 않아 인명 피해는 없었다. 이날 현장에 출동한 퐁타리에 소방 당국은 화재를 진압하고 다음날 오전 1시까지 화재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감시에 들어갔다. 현재 해당 슈퍼차저는 폐쇄 조치됐으며, 소방 당국은 리옹에서 파견된 테슬라 기술자와 함께 화재 원인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화재가 모델S 차체 결함인지 충전 중에 문제가 발생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향후 조사 결과가 나오는대로 알 수 있을 전망이다. 프랑스에서 테슬라 화재 사고가 발생한 것은 최근 2개월 사이 벌써 두 번째다. 지난해 12월 프랑스 서부 도시 니오르에서 발생한 테슬라 전기차 화재 사고로 4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차량은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보급형 전기차 모델 '인스터'를 앞세워 일본 전기차 시장 공략에 나선다. 특히 현지 시장 판매량을 향후 5년간 10배 이상 늘리겠다는 각오다. '인스터'는 현지 도로 사정에 적합한 콤팩트한 크기를 갖춘 모델인 만큼 현지 운전자들의 높은 관심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10일 현대모빌리티재팬(Hyundai Mobility Japan, HMJ)에 따르면 내달 인스터 우핸들 모델을 생산하고 이르면 3월 현지 시장에 인스터를 공식 출시한다. 판매 가격은 현지 경형 EV 판매 가격대를 고려해 250만~350만 엔(한화 약 2309만~3233만 원) 사이로 책정할 예정이다. 닛산 리프(408만엔), 비야디 돌핀(363만엔) 등 경쟁모델보다 저렴하다. 올해 목표 판매량은 1511대로 잡았다. 인스터는 캐스퍼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전기차이다. 기존 모델의 단단한 실루엣을 계승하면서도 전동화적인 디자인 요소를 더해 차별화된 모습으로 진화한 것이 특징이다. 수출형은 42kWh 배터리, 97마력 모터를 기본으로 49kWh 배터리, 115마력 모터가 옵션이다. 전자는 최고 속도 140km/h, 1회 충전 주행거리 300km, 후자는 최고 속도 15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지난해 호주 시장에서 2년 연속 연간 판매 4위를 기록했다. 브랜드 인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스포티지'를 앞세워 현지 SUV 수요를 확보하는 데 주력한 결과이다. 현대차 역시 현지 SUV 시장 공략에 나섰지만, 6위로 밀리며 '톱5' 브랜드 지위를 유지하는 데 실패했다. 10일 호주연방자동차산업회의소(FCAI)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호주 자동차 시장에서 총 15만3451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15만1303대) 대비 1.41% 증가한 수치이다. 양사 합산 시장 점유율은 12.40%이다. 지난해 호주 자동차 시장 규모는 전년(121만6780대) 대비 1.7% 성장 123만7287대로 집계됐다. 단일 브랜드 기준 기아는 같은 해 전년 대비 7.4% 확대된 8만1787대를 판매했다. 브랜드별 판매 순위는 2년 연속 4위를 유지했다. 기아 현지 판매 라인업 중에서는 스포티지가 실적을 견인했다. 전년 대비 41.% 수직성장한 2만2210대 판매됐다. 이어 세라토와 소렌토가 각각 1만5502대와 9791대로 실적을 뒷받침했다. 이들 모델은 전년 대비 각각 167.5%와 17.0% 성장했다. 특히 세라토의 경우 소형
[더구루 라스베이거스(미국)·서울=김병용 기자·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엔비디아와 손 잡고 미래 모빌리티 인공지능(AI) 솔루션 개발에 나선다.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 전반에 AI를 접목하기 위한 혁신을 추진하기 위해 컴퓨팅, 생성형 AI, 산업 디지털화 기술 도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업한다. 현대차그룹은 9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엔비디아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미래 모빌리티용 첨단 AI 기술 개발을 위해서다. 엔비디아 소프트웨어와 플랫폼을 활용해 SDV(Software Defined Vehicle)와 자율주행, 스마트로봇, 스마트팩토리 등 다양한 분야 사업 운영 전반에 AI를 적용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번 파트너십에 따라 현대차그룹은 엔비디아 △가속 컴퓨팅 △AI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맞는 AI 모델을 안전하게 개발하고 훈련시키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관리한다. 엔비디아 옴니버스 플랫폼을 통해 공장 시뮬레이션을 위한 물리적 AI 및 디지털 트윈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로 했다. 공장 제조 효율성과 품질을 개선하고 비용을 간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아울러 현대차그룹은 엔비디아 이삭 로봇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해 체코 자동차 시장에서 브랜드별 연간 판매 '톱2'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로컬 브랜드인 스코다를 제외하고 현지 브랜드 중 가장 높은 판매고(누적 판매 기준)를 기록했다. 아울러 기아가 '톱5'에 포함되며 눈길을 끌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해 체코 자동차 시장에서 총 2만309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1.2% 증가한 수치이다. 브랜드별 판매 순위는 2위를 기록했다. 1위를 차지한 폭스바겐그룹 스코다(7만8097대)가 로컬 브랜드임을 감안하면 수입 브랜드 중 가장 높은 판매량을 나타낸 것이다. 지난해 체코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4.6% 성장한 23만1600대로 집계됐다. 전기차의 경우 전년 대비 64.7% 증가한 1만933대로 전체 시장에서 전기차 비중은 4.7%로 나타났다. 경쟁 브랜드인 토요타는 총 1만8994대를 판매, 3위를 차지했다. 현대차와의 판매 격차는 1315대로 집계됐다. 폭스바겐은 1만5555대로 4위, 기아는 1만743대로 5위에 랭크됐다. 6위부터 10위는 △다시아(9422대) △메르세데스-벤츠(8061대) △포드(6601대) △르노(5496대) △BMW(5459대) 순으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메모리 반도체 전문기업 브이컬러 테크놀로지(V-Color Technology, 이하 브이컬러)가 '업계 최초' 64기가바이트(GB) 메모리 키트를 출시했다. 브이컬러는 신형 메모리 키트를 앞세워 고사양 컴퓨터가 필요한 전문가 컴퓨터 시장을 공략한다. [유료기사코드] 1일 브이컬러에 따르면 브이컬러 64GB DDR5 CUDIMM 메모리 키트는 32GB 메모리 2개로 구성됐다. 인텔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와 Z890 메인보드에 최적화됐다. 올 2분기 중 글로벌 시장에 출시할 예정이다. 이 제품은 CUDIMM 기반으로 개발돼 전송 속도가 9000MT/s(초당 메가트랜스퍼)에 달한다. 전문 콘텐츠 제작과 게임, 고해상도 렌더링, 고급 멀티태스킹 등 까다로운 작업에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CUDIMM은 클럭을 최적화하는 클럭 드라이버 칩(Clock Driver IC, CKD)을 메모리 모듈에 내장하는 기술로, 신호 무결성을 강화해 고속 전송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한다. 브이컬러는 64GB DDR5 CUDIMM 메모리 키트에 RGB 조명과 하얀색 방열판을 적용, 디자인 만족도도 높였다. 브이컬러 관계자는 "64GB DDR5 CUDIMM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방산기업 록히드마틴이 메타에 이어 구글과도 인공지능(AI) 부문에서 협력한다. 록히드마틴은 구글의 AI 기술을 도입해 국가안보·항공우주 분야에 특화된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1일 록히드마틴에 따르면 구글 공공부문 자회사 '구글 퍼블릭 섹터(Google Public Sector)'와 파트너십을 맺고, 록히드마틴 'AI팩토리(AI Factory)' 생태계에 구글 클라우드 AI 플랫폼 '버텍스 AI(Vertex AI)'를 통합한다. 록히드마틴의 AI팩토리는 다양한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방산·항공우주 등 국가안보 분야 제품에 특화된 AI를 개발하는 플랫폼이다. 앞서 록히드마틴은 지난해 11월 메타와 계약을 맺고 AI팩토리에 생성형 AI 모델인 라마(Llama)를 도입하기도 했다. 버텍스 AI는 기업과 공공기관에서 전용 AI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필요한 개발 툴을 모아둔 플랫폼이다. 록히드마틴은 버텍스 AI를 AI팩토리와 통합해 △실시간 의사 결정 △항공우주 유지보수 예측 △엔지니어링 최적화 설계 등이 가능한 AI솔루션을 개발, 국가안보·항공우주 분야 역량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록히드마틴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