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진유진 기자] 카자흐스탄 국영 우라늄 광산업체 카자톰프롬(Kazatomprom)이 투르크스탄 지역 우라늄 탐사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이를 통해 자국 우라늄 자원의 전략적 중요성을 강화하고 글로벌 우라늄 시장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할 것으로 전망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카자톰프롬은 최근 투르크스탄 지역 수자크(Suzak) 지구에 위치한 부데노프스코예(Budenovskoye) 광구 5블록에서 6년간 독점적으로 우라늄 탐사를 진행할 심토 사용권을 확보했다. 부데노프스코예 광구는 켄트세-부데노프스코예 금속광구 내 마인쿠둑(Mynkuduk) 광구 일부로, 잉카이(Inkai) 광구 남쪽과 연결돼 있다. 해당 지역의 우라늄 매장량은 1만8000t이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카자톰프롬은 추가 탐사를 통해 자원 규모를 파악하고 생산 계획을 수립할 것으로 보인다. 메이르잔 유수포프 카자톰프롬 최고경영자(CEO)는 "부데노프스코예 5블록은 상당한 우라늄 자원과 유리한 지질학적 조건, 개발된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카자톰프롬의 우라늄 자원 보충 전략에서 중요한 단계"라며 "추가 개발 가능성이 있어 카자톰프롬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카자흐스탄은 호주에 이어 세계 2위 우라늄 매장국으로, 전 세계 우라늄 매장량의 약 14%를 차지하고 있다. 입증된 우라늄 매장량만 70만t 이상으로 평가된다. 생산량의 경우 전 세계에서 약 40%를 담당하며, 친환경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현장 침출 방식'을 사용해 우라늄을 채굴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카자톰프롬과 자회사 산화우라늄 판매량은 전년 대비 18% 감소한 7800t을 기록했으나,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해 1만800t에 달했다. 카자톰프롬은 오는 2025년까지 우라늄 생산을 확대할 계획이다. 당초 기존 생산량을 90%로 제한하려 했으나, 계약 포트폴리오 강화와 판매량 증가를 위해 5500~6500t 증가한 전량을 추출할 예정이다. 다만 카자톰프롬은 지난 1월 우라늄 채굴 핵심 성분인 황산 구매의 어려움으로 인해 올해 생산량이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기존 계약에 따른 공급 의무는 완전히 이행하겠다는 방침이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엔비디아가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차세대 인공지능(AI) 가속기 'GB200'의 출하 일정을 드디어 확정했다. 생산 지연으로 인해 불거졌던 각종 우려를 해소하고 급증하고 있는 AI 칩 수요 대응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전 블룸버그 기술 분야 전문 오피니언 칼럼니스트인 프리랜서 저널리스트 팀 컬판(Tim Culpan)에 따르면 컬판은 "엔비디아는 12월 초에 GB200 서버의 첫 번째 랙을 공급이 시작될 예정"이라며 "마이크로소프트(MS)는 오라클, 메타,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다른 주요 고객들과 함께 가장 진보된 AI 칩(GB200)을 가장 많이 할당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새로운 일정은 원래 계획했던 것보다 약 한 달 정도 늦게 출하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우려했던 것보다 빠르다"며 "'GB200 NVL36'과 'GB200 NVL72’ 서버 모두 12월 첫째 주에 배송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확한 초기 공급 물량 규모는 알려지지 않았다. 엔비디아는 TSMC를 비롯해 주요 공급망 파트너사가 위치하고 있는 대만에서 초기 공급할 칩 전량을 제조할 예정이다. 안정화를 거쳐 내년 1분기께 멕시코, 텍사스 등 북미를 포함한 해외 공장에서 생산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GB200은 엔비디아가 지난 3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 SAP 센터에서 개최한 개발자 콘퍼런스 'GTC(GPU Technology Conference) 2024'에서 공개한 AI 가속기다. 블랙웰 아키텍처 기반 AI 칩인 'B200' 그래픽처리장치(GPU) 2개와 Arm 설계 기반 그레이스(Grace) 중앙처리장치(CPU) 1개로 구성돼 있다. 여러 개의 칩을 결합해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가장 고성능을 구현하는 조합은 GB200 36개를 모은 것으로, 'GB200 NVL72’라고 불린다. B200이 72개나 사용된다. GB200 NVL36에는 B200이 36개 쓰인다. GB200에 탑재되는 B200은 TSMC의 4나노미터(nm) 공정 개선 버전인 4NP 공정으로 제조된다. 전작 대비 2배 가량 향상된 2080억개 트랜지스터로 구성됐다. 밀접한 2개의 다이로 구성된 칩렛 구조를 갖추고 있다. 각 다이에는 4세대 HBM 제품인 HBM3E 24GB 4개씩, 1개의 B200에 총 8개의 HBM3E가 장착된다. SK하이닉스가 HBM3E를 공급할 전망이다. 엔비디아는 당초 GB200 NVL36와 GB200 NVL72를 각각 오는 10월 말과 11월 초에 출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제조상의 문제로 인해 출시 지연 소식이 들려오며 엔비디아 위기설(說) 등으로 비화되기도 했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열린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위기설을 일축했었다. 그는 "블랙웰의 마스크 변경은 이미 완료됐고 다른 기능적 변경은 필요하지 않았다"며 "이미 약 100가지 형태의 블랙웰이 고객사에 보내져서 샘플링(최종 검수) 중이며, 4분기엔 출하가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일본 3대 대형은행과 정책금융기관에 일본 반도체 파운더리 회사 라피더스(Rapidus)에 2300억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일본 지지통신 등에 따르면 미쓰비시UFJ은행, 미쓰이스미토은행, 미즈호은행 등 일본 3대 대형은행과 일본정책투자은행은 라피더스에 250억 엔(약 2300억원)을 투자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미쓰비시UFJ은행, 미쓰이스미토은행, 미즈호은행 등 세 곳이 각각 50억엔을 투자하고, 일본정책투자은행은 100억 엔을 출자할 예정이다. 투자는 이르면 내년 중반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라피더스는 앞서 지난달 이들 금융기관에 총 1000억 엔(약 9100억원) 규모 대출을 요청한 바 있다. 라피더스는 지난 2022년 일본 정부 주도로 첨단 반도체 국산화를 위해 만든 회사다. 도요타자동차와 키옥시아, 소니, NTT, 소프트뱅크, NEC, 덴소, 미쓰비시UFJ은행 등 일본 대표 기업 8곳이 연합해 설립했다. 최첨단 2㎚(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반도체를 2025년 시험 생산 후 2027년부터 양산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라피더스는 홋카이도 치토세시에 공장을 세우고, 내년에 시험 생산 라인을 가동할 예정이다. 일본 정부는 라피더스에 9200억 엔(약 8조4000억원)의 보조금을 지원한다. 다만 차세대 반도체 양산 실현에는 5조 엔(약 46조4600억원)의 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추정되믄데, 도요타와 NTT 등 민간 기업으로부터의 출자는 73억 엔(약 660억원)에 그친 상태다. 이에 나머지 4조 엔(약 36조3800억원) 가량의 재원 조달이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가 미국의 인공지능(AI) 솔루션 업체 '하이브AI'와 손 잡았다. 엔비디아는 이번 협력으로 생성형 AI로 만들어진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하이브AI의 솔루션을 NIM 마이크로서비스에 통합하기로 했다. NIM 마이크로서비스는 엔비이아의 기업용 AI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포함된 서비스다. 기업들에게 최적화된 AI 모델을 제공해 빠르게 자체 AI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번에 엔비디아와 손잡은 하이브AI는 생성형 AI로 생성된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독자적인 AI모델을 개발했다. 현재 하이브AI의 모델을 도입한 기업은 월마트, 넷플릭스, 레딧, 징가, 글래스도어 등이 있다. 엔비디아가 하이브AI의 기술을 도입한 것은 생성형 AI로 인한 피해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엔비디아는 이번 협력으로 생성형AI로 인한 가짜뉴스, 사기, 허위정보 등에 시달리고 있는 보험, 금융, 언론 기관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하이브AI는 향후 수개월 내 콘텐츠 수정, 로고 감지, 광학 문자 인식, 음성 분석 등의 기능을 엔비디아 NIM을 통해 제공할 계획이다. 하이브AI 관계자는 "생성형 AI로 콘텐츠를 쉽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은 다양한 기업이나 조직에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며 "우리는 이런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엔비디아 관계자는 "AI로 생성된 콘텐츠를 감시하는 기능은 보험, 금융 서비스 회사들에게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RJ 스캐린지 리비안 최고경영자(CEO)가 자사주 매각을 단행했다. 이후 리비안 주가는 7% 가까이 떨어졌다. 27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스캐린지 최고경영자는 지난 23일 약 97만 달러(약 12억원) 규모의 클래스A 보통주 주식을 매각했다. 주식은 11.6351달러의 가중 평균 가격에 매각됐으며, 주당 11.42달러에서 11.85달러까지 여러 부분으로 나눠 거래가 이뤄졌다. 이번 매각은 지난 3월8일 스캐린지 최고경영자가 채택한 규정 10b5-1 거래 계획에 따라 자동으로 진행됐다. 10b5-1 거래 계획은 회사 내부자가 내부자 거래 혐의를 피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에 주식을 매도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규정이다. 스캐린지 최고경영자는 이날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 행사를 통해 주당 2.6282달러의 가격으로 클래스A 보통주 8만3333주를 취득했다. 총 거래 규모는 약 22만 달러(약 3억원)다. 스캐린지 최고경영자의 거래 이후 리비안 주가는 지난 25일 미국 뉴욕증시에서 전거래일보다 6.84% 하락한 11.03달러를 기록했다. 리비안은 최근 여러 악재를 겪고 있다. 미국 일리노이 공장 화재 사고로 인해 전기차 피해가 발생했으며, 부품 부족으로 전기 배달 밴의 생산이 중단되기도 했다. 다만 리비안은 조지아에 추가 조립 공장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모건 스탠리는 리비안 주식을 비중 확대에서 비중 축소로 하향 조정하고, 목표 주가를 16달러에서 13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또한 리비안 자본 지출이 오는 2026년부터 매년 2억~3억 달러(약 2630억~3950억원)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제프리스는 리비안에 대한 매수 등급과 17.00달러의 목표 주가를 재확인하면서 변동비 개선을 회사의 주요 초점으로 강조했다. 골드만삭스는 리비안에 대해 중립 등급을 유지하고 목표 주가를 13달러로 잡았다. 리비안의 R2 모델 도입과 상용차 판매 확대 같은 잠재적 성장 동력을 높게 평가했으며, 폭스바겐과의 합작 투자로 유동성 공급과 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는 점도 주목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이 미국에 신규 데이터 센터를 구축한다. 알파벳은 새로운 데이터 센터를 앞세워 인공지능(AI) 시장을 확대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정부는 26일(현지시간) 알파벳이 신규 데이터 센터 2곳을 도체스터 카운티에 구축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버클리 카운티 데이터 센터도 확장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신규 데이터 센터는 각각 리지빌 파인 힐 비지니스 캠퍼스, 세인트 조지 와인딩 우즈 커머스 파크에 위치한다. 알파벳은 신규 데이터 센터 2곳을 구축하는데 20억 달러, 버클리 카운티 데이터 센터 확장에 13억 달러 등 총 33억 달러(약 4조 3430억원)를 투입하기로 했다. 알파벳은 이번 투자로 미국 내 데이터 센터 인프라 확충에 속도를 낸다. 알파벳은 지난 6월 오하이오주에 위치한 3곳의 데이터 센터 확장에 23억 달러(약 3조300억원)를 투입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알파벳은 향후에도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AI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데이터 센터 인프라에 추가 투자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도 알파벳과 협력하고 지원도 이어나갈 예정이다. 알파벳 관계자는 "데이터 센터는 AI와 같은 기술 혁신과 함께 현대인의 삶을 뒷받침하는 디지털 서비스의 중추"라며 "디지털 인프라를 성장시키기 위해 사우스캐롤라이나 지도자들과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전자 투자 전문 자회사 삼성넥스트가 디핀(DePIN·탈중앙화 물리적 인프라 네트워크) 스타트업 마와리네트워크(Mawari Network)에 투자했다. 인공지능(AI) 열풍으로 블록체인 업계에서 현실 기반 컴퓨팅 파워를 분산하는 디핀 기술이 주목받는다. 마와리네트워크는 27일 1080만 달러(약 140억원) 규모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는 안필드·보더리스캐피탈·1kx 등이 공동으로 주선했다. 주요 투자자로는 삼성넥스트와 △애니모카브랜즈 △어코드벤처스 △블록체인지벤처스 △아이엔젤스 등이 있다. 2017년 설립한 마와리네트워크는 디핀 플랫폼으로, 글로벌 분산형 GPU를 통해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를 운영한다. 이와 함께 XR(확장현실) 기반 3D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티모바일, KDDI, 넷플릭스, BMW 등 글로벌 기업을 비롯해 40여개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루이스 오스카 라미레즈 마와리네트워크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우리의 비전은 모든 사람에게 몰입형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라며 "이번 투자를 통해 3D 인터넷을 구축할 수 있는 플랫폼을 열어줄 것"이라고 전했다. 디핀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무선 네트워크, 스토리지, 위치, 교통 및 에너지와 같은 영역에서 인프라를 구축하는 탈중앙화된 물리적 인프라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미국 가상자산 데이터 분석기업 메사리는 '2024년 가상자산 투자 테마' 보고서에서 디핀을 탈중앙화 소셜 미디어(DeSoc), 탈중앙화 과학(DeSci) 등과 함께 올해 성장이 기대되는 카테고리로 꼽았다. 메사리는 전 세계 디핀 시장이 현재 2조2000억 달러에서 2028년 3조5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IBM이 양자 데이터 센터를 확장 증설했다. 이번 확장으로 새로운 양자 데이터 센터는 단일 센터로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유틸리티급 양자 컴퓨터를 운영하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IBM은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주 포킵시에 위치한 'IBM 퀀텀 데이터 센터(IBM Quantum Data Center)' 확장 작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추가로 설치된 시스템은 IBM이 전세계에 제공하고 있는 12대 이상의 양자컴퓨터 라인업에 포함된다. IBM이 양자 데이터 센터에 추가한 시스템은 지난해 말 출시된 퀀텀 헤론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구축됐다. 퀀텀 헤론 프로세서는 설계에만 4년이 걸렸으며 IBM의 양자 프로세서 중 가장 높은 성능과 가장 낮은 오류율을 제공한다. IBM은 유틸리티 스케일(Utility Scale, 양자 유용성 단계) 성능을 제공하는 첫 번째 제품인 퀀텀 헤론 프로세서를 앞세워 글로벌 양자컴퓨터 시장 공략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유틸리티 스케일은 IBM이 명명한 것으로 양자 컴퓨터가 기존 시스템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새로운 규모의 문제를 탐구하기 위한 과학적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성능과 효용을 제공하는 시점을 뜻한다. IBM은 이번 확장을 통해 퀀텀 헤론 프로세서 기반 양자컴퓨터 2대를 설치했다. 새로운 양자컴퓨터는 기존 제품에 비해 성능은 최대 16배, 속도는 최대 25배 향상됐다. IBM은 퀀텀 헤론 프로세서 등을 앞세워 양자 데이터 센터 시스템을 전세계로 확장한다. 이를 위해 포킵 양자 데이터 센터의 업그레이드 작업을 추가로 진행한다. 또한 독일 에닝겐에 두 번째 양자 데이터 센터 오픈도 준비하고 있다. IBM 관계자는 "IBM은 2016년 최초의 양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한 이래 전세계에서 가장 크고 뛰어난 양자 시스템을 구축했다"며 "앞으로도 포킵시와 전 세계에 양자 컴퓨터를 확장하면서 250개 이상 조직과 협력, 양자 컴퓨팅 발전 속도를 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국내 인공지능(AI) 반도체 스타트업 '딥엑스'가 1세대 반도체 라인업의 마침표를 찍을 신제품을 조만간 선보인다. 거대언어모델(LLM)을 지원하는 칩까지 제품 포트폴리오를 지속 확장, 글로벌 기업으로 발돋움한다는 목표다. 26일 반도체 전문지 'EE타임스'에 따르면 김녹원 딥엑스 대표는 지난달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말 DX-V3 샘플을 출시할 예정"이라며 "내년 말에는 LLM을 실행하도록 최적화된 신경망처리장치(NPU) 칩을, 3~5년 뒤 LLM 기반 시스템온칩(SoC)까지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DX-V3는 카메라 3~4대 실시간 연산 처리가 가능한 성능을 자랑한다. 3D 센서 처리가 필요한 자율 주행, 로봇 비전 등에 특화돼 있다. 앞서 공개한 솔루션 중앙처리장치(CPU)가 RISC-V(리스크파이브) 코어를 기반으로한 것과 달리 영국 Arm의 코어텍스(Cotrex)-A52 코어를 채택했다. 초당 15조회(15TOPS)의 연산을 수행한다. 김 대표는 "고객들이 Arm CPU를 원했던 이유 중 하나는 Arm 에코시스템이 더 나은 보안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많은 고객들이 보안 카메라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고, 또 다른 고객들은 로봇 운영 체제를 실행하고 싶어하는데 현재 Arm에서는 지원되지만 RISC-V는 아직 적용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딥엑스는 △DX-V3와 함께 △DX-V1(AI SoC 솔루션) △DX-M1(AI 가속기) △DX-H1(AI 서버용 가속기) 등 4개 제품을 1세대 반도체 라인업으로 내세우고 있다. 1세대 라인업 중 가장 먼저 지난달 DX-M1 양산에 돌입했다. 5나노미터(nm) 공정으로 생산되는 이 제품은 초당 25조회(25TOPS) 수준 연산이 가능하다. 비전 AI와 산업용 AI PC 시장을 겨냥한 제품이다. 양산을 위해 삼성전자 파운드리 디자인하우스인 가온칩스와 계약을 체결했다. 2018년 설립된 딥엑스는 AI 칩 전문 팹리스(반도체 설계) 기업이다.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주요 기업들과 손잡고 다양한 사업 협력을 추진하며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올해 초 현대기아차, 포스코DX, 자화전자와 협력을 맺어 로봇·스마트카메라·공장 자동화 솔루션에 적용할 AI 반도체 상용화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특히 LG유플러스와는 차세대 온디바이스 AI 칩 개발에 의기투합한다. 딥엑스가 개발하는 온디바이스 AI 반도체에 LG유플러스의 생성형 AI 기술 익시젠(ixi-GEN)을 접목,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김 대표는 "LG는 모바일 기기, 자동차, 백색 가전제품에 딥엑스 칩을 활용해 LLM을 이식하는 데 관심이 있다"며 "LLM 기술을 적용해 모델의 특성을 알아내고 기기 내 애플리케이션을 최적화할 수 있다"고 전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초의 수소연료전지 기반 데이터센터가 건설된다. 인공지능(AI)의 막대한 전력, 물 소비가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수소연료전지 기반 데이터센터가 주목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데이터센터 전문기업 ECL은 25일(현지시간) 미국 휴스턴 동쪽에 242만8113제곱미터(㎡) 부지에 세계 최초 1기가와트(GW) AI 데이터센터 '테라사이트-TX1(TerraSite-TX1)'을 건설한다고 발표했다. 해당 데이터센터에 첫 고객사는 클라우드 전문기업 람다(Lambda)다. 테라사이트-TX1은 1단계 계획에 따라 내년 여름까지 50메가와트(MW) 규모 시설을 완성한다. 1단계 시설 완성에는 4억5000만 달러(약 6000억원)이 투입된다. ECL의 데이터센터인 'ECL-MV1'는 세계 최초의 오픈그리드 수소연료전지 기반 모듈형 데이터센터다. ECL은 해당 제품이 배출가스가 없고 소음이 적으며 물이 부족한 지역에는 물도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이 과정에서 순수한 물이 생성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ECL은 자사의 데이터센터 시스템은 고객의 요구에 따라 1MW씩 추가가 가능하고 탄소배출도 없기 때문에 상당한 수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향후 테라사이트-TX1의 규모를 당초 계획보다 2배 큰 2GW로 확장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수소연료전지 기반 데이터센터가 향후 AI 확대로 일어날 전력, 물 부족 문제 대응하는 시스템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 ECL 관계자는 "많은 기업들이 수십 년간 독립형 수소연료전지 데이터센터를 제공하겠다고 말했지만 현재 업계에 요구에 맞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업은 ECL뿐"이라며 "우리의 혁신은 전례없는 것으로 수십 년간 전체 데이터센터 업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올들어 2분기 연속 하락세로 저조한 실적을 이어오던 테슬라가 3분기 반등세로 돌아설 전망이다. 중국 내 파격적인 무이자 할부 혜택을 토대로 미국과 유럽에서의 판매 부진을 만회했다. 26일 바클레이, RBC 캐피탈 마켓 등 월가에 따르면 테슬라는 3분기(7~9월) 글로벌 판매량 46만2000여 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지난해 3분기(43만5059대) 판매량과 비교해 약 3만 대 높은 수치이다. 연간 판매 성장 곡선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치(48만5000대)에는 크게 못 미쳤지만, 지난 2분기 연속 전년 대비 감소를 나타냈다는 점에서 고무적인 성과이다. 구체적인 생산량과 고객 인도량 등 공식 실적은 다음 주 공개된다. 테슬라 올해 글로벌 목표 판매량은 200만 대이다. 현재 추세라면 남은 4분기 58만5000대 이상을 판매해야 한다. 중국에서 유럽과 미국 판매 부진을 상쇄할 수 있을지 여부가 핵심이다. 테슬라는 지난 4월 중국 시장에 ‘5년 무이자 할부 프로그램’을 최초로 도입하는 등 현지 판매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는 점에서 기대해볼만 하다는 평가이다. 테슬라가 중국에서 ‘0% 금리’ 할부를 제공하는 것은 2014년 4월 중국 시장에 진출한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월가 분석가들은 테슬라 판매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월가 대형 은행인 골드만삭스 역시 25일(현지시간) 투자 보고서를 통해 테슬라 콜 옵션 매수를 권고했다. 테슬라 콜 옵션은 골드만삭스의 추천 거래 중 하나다. 테슬라는 현재 전체 S&P 500 옵션 거래량의 17%를 차지하고 있는데, 14%를 기록 중인 엔비디아보다 높은 수치다. 마크 델라니 골드만삭스 자동차 애널리스트는 “테슬라는 중국 시장의 강세에 힘입어 3분기 인도량이 전분기 대비 4%,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해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가 테슬라 콜 옵션 매수를 권고했다. 오는 10월 로보택시 공개 등 빅 이벤트를 앞두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골드만삭스는 25일(현지시간) 투자 보고서를 통해 테슬라 콜 옵션 매수를 권고했다. 테슬라 콜 옵션은 골드만삭스의 추천 거래 중 하나다. 테슬라는 현재 전체 S&P 500 옵션 거래량의 17%를 차지하고 있는데, 14%를 기록 중인 엔비디아보다 높은 수치다. 골드만삭스는 내달 10일 공개 예정인 로보택시에 주목했다. 테슬라는 이날 완전 자율주행 기술과 사업 전망도 함께 발표할 예정이다. 2일 공개되는 테슬라의 3분기 인도량도 골드만삭스의 이 같은 분석에 힘을 실었다.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월가는 테슬라가 3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한 46만대의 차량을 인도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마크 델라니 골드만삭스 자동차 애널리스트는 “테슬라는 중국 시장의 강세에 힘입어 3분기 인도량이 전분기 대비 4%,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해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존 마샬 골드만삭스 파생상품 리서치 책임자는 “소비자 비즈니스의 생산량과 수직 통합, 좁은 센서 제품군을 고려할 때 테슬라는 다른 자율주행차 경쟁업체에 비해 잠재적으로 비용 우위를 점할 것”이라고 밝혔다. 테슬라의 로보택시 공개와 3분기 인도량 호실적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해 주가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3일에는 전 거래일 대비 4.93% 오른 250달러에 마감했는데 이는 종가 기준 지난 7월22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연중 상승률도 플러스로 돌아섰다. 테슬라 주가는 올해 초 248.48달러 수준이었지만 4월 중순에는 44% 급락한 138.80달러를 기록했다. 이후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260달러 이상까지 올랐지만, 실적이 기대치에 못 미치자 주가가 급락한 바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마이크론과 인텔,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등 반도체 회사들이 현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과감한 투자 행보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첨단 반도체 시장에서 미국의 위상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반도체 매출도 2029년 100조원을 넘길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코트라 실리콘밸리무역관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뉴욕과 아이다호주에 반도체 제조 시설을 건설하고 약 2만 개 일자리를 창출한다. 이번 투자로 첨단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미국의 비중은 2% 미만에서 2035년 약 10%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이크론은 투자 대가로 지난 10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행정부로부터 61억6500만 달러(약 8조9400억원)의 보조금을 받았다. 버지니아주 마나사스에 위치한 D램 생산시설의 확장을 추진하며 최대 2억7500만 달러(약 4000억원)도 추가로 수령할 예정이다. 마이크론은 미국 내 유일한 고대역폭메모리(HBM) 제조사로 AI 반도체 시장에 진출했다. 엔비디아의 AI GPU(H200)에 HBM3E를 공급하면서 사업 보폭을 넓히고 있다. 내년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들어선 이후에도 HBM 투자에 따른 추가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 혼합현실(MR) 디바이스 비전프로(Vision Pro)의 애플리케이션(앱) 생태계 구축이 속도가 나질 않고 있다. 애플은 보급형 버전 개발을 연기하는 등 반전을 꾀하고 있지만 좀체 성장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소프트웨어 구독 플랫폼 셋앱(Setapp)에 따르면 개발자 중 3%만이 비전프로용으로 새로운 앱을 개발하고 있다. 50%의 개발자는 비전프로 애플리케이션 지원 여부 자체가 불확실하다고 답변했다. 셋앱 설문조사에 따르면 35%의 개발자는 비전프로용 앱 개발 계획 자체가 없다고 밝혔다. 대신 60%의 개발자들은 인공지능(AI) 기능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전했다. 올해 1월 출시된 애플 비전프로는 높은 관심도와는 다르게 다소 비싼 가격, 미성숙한 생태계 등으로 판매가 미비한 상황이다. 블룸버그 IT전문 기자 마크 거먼에 따르며 비전프로는 출시된 이후 50만대도 판매하지 못했다. 심지어 구매자들조차 애플 비전프로에 대한 흥미를 잃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애플은 상황을 반전시키기 위해 초광각을 지원하는 비전OS 2.2를 출시하기도 했지만 상황을 역전시키지는 못했다. 최근에는 올해 말 비전프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