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증권이 베트남을 ‘매력적인 투자처’로 평가했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한 가운데 대규모 공공 투자 계획도 예정돼 있어서다. 14일 베트남 현지 방송 매체 ‘VTV8’에 따르면, 응우옌 티 바오 쩐 미래에셋증권 베트남법인 거시경제분석·전략 팀장은 베트남을 매력적인 투자처로 평가하며 그 이유를 설명했다. 쩐 팀장은 “베트남은 우선 다른 신흥국과 비교해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했다”며 “베트남은 미국이 기존에 제시한 관세를 20%까지 낮췄는데 이는 인도(25%), 태국(19%), 인도네시아(19%) 등 다른 신흥국과 비교했을 때 낮거나 비슷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다음달 예정된 FTSE지수 정기 변경도 긍정적인 요인”이라며 “베트남은 현재 ‘프런티어’ 시장으로 분류돼 있는데, 신흥국 지수에 편입되면 최대 60억 달러(약 8조3300억원)의 자금이 유입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베트남 정부의 대규모 공공 투자 계획도 긍정적 요소로 꼽았다. 쩐 팀장은 “베트남 정부는 연 8.3~8.5%의 경제 성장률을 달성하기 위해, 올해 안에 826조 동(약 43조원) 규모의 공공 투자에 대해 100% 집
[더구루=홍성환 기자] KB국민은행이 인도네시아 법인의 공식 사명을 변경한다. KB금융그룹 계열사로서의 기업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KB국민은행 인니 법인 KB뱅크는 공식 사명을 'Bank KB Bukopin'에서 'Bank KB indonesia'로 변경한다고 14일 밝혔다. 부코핀(Bukopin)은 KB국민은행이 인니 은행을 인수할 당시 현지 은행의 이름이었다. 로비 몬동 KB뱅크 부행장은 "이번 사명 변경은 단순한 행정적 절차가 아니라 시대 변화에 맞춰 현대적이고 포괄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은행의 노력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이는 KB금융그룹의 글로벌 정체성과 일치하며 인도네시아 국민과 함께 성장하고자 하는 열망을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KB뱅크는 지난해 3월 은행 사명을 'KB부코핀'에서 'KB뱅크'로 변경하고 새로운 기업 이미지(CI)를 선보인 바 있다. <본보 2023년 12월 6일자 참고 : [단독] KB금융 '양종희 號' 첫 글로벌 전략…인수 3년 만에 '부코핀' 간판 뗀다> KB국민은행은 2018년 현지 부코핀 은행 지분 22%를 인수하며 2대 주주에 올랐고, 2020년 두 차례 유상증자를 통해 지분율을 67%까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최대 연기금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CalPERS·캘퍼스)이 코인베이스·팔란티어·엔비디아·로빈후드 등을 집중 매수했다. 암호화폐와 AI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14일 미국 투자 전문지 배런스에 따르면 캘퍼스는 지난 2분기(4~6월)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주식 약 9만9000주를 추가로 매수했다. 보유 주식수는 약 33만3000주로 늘었다. 캘퍼스는 AI 기반 데이터 분석 업체 팔란티어 주식 약 31만주를 매수하며, 보유 주식수가 약 359만4000주로 증가했다. 또 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 주식 약 623만5000주를 샀다. 보유 주식수는 약 6472만9000주다. 캘퍼스는 온라인 주식 거래 플랫폼 로빈후드 주식 약 18만7000주를 매입하며, 보유 주식을 약 126만1000주로 늘렸다. 캘퍼스는 미국 최대 연기금으로 운용자산 규모가 5600억 달러(약 770조원)에 이른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두 아들이 투자한 것으로 유명한 비트코인 채굴기업 '아메리칸 비트코인(American Bitcoin)'이 약 3000억원 규모로 비트코인을 신규 매수했다. 14일 블록체인 전문매체 더마이너매그(The Miner Mag)에 따르면 캐나다계 비트코인 채굴업체 헛8(Hut 8)은 2분기 재무보고서에서 "자회사 아메리칸 비트코인이 7월 1일~8월 6일 비트코인 1726개를 매수했다"고 공개했다. 평균 매입가는 11만9120달러, 총 투자액은 2억560만 달러(약 2800억원) 규모다. 이번달 6일 기준 아메리칸 비트코인의 비트코인 보유량은 약 2130개다. 평가액은 약 2억5400만 달러(약 3500억원) 수준이다. 아메리칸 비트코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인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와 차남 에릭 트럼프가 설립한 데이터센터 회사인 아메리칸 데이터센터(American Data Centers)와 헛8이 지난 3월 합작 설립한 회사다. 에릭이 최고전략책임자(CSO)를 맡고 있으며, 비트코인 채굴과 투자를 통한 전략적 비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메리칸 비트코인은 나스닥 상장사인 그리폰 디지털 마이닝(Gryphon Digita
[더구루=정등용 기자] 삼성물산이 베트남 호치민에 10억 달러, 1조 4000억원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짓기로 했다. 삼성물산이 가진 친환경 기술과 글로벌 파트너 네트워크를 지원할 예정이다. 삼성물산은 12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베트남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해 베트남 정보기술(IT) 서비스 회사 CMC 테크놀로지 그룹(이하 CMC)과 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에 따라 삼성물산은 CMC가 추진 중인 하노이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로 했다. 또 삼성물산이 보유한 경험과 기술, 글로벌 파트너 네트워크를 공유해 프로젝트가 최적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총 2단계로 나눠 진행된다. 1단계는 30MW 규모로 2억5000만 달러(약 3500억원)의 자금이 투입된다. 2단계에서는 100MW 이상 규모로 확장되며 총 투자 금액은 10억 달러(약 1조4000억원) 이상이 될 전망이다. CMC는 이번 프로젝트 추진과 관련해 지난달 14일 사이공하이테크파크(SHTP) 관리위원회로부터 사업 승인을 받기도 했다.<본보 2025년 7월 16일 참고 '삼성SDS 대주주' CMC, 베트남 호치민 초대형 데이
[더구루=정등용 기자] 호반그룹이 또 럼 베트남 당 서기장의 방한에 맞춰 한국을 찾은 박닌성 대표단을 만났다. 박닌성 대표단이 호반그룹과의 사업 협력을 요청한 가운데, 베트남 북부지역 내 사업 확대를 노리고 있는 대한전선의 투자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12일 박닌성에 따르면, 브엉 꾸옥 뚜언 박닌성 인민위원회 위원장을 중심으로 한 박닌성 대표단이 지난 11일 한국을 찾아 호반그룹 경영진과 면담을 진행했다. 대표단은 박닌성이 가진 지리적 이점과 풍부한 인적 자원, 투자 인센티브 등을 강조했다. 대표단은 "오는 15일, 투자 유치 컨퍼런스를 열고 산업 개발·도시 인프라·무역·서비스 분야에서 최대 69억 달러(약 10조원) 규모의 투자 유치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뚜언 위원장은 “베트남과 한국 간의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를 바탕으로 호반그룹이 박닌성에서 그룹의 강점을 활용한 투자 기회를 모색·연구하기를 희망한다”며 “특히 박닌성은 호반그룹이 한국에서 추진했던 사업들과 많은 유사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만남에는 호반그룹의 베트남 사업 확대 의지가 반영돼 있다. 앞서 김대헌 호반그룹 기획총괄사장은 지난해 10월 베트남 북부지역에 있는 타이빈성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투자매체 AI인베스트(AInvest)가 한국과 베트남 정상회담에 주목했다. 양국 간 무역 확대로 경제 협력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 가운데, 이에 따른 수혜 기업으로 삼성물산과 대우건설 등을 꼽았다. AI인베스트는 11일(현지시간) ‘한국-베트남 무역 급증(South Korea-Vietnam Trade Surge)’이란 제하의 기사를 통해 “한국과 베트남은 오는 2030년까지 양국 간 무역 규모를 1500억 달러(약 208조원)까지 늘리기로 했다”며 “이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미국 무역 정책 변화 속에서 핵심 광물, 인프라, 원자력 에너지, AI에 대한 투자를 촉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매체는 “지난해 베트남이 한국의 요소 용액 수입의 53.1%를 공급했다”며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두 나라는 올해 '핵심 광물 공급망 기술 협력 센터'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인프라 분야에 대해선 “하노이와 호치민을 연결하는 670억 달러(약 93조원) 규모의 남북 고속철 프로젝트가, 한국 인프라 기술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언급하며 “대우건설과 삼성물산, GS건설, 롯데건설 등이 하노이와 호치민의 스마트 시티 개발을 포함한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화 건설부문의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사업이 일부 공전을 거듭하고 있다. 사업 발주처인 이라크 국가투자위원회(NIC)와 새로 맺은 변경계약이, 이라크 국무회의 승인을 받지 못하면서다. 한나 자심 이라크 국가투자위원회 대변인은 8일(현지시간) 언론 브리핑을 통해 “비스마야 신도시 사업 일부가 아직 공사 재개에 들어가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가투자위원회가 관련 당국과 협력해 재정 문제를 해결 중이며 7만 가구에 대한 건설이 남아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한화 건설부문은 당초 2019년 완공을 목표로 10만 가구 규모의 비스마야 신도시 사업을 추진해왔었다. 하지만 이라크 의 자금 부족으로 제 때 공사비 지급이 안되자 착공 10년 만인 지난 2022년 10월 공사를 중단하고 인력 대부분을 철수시켰다. 이후 지난 2023년 1월 이라크 국가투자위원회가 재개를 요청하면서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미수금 중 일부인 3억 달러(약 4250억원)를 받아 부분 공사를 재개했으며 3만 가구에 대한 공사를 마무리 했다. 남은 7만 가구 공사에 대해선 변경 계약 협상을 진행해왔다. 그 결과 원래 계약보다 약 4000억원 늘어난 총 14조7
[더구루=김명은 기자] 연매출 1조원 돌파를 앞둔 'HK이노엔'이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성분명 테고프라잔)'을 앞세워 유럽 시장 진출 초읽기에 들어갔다. 올 하반기 케이캡 유럽 기술수출 계약이 성사될 경우 HK이노엔의 글로벌 시장 입지가 강화되고 시장가치 또한 긍정적으로 재평가될 수 있다. 15일 증권가와 업계에 따르면 HK이노엔 케이캡의 유럽 기술이전 계약이 이르면 올 하반기, 늦어도 내년 초에는 체결될 것으로 전망된다. HK이노엔은 현재 유럽 30개국을 대상으로 다국적 제약사들과 기술이전 계약을 논의 중이다. 케이캡은 최근 유지요법 미국 임상 3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고, 이를 바탕으로 연내 미국 식품의약국(FDA) 신약허가 신청(NDA)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는 유럽 시장 진출의 촉매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케이캡은 지난달 기준으로 53개국과 기술수출 또는 완제수출 계약을 체결했고, 국내를 포함해 16개국에서 실제로 제품이 출시됐다. HK이노엔은 케이캡의 글로벌 확장과 백신 유통이 실적을 강하게 끌어올리며 올해 연매출 1조원 돌파가 유력한 상황이다. 실제로 올 상반기 매출만으로도 5105억원을 기록하며, 이미 절반을 넘겼다. 특히 케이캡이 국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최대 배달 플랫폼 '도어대시(DoorDash)'가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드론 자회사 '윙(Wing)'과 손잡고 드론 배달 상용화를 시작했다. 지난해 시범 운영을 거쳐 현재 텍사스 3개 도시에서 정식 도입되며 '3분 내 배송' 시대를 열었다. 라스트마일(Last Mile) 물류 경쟁이 지상에서 하늘로 확장되며, 속도·편의성·지속가능성을 모두 겨냥한 차세대 배송 전쟁이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식품 서비스 플랫폼 '고투푸즈(GoTo Foods)'에 따르면 도어대시와 윙은 프리스코·포트워스·플라노 등 텍사스 3개 도시에서 드론 배송을 시작했다. 매장 반경 약 4마일 내에서 도어대시 앱을 통해 드론 배달을 선택하면 고투푸즈 브랜드들의 음식을 수 분 내로 받을 수 있다. 앞서 도어대시와 윙은 호주에서 드론 배송을 시범 운영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미국 패스트푸드 체인점 웬디스 음식을 드론으로 배달한 바 있다. 이번 드론 배달 서비스는 배달업계의 라스트마일 물류 경쟁이 지상에서 하늘로 이동하는 신호탄으로 분석된다. 윙의 드론은 음식의 온도와 신선도를 최적 상태로 유지한 채 배송해 차량 배달보다 배송 시간을 대폭 단축할
[더구루=이연춘 기자] 파라다이스시티가 중국 예능으로 2억 명에 눈도장을 찍었다. 파라다이스시티는 중국 최대 동영상 플랫폼 아이치이(iQIYI)에서 엔터테인먼트 부문 1위를 기록한 예능 프로그램 '웨이, 콰이 츄라이완(빨리 나와서 놀자)'의 배경지로 주목받으며, K-컬처 대표 명소로 떠올랐다. iQIYI(아이치이이)는 중국 대표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2010년 바이두가 설립해 2018년 나스닥에 상장된 OTT 플랫폼이다. 중국판 넷플릭스라고 볼 수 있지만 중국 시장 특성에 맞추어 구독 외에도 광고시청 무료 모델과 단건 결제 등을 병행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가운데 '웨이, 콰이 츄라이완'은 도시를 여행하며 문화·라이프스타일·핫플레이스를 감각적으로 담아내는 신규 예능 콘텐츠다. 파라다이스시티가 배경으로 다뤄진 지난 7일과 9일 방영분은 공개 5일 만에 누적 조회수 2억 회를 돌파했다. 이 기세로 다음 주 중 3억 회 달성이 예상된다. 출연진으로는 중국 내 인지도가 높은 대한민국 아이돌 그룹 ‘미쓰에이(miss A)’ 출신 ‘페이’와 ‘지아’, 그리고 신흥 아이돌 스타 ‘야오천’이 함께해 2030세대의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었다. 중국인 무비자 시행을 앞
[더구루=이연춘 기자] 김남정 동원그룹 회장이 부산 신항에 위치한 동원글로벌터미널부산(이하 DGT)에 방문한 베트남 서열 1위인 또 럼 당서기장과 환담했다. 럼 서기장은 지난해 8월 베트남 공산당 중앙위원회서 만장일치로 추대된 권력 서열 1위의 국가 최고 지도자다. 한국-베트남 양국의 우호증진과 경제협력을 위해 방한한 럼 서기장과 방문단은 완전 자동화 항만인 DGT를 참관하고 김남정 동원그룹 회장과 환담을 나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럼 서기장과 방문단은 대한민국 최초로 구축된 완전 자동화 스마트항만의 원천 기술력과 선진화된 운영 노하우 등을 벤치마킹하기 위해 지난 13일 DGT를 찾았다. 베트남 정부는 컨테이너 항만 산업을 국가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삼고, 베트남의 항만을 동북아시아 물류 허브로 키우기 위해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다. 동원그룹은 베트남과 인연이 깊다. 지난 2015년부터 현지에 계열사 두 곳을 운영하고 있으며, 동원F&B(식품), 동원시스템즈(제관, 연포장재)가 해마다 수출을 늘려가고 있기 때문이다. 동원그룹의 글로벌 계열사인 TTP(Tan Tien Packaging, 딴 띠엔 패키징)와 MVP(Minh Viet Packa
◇엔씨소프트 엔씨소프트의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리니지M'이 생방송 '스탠바이M – 아덴 바캉스'를 진행한다. 스탠바이M은 리니지M의 개발진이 직접 등장해 게임 콘텐츠 관련 이야기를 나누는 이용자 소통 방송이다. 여름을 맞아 아덴 월드로 바캉스를 떠나는 콘셉트로 꾸며질 예정이다. 리니지M 공식 유튜브 채널은 최근 구독자 10만 명을 돌파해 유튜브로부터 실버 버튼을 받았다. 지난 8일에는 실버 버튼 개봉 영상을 업로드하며 이용자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개발진은 해당 영상을 통해 '실버 버튼 Q&A' 진행도 예고했다. 이용자들의 질문을 취합해 스탠바이M에서 답변할 예정이다. 생방송이 진행되는 동안 이용자들은 게임 내 우편을 통해 다양한 선물을 받을 수 있다. 우편 발송 시점 기준 15일 이내 접속 기록이 있는 계정의 60레벨 이상 캐릭터 대상으로 지급된다. 생방송은 18일 저녁 8시 리니지M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 리니지M은 생방송 외에도 이용자들을 위한 다양한 이벤트를 준비했다. 이용자는 20일 정기 점검 전까지 '여름맞이 몸보신 대작전' 이벤트 퀘스트를 수행해 '드래곤의 성수'와 '여름 보양식 상자'를 받을 수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로 대기업들의 글로벌 역량 센터(Global Capability Centers, GCC)가 속속 모여들고 있다. 인도가 콜센터와 같은 백오피스(Back-office) 업무를 넘어 인공지능(AI), 연구개발(R&D), 데이터 분석 등 첨단 기술 개발을 이끄는 혁신 허브로 변모하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코트라 뭄바이무역관의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에는 지난 5년간 400개 이상의 GCC와 1100개 이상의 유닛이 신설됐다. 2025년 기준 인도 내 GCC는 1750개, 유닛은 2975개가 넘게 운영되고 있다. 매출 규모는 2024년 기준으로 646억 달러(약 90조원)이며 190만 명이 넘는 전문인력이 근무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벵갈루루가 875개 이상의 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델리와 수도권 지역이 465개, 푸네에서 360개가 넘는 센터 운영되고 있다. 글로벌 기업의 GCC가 인도로 모여드는 이유는 다국어와 다문화 역량을 갖춘 숙련된 인재를 저렴한 비용으로 대규모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도에 GCC를 설립할 경우 주요 선진국 대비 운영 비용을 40%에서 최대 70%까지 절감할 수 있다. 여기에
[더구루=김예지 기자] 삼성SDS가 인공지능(AI) 기반 공급망 혁신 솔루션 '케이던시아(Caidentia)'를 앞세워 북미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이색 비즈니스 네트워킹을 통해 단순한 제품 홍보를 넘어, 현지 기업간거래(B2B) 고객과의 실질적 소통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13일 삼성SDS 케이던시아 링크드인에 따르면 삼성SDS 미국법인(SDSA)은 오는 28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조달 및 제품 개발 분야의 최신 기술과 전략을 공유하기 위한 비즈니스 행사를 개최한다. 행사는 메이저리그 야구팀인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뉴욕 양키스 경기가 열리는 개런티드 레이트 필드(Guaranteed Rate Field) 내 프라이빗 스위트룸에서 진행된다. 참석자들은 야구 경기를 즐기며 다양한 산업군의 경영진·디렉터들과 교류하게 된다. 이번 행사는 SDSA 세일즈팀 주도로 기획됐다. 행사의 핵심 주제는 '설계부터 소싱까지(Design-to-Source)' 전 과정을 연결하는 케이던시아 솔루션이다. 현지 조달·소싱·NPI/NPD(신제품 도입·개발) 분야 전문가들을 초청해 수천 개의 자재명세서(BOM)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품 설계 단계부터 조달 부서 간 협업을 강화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승차공유 기업 우버(Uber)의 화물운송 사업 부문인 '우버 프레이트(Uber Freight)'의 최고경영자(CEO)가 자율주행 트럭 스타트업 와비(Waabi)에 합류했다. 와비는 업계 베테랑 영입을 토대로 올해 말 자율주행 트럭 상용화에 나설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리오르 론(Lior Ron) 우버 프레이트 CEO가 와비의 최고운영책임자(COO)에 임명됐다. 우버 프레이트 후임 CEO는 테슬라 슈퍼차징 팀을 총괄하다 지난해 8월 우버에 영입된 레베카 티누치(Rebecca Tinucci)가 맡게 됐다. 리오르 론은 우버 프레이트 이사회 의장직은 유지한다. 리오르 론은 과거 이스라엘 군 정보부에서 근무했으며 야후를 거쳐 구글, 모토로라를 거쳐 2016년에는 자율주행 트럭 스타트업 오토(OTTO)를 공동창업했다. 오토는 설립 8개월여만에 우버에 인수되며 현재의 우버 프레이트가 됐다. 리오르 론은 이후 우버 프레이트를 이끌면 자율주행 트럭 기술 연구를 진두지휘해왔다. 리오르 론을 영입한 와비는 2021년 라켈 우르타순(Raquel Urtasun)이 설립한 자율주행 트럭 기술 개발 스타트업이다. 와비는 인공지능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지난달 멕시코 자동차 시장에서 나란히 질주했다. 기아 주력 모델인 K3는 월간 베스트셀링카 '2위', 현대차 그랜드 i10는 '7위'에 올랐다. 현대차·기아는 현지 맞춤형 프로모션을 앞세워 하반기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14일 멕시코 통계청(INEGI)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달 멕시코 시장에서 9302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한 수치다. 7월 말 누적 6만2244대(점유율 7.5%)를 기록, 브랜드 순위 5위를 기록했다. 현대차는 지난달 멕시코에서 4712대를 판매, 7위에 올랐다. 점유율은 3.8%를 기록했으며, 상승폭은 3.7%에 달한다. 누적 기준 2만9952대(점유율 3.6%)로 전년 보다 1.9% 증가했다. ↑ 누적 판매 1위는 닛산이 차지했다. 15만1897대를 판매하며 점유율 18.2%를 기록했다. GM 쉐보레가 10만24166대, 폭스바겐이 7만5514대를 판매, 2·3위를 차지했다. 점유율은 각각 12.3%, 9.1%%로 집계됐다. 이어 △토요타(7만731대·8.5%) △마쯔다(5만9712대·7.2%) △포드(3만116대·3.6%) △MG(2만7534대·3.3%) △스즈키
[더구루=정예린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호주에 오세아니아 지역 첫 통합 기술개발센터 설립을 추진한다. 글로벌 연구개발(R&D)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차량 기술 경쟁력을 높여 현지 시장 공략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호주 시드니에 '호주기술센터' 설립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3~5년에 걸친 중장기 전략의 일부로 진행될 기술센터는 △내구성 △험로·오프로드 △4륜구동 등 연구개발(R&D)역량 강화와 아시아·태평양 지역 직원 교육 등 현지화 전략에 활용될 예정이다. 다만 현대차그룹은 글로벌 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전방위 전략의 일환일뿐 실제 설립 여부는 확정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현지 법인의 아이디어 제안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데이미언 메러디스 기아 호주법인 총괄 매니저는 "호주에서 사업을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요건에 대한 아이디어를 도출한 결과 기술센터를 설립에 대한 아이디어가 나왔다"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브랜드를 진정으로 발전시키려면 기술적인 측면에서 오랜 기간 동안 운영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센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호주기술센터 설립 배경에는 기아 호주법인이 주도한 픽업트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달 인도네시아에서 '톱10'에 이름을 올려 현지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다만 일본 완성차 브랜드와의 격차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인도네시아 자동차산업협회(Gaikindo)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 7월 현지에서 1239대를 판매, 브랜드 순위 10위를 기록했다. 상반기 기준 8위에서 두 계단 하락했다. 점유율도 상반기(3.0%) 대비 1%포인트 감소한 2.0%에 그쳤다. 1위는 토요타가 차지했다. 총 6만552대를 판매하며 점유율 32.4%를 기록했다. 2·3위는 다이하쓰와 스즈키가 차지했다. 각각 1만451대와 6010대를 판매했다. 이어 △혼다(5235대)△미쓰비시(5011대) △BYD(2335대) △이스즈(2190대)△미쓰비시 후소(1871대) △체리차(1593대 등 순으로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현대차는 전반적인 시장 침체 가운데 선방했다는 평가다. 인도네시아 지난달 도매 판매량은 6만552대로 전년 대비 5% 안팎으로 줄었다. 고금리와 경기 둔화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차가 장악하고 있는 가운데 BYD와 체리 등 중국 브랜드들도 빠르게 순위권에 진입, 인도네시아 자동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LACMA)이 '타바레스 스트라찬: 내일의 시작된날' 전시회를 공동으로 개최한다고 12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전시회는 현대차와 LACMA의 오랜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오는 10월 12일 부터 내년 3월 29일 까지 열린다. 이번 전시에서는 아티스트 타바레스 스트라찬의 가장 광범위한 네온 작품 등 20점 이상의 신작을 선보인다. 조각과 회화, 텍스트, 음악 등이 결합한 이번 전시는 흑인 디아스포라와 관련 주류 내러티브에서 간과됐던 역사를 조명한다. 타바레스 스트라찬는 1979년 바하마 나소에서 태어나 현재 뉴욕과 나소를 중심으로 작업하고 있으며, 2003년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을 졸업하고 2006년 예일대학교에서 조각 석사 학위를 받았다. LACMA 다이애나 나위(Diana Nawi) 큐레이터는 "이번 전시회는 타바레스의 다양한 개념적 접근 방식을 경험하고, 오브제 제작 기술과 세계 구축에 대한 그의 관심사를 느낄 수 있는 기회"라고 설명했다. 이번 전시는 지난 2015년부터 현대차와 LACMA가 공동으로 진행해온 'LACMA의 현대 프로젝트(The Hyundai Project)'의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