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대형 플래그십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팰리세이드 최고급형 트림인 캘리그라피가 러시아에 등장했다. 현지 자동차 수입 업체가 병행 수입을 통해 물량을 풀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현대차가 현지 시장을 공식 철수한 상황에서도 판매를 통한 브랜드 유지가 이어지고 있는 양상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팰리세이드 캘리그라피는 현재 모스크바에서 공식 판매가 이뤄지고 있다. 현지 딜러사가 병행수입한 물량을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병행 수입은 수입업자가 직접 상품을 수입·판매하는 것을 말한다. 판매 담당 딜러사명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현지 내 대규모 딜러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아빌론 홀딩(Avilon Holding)이 병행 수입을 추진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빌론 홀딩은 중국 버전 스포티지와 K5, 셀토스 등 기아 자동차 병행 수입을 맡고 있는 곳이다. 팰리세이드 캘리그라피 현지 판매 가격은 780만 루블(한화 약 1억1100만원). 국내 판매가(5070만 원)와 비교해 2배 이상 비싸게 책정됐다. 병행수입 판매 특성상, 한정된 물량을 취급하기 때문이다. 팰리세이드 캘리그라피는 높은 가격에도 현지 운전자들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연말 베트남 시장 판매 '톱3' 자리를 놓고 포드와 미쯔비시와 경쟁을 펼치고 있다. 현지 맞춤형 전략을 토대로 판매량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지만, 누적 판매 기준 이들 경쟁사와의 격차가 5000대 수준까지 벌어진 상태이다. 여기에 6위 마쯔다의 맹추격까지 더해지고 있어 남은 기간동안 판매 확대를 위한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14일 베트남자동차산업협회(VAMA) 등에 따르면 기아 베트남 합작법인 타코기아는 지난달 베트남 시장에서 총 4015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7% 상승한 수치이다. 시장 점유율은 12.5%로 월간 판매 순위는 4위를 기록했다. 같은 달 1위는 토요타(6986대), 2위는 현대차(6518대)가 차지했고, 3위와 5위는 각각 미쯔비시(5385대)와 포드(3967대)가 이름을 올렸다. 올해 누적 판매량 기준으로는 5위를 달리고 있다. 1월부터 9월까지 9개월간 전년 대비 18% 두 자릿수 하락한 2만2948대를 판매했다. 점유율은 11.8%로 집계됐다. 연말 3위 자리를 놓고 3파전을 펼치고 있는 포드(2만8038대), 미쯔비시(2만7933대)와 판매 격차는 각각 5090대와 498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해 일본 토요타를 제치고 어렵게 탈환한 베트남 1위 자리가 다시 흔들리고 있다. 지난 4월 부터 6개월 연속 토요타에 월간 판매량이 뒤처졌다. 아직까진 누적 판매량 기준 소폭 앞서고 있으나 현재 추세가 계속될 경우 연말 토요타에 베트남 자동차 왕좌를 내줄 것으로 보인다. 14일 베트남자동차산업협회(VAMA) 등에 따르면 현대차 베트남 합작사 현대탄콩은 지난달 베트남 시장에서 6518대를 판매했다. 월간 판매 순위는 2위다. 현지 판매 라인업 중에선 액센트가 같은 달 1290대를 기록하며 브랜드베스트셀링카 역할을 했다. 액센트와 더불어 크레타(1068대)와 싼타페(758대)가 선전했다. 현대차는 토요타(6986대)에 468대 밀려 1위를 내줬다. 토요타 1위는 지난 4월 부터 6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1분기를 제외한 나머지 모두 토요타에 판매량이 뒤처졌다. 현대차의 올해 누적 판매량은 4만907대이며, 토요타는 4만503대로 양사간 격차는 404대다. 문제는 양사 판매 격차가 빠르게 좁혀지고 있다는 것. 현재 추세가 이어질 경우 당장 4분기 시작인 10월 부터 누적 판매 순위가 역전될 가능성이 높다. 4분기 남은 기간 연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가 최근 공개한 로보택시 '사이버캡'에 대한 '3無'가 주목을 끌고 있다. 다만 전체적 시장 반응이 싸늘하다. 핸들과 페달 뿐만 아니라, 충전포트까지 제거하면서 사이버캡 대중화 성공 여부에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0일(현지시간) 로스앤젤레스 버뱅크에 위치한 워너브라더스 영화촬영 스튜디오에서 로보택시 '사이버캡' 시제품을 공개했다. 머스크 CEO는 이 자리에서 "사이버캡은 유도 충전기를 통해 무선으로 충전되며, 사이버캡 내부에는 충전 플러그가 없다"고 설명했다. 사이버캡은 양쪽에 나비 날개 형태로 위로 열리는 '버터플라이 도어'가 장착되어 있으며, 기존 차량의 운전대와 페달이 없다. 충전 포트도 제외되면서 이른바 '3무(無)'인 셈이다. 이와 관련해 투자은행 제프리스는 “이빨 빠진 택시(Toothless taxi)”라며 혹평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러한 설계로 인해 초기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한다. 특히, 미국 대도시에서 이미 전기차 충전기를 사용하는 라이드셰어(우버, 리프트 등) 운전자들은 테슬라 사이버캡만을 위해 새롭게 유도 충전기를 도입해야 하기 때문이다. 충전 속도도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연간 인도 광고 캠페인 비용으로 1000억 원이 넘는 비용을 지출했다. 현지 법인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대규모 광고 예산을 할당, 인도 전용 '밈(Meme)'을 만들어 정서적인 교감을 높이는 데 주력하는 등 IPO 흥행 포석을 까는 데 집중한 결과이다. 14일 현대차 인도판매법인(HMIL)이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에 제출한 IPO 관련 예비서류(DRHP)에 따르면 HMIL은 2023 회계연도(FY23) 기간 판매 촉진을 위한 광고 캠페인 비용으로 67억7000만 루피(한화 약 1088억 원)을 지출했다. 신제품 출시 등으로 광고 캠페인에 힘을 줬던 지난 FY22(49억1000만 루피)때보다 37.6% 두 자릿수 증가한 수치이다. HMIL의 이 같은 광고 캠페인 비용 증가는 다른 완성차 업체들과 비교할 때 더욱 실감난다. 적게는 1억에서 많게는 35억 루피까지 차이를 나타냈다. 일본 스즈키의 경우 FY22 기간 광고 캠페인 비용으로 66억8000만 루피를 사용했고, 로컬 브랜드인 타타모터스는 FY22와 FY23 기간 각각 32억1400만 루피와 43억9700만 루피 지출했다. IPO를 앞두고 광고 예산을 대폭 늘린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산하 미국 로봇전문업체 '보스턴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 로봇개 '스폿'(Spot)이 현대차 브라질 공장 안전요원으로 투입됐다. 현대차는 이번 시범 운영 결과를 브라질 공장을 비롯한 북미 등 다른 글로벌 공장 내 스폿 배치 여부에 적극 참고할 계획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최근 브라질 상파울루주 피라시까바 공장에 스폿을 배치했다. 이곳 공장 메인 생산 모델인 크레타와 HB20 라인 모니터링을 통한 안전성 향상과 산업재해 예방 차원에서다. 특히 현대차는 이번 스폿 투입이 현지 공장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스폿은 보스턴다이내믹스가 개발한 사족보행 로봇이다. 약 32kg의 본체에 카메라와 조명 등을 달고 있다. 배터리 수명은 90분, 시속 5km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고 계단을 오를 수 있다.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단순히 지시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인공지능(AI)을 사용해 스스로 현장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특히 스폿은 360도 카메라와 사물인터넷(IoT) 센서, 자율주행 프로그램 등을 탑재해 주변 장애물을 피해 최대 중량 14kg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 EV6가 호주 전기차(EV) 시장에서 '베스트셀링 톱10’에 올랐다. 현지 전기차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한편 EV6의 첨단 기능이 현지 젊은 운전자들의 인기를 끌면서다. 13일 호주연방자동차산업회의소(FCAI)와 호주전기차협회(EVC) 등에 따르면 기아 EV6는 올들어 9월까지 호주 전기차 시장에서 총 1470대 판매, 베스트셀링 전기차 '톱10'에 올랐다. 1위와 2위는 모두 테슬라가 차지했다. 모델 Y가 1만6697대, 모델 3는 1만4053대가 판매되며 경쟁 브랜드를 압도했다. 이어 △BYD 씰(5308대) △BYD 아토 3(4926대) △MG4(3772대) 등 '톱5'에 이름을 오렸다. BMW iX(1948대·6위) △BYD 돌핀(1740대·7위) △볼보 EX30(1697대·8위) △BMW i4(1592대·9위) 순으로 이어졌다. 니로(573대)와 EV9(453대)은 각각 12위와 14위를 기록했다. 기아는 호주에서 전기차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올해 호주 전기차 누적 판매량은 총 7만94대로 기록됐다. 이는 전년 동기 (6만5743대) 대비 6.6% 증가한 수치이다. 기아는 EV6를 앞세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정부가 도입한 자동차 교체 촉진 정책이 소비와 투자 활성화를 끌어내고 있다. 현지 정부는 해당 정책이 폐차 회수량까지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등 여러 긍정적인 결과를 낳고 있다는 점에서 정책 확대를 위한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중국 자동차 교체 정보 플랫폼 등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기준 중국 내 이구환신 보조금을 신청한 건 수는 113만 건에 달했으며 등록된 사용자 수는 168만 명을 초과했다. 올해 초 중국 상무부(商务部)와 재정부(财政部)가 '자동차 이구환신 보조금 실시 세칙'(汽车以旧换新补贴实施细则)을 토대로 신차 구매 시 직접 보조금을 제공하기로 결정한 데 따른 반응이다. 이구환신 보조금 실시 세칙은 중국 내 폐차 회수량의 현저한 증가도 이끌어냈다. 올해 들어 8월까지 중국 폐차 회수량은 전년 동기 대비 42.4% 증가했다. 특히 5월부터 8월까지 4개월간 증가율은 각각 55.6%, 72.9%, 93.7%, 73.8%를 기록했다. 상무부는 중국 내 80% 이상의 소비자가 이구환신 제도를 인지하고 있으며 70% 이상이 참여 의사를 밝힌 것으로 파악했다. 이에 따라 이구환신 정책의 시행을 더욱
[더구루=윤진웅 기자]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대만 제조업체 폭스콘의 미국 전기차 생산 시기가 지연되고 있다. 스마트폰 수요 하락에 대응하기 위해 전기차 위탁생산에 뛰어들었지만,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감소 현상)과 전기차 부품 증가로 미래 먹거리로써의 가치가 하락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폭스콘이 로즈타운 공장을 완전히 가동하는 데까지는 적어도 5년이 걸릴 전망이다. 이는 준 세키(Jun Seki) 폭스콘 EV 전략 총괄이 지난 8일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를 통해 밝힌 내용이다. 준 세키 총괄은 "로즈타운 공장에서 전기차 생산을 시작하려면 앞으로 수년은 더 걸릴 것"이라며 "전기차 캐즘이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섣부른 움직임은 오히려 위험할 수 있어 신중하게 시기를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2025년까지 글로벌 전기차 시장 5% 점유율을 달성한다는 목표에는 변함이 없으며 미국뿐 아니라 일본과 동남아시아로 사업을 확장하겠다는 계획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게 준 세키 총괄의 설명이다. 로즈타운 공장은 폭스콘이 지난 2022년 로즈타운모터스로부터 인수한 곳이다. 당시 폭스콘은 이곳을 전기차 위탁생산 근거지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을
[더구루=김은비 기자] 독일 완성차 양대 브랜드인 BMW와 메르세데스-벤츠가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엇갈린 행보를 보이고 있다. BMW는 유럽을 중심으로 전기차 판매가 급증하며 높은 성과를 달성한 반면 메르세데스-벤츠는 중국 시장에서 가격 경쟁으로 인한 부진한 실적이 글로벌 전체 판매에도 영향을 끼치며 아쉬운 성적표를 받아들였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BMW그룹(미니 포함)은 올해 3분기 전 세계 전기차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한 10만3400대를 판매했다. 이는 역대 세 번째로 높은 실적이다. BMW그룹의 올해 9월까지 누적 판매량은 29만4000대다. 이는 전년 대비 19.1% 증가한 수치다. BMW그룹의 이같은 성과는 전기차 iX1과 i4 모델의 인기를 바탕으로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등 유럽 시장에서 높은 판매 수요를 보인 덕분으로 분석된다. 앞서 BMW그룹은 지난 7월 유럽에서 1만4869대의 전기차를 판매하며 유럽에서 최초로 테슬라보다 많은 판매량을 달성하기도 했다. 테슬라는 같은 기간 유럽에서 1만4561대를 판매했다. 요헨 골러 BMW그룹 부회장은 “우리의 순수 전기차가 전 세계 고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아프리카 거점인 튀니지에서 동반 질주를 이어가고 있다. 양사는 현지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며 '선의의 경쟁'을 펼치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올해 9월까지 튀니지 자동차 시장에서 나란히 판매 1·2위를 차지했다. 각각 4792대와 4293대를 판매했다. 3위는 푸조(2935대)가 차지했다. 2위인 기아와의 판매 대수 차이는 1358대다. 4·5위는 각각 이스즈(2591대)와 스즈키(2414대)가 차지했다. 현대차·기아는 튀니지에서 1위를 놓고 경쟁을 벌이고 있다. 2020년 기아는 4864대, 2021년 7019대를 판매하며 연속으로 자동차 판매 1위를 기록했다. 2021년 6982대를 판매하며 2위에 머무른 현대차는 2022년 7420대를 판매하며 다시 1위로 올라섰다. 현대차·기아의 적극적인 판매 공세 덕에 양사의 합산 판매 점유율은 매년 꾸준히 늘어가는 모양새다. 2012년 합산 8%의 점유율을 기록한 이후 매년 2~3%씩 점유율을 확대해 2022년에는 합계 25%를 달성했다. 특히 현대차 현지 공식 딜러사인 알파현대자동차는 지난달 우수한 판매 실적을 인정, ‘베스트 세일즈 진전(B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제네럴모터스(GM) 현지 시장 판매량이 감소하는 가운데 한국지엠이 하락 폭을 낮추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국내 생산 물량의 원활한 공급을 토대로 트랙스와 트레일블레이저의 현지 인기를 뒷받침하고 있다. 11일 GM 전문소식지 'GM 오소리티(GM Authority)'에 따르면 쉐보레는 3분기(7~9월) 미국 시장에서 총 42만2871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45만1917대) 대비 6% 감소한 수치이다. 올해 누적 판매량(1~9월)은 전년(130만4104대) 대비 3.02% 하락한 126만4745대를 기록했다. 현지 판매 라인업을 이루는 18개 모델 중 12개 모델의 판매량이 하락한 데 따른 결과이다. 성장을 일군 모델은 △블레이저EV △콜로라도 △익스프레스 △실버라도EV △트랙스 5개가 전부였지만, 이 중에서 특히 트랙스가 눈길을 끌었다. 한국지엠이 국내에서 생산해 현지에 공급하는 모델이기 때문이다. 트랙스는 해당 분기 전년(3만7869대) 대비 56.59% 두 자릿수 확대된 5만9299대를 판매했다. 올해 들어 누적 판매량은 전년(6만5255대) 대비 129.50% 수직성장한 14만9762대로 집계됐다. 한국지엠이 GM의 미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마이크론과 인텔,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등 반도체 회사들이 현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과감한 투자 행보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첨단 반도체 시장에서 미국의 위상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반도체 매출도 2029년 100조원을 넘길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코트라 실리콘밸리무역관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뉴욕과 아이다호주에 반도체 제조 시설을 건설하고 약 2만 개 일자리를 창출한다. 이번 투자로 첨단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미국의 비중은 2% 미만에서 2035년 약 10%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이크론은 투자 대가로 지난 10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행정부로부터 61억6500만 달러(약 8조9400억원)의 보조금을 받았다. 버지니아주 마나사스에 위치한 D램 생산시설의 확장을 추진하며 최대 2억7500만 달러(약 4000억원)도 추가로 수령할 예정이다. 마이크론은 미국 내 유일한 고대역폭메모리(HBM) 제조사로 AI 반도체 시장에 진출했다. 엔비디아의 AI GPU(H200)에 HBM3E를 공급하면서 사업 보폭을 넓히고 있다. 내년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들어선 이후에도 HBM 투자에 따른 추가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 혼합현실(MR) 디바이스 비전프로(Vision Pro)의 애플리케이션(앱) 생태계 구축이 속도가 나질 않고 있다. 애플은 보급형 버전 개발을 연기하는 등 반전을 꾀하고 있지만 좀체 성장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소프트웨어 구독 플랫폼 셋앱(Setapp)에 따르면 개발자 중 3%만이 비전프로용으로 새로운 앱을 개발하고 있다. 50%의 개발자는 비전프로 애플리케이션 지원 여부 자체가 불확실하다고 답변했다. 셋앱 설문조사에 따르면 35%의 개발자는 비전프로용 앱 개발 계획 자체가 없다고 밝혔다. 대신 60%의 개발자들은 인공지능(AI) 기능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전했다. 올해 1월 출시된 애플 비전프로는 높은 관심도와는 다르게 다소 비싼 가격, 미성숙한 생태계 등으로 판매가 미비한 상황이다. 블룸버그 IT전문 기자 마크 거먼에 따르며 비전프로는 출시된 이후 50만대도 판매하지 못했다. 심지어 구매자들조차 애플 비전프로에 대한 흥미를 잃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애플은 상황을 반전시키기 위해 초광각을 지원하는 비전OS 2.2를 출시하기도 했지만 상황을 역전시키지는 못했다. 최근에는 올해 말 비전프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