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베트남 정부가 최대 5개 가상자산 거래소를 승인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를 등에 업은 밀리터리뱅크(MB뱅크)가 유력 후보로 꼽힌다. MB뱅크는 1994년 설립된 베트남 국방부 소속 금융기관으로, 3000만명 가까운 고객을 보유하고 있다. 24일 VN이코노미 등 베트남 매체에 따르면 판득쭝 베트남 블록체인·가상자산 협회(VBA) 회장은 최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5개 사업자가 가상자산 거래소 시범 운영 허가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해외 거래소 운영사와 협력해 유동성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유력 후보로 MB뱅크와 베트남 최대 증권사인 사이공 증권(SSI), 테크콤증권(TCBS) 등을 거론했다. MB뱅크는 지난 12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베트남 비즈니스 포럼'에서 두나무와 기술 제휴 양해각서를 맺은 바 있다. 두나무는 MB뱅크의 핵심 전략 파트너로서 베트남 내 가상자산 거래소 설립, 가상자산 관련 법·제도, 투자자 보호 장치 구축 등을 지원한다. 또 업비트의 혁신 기술을 전수하는 한편 인프라, 보안·규제 대응 경험, 인재 양성 등 각종 운영 경험도 제공할 예정이
[더구루=정등용 기자] 중국 A주(중국 기업이 중국 본토에서 위안화로 발행한 보통주) 시장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유동성 개선과 정부 정책 지원이 상승 동력을 제공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CSF(중국전문가포럼)에 따르면, 중국 A주 3대 지수는 지난 18일 동반 상승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가 3728.03p로 전일 대비 0.85% 상승 마감했다. 장중 3759.1p까지 올랐는데 이는 지난 2015년 이후 10년 만의 최고치다. 선전종합지수(1.73%)와 촹예반 지수(2.84%)도 동반 상승해 시장 전반이 강세를 보였다. 이날 중국 A주 전체 시가총액은 사상 최초로 100조 위안(약 2경원)을 돌파했다. 연초 대비 약 14조3300억 위안(약 2800조원) 증가했다. A주 전체 시장에서 4000여 개 종목이 상승했고 100여 개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증권업계는 현재 시장 상황을 강세장 초기 단계로 보고 있다. 유동성 개선과 정부 정책 지원이 상승 동력을 제공한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 지난 15일 기준 중국 A주 시장 신용거래 잔고는 2조600억 위안(약 400조원)으로 지난 2015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 활발한 자금 유입을 보였다. 중국 시장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 계열사 글로벌X 유럽이 공동 대표 체제로 전환했다. 부문별 전문성을 강화해 회사 성장에 속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글로벌X 유럽은 공동 대표 체제를 도입했다고 23일 밝혔다. 글로벌X 유럽은 "투자자 수요를 충족하고 역내 선도적 입지를 강화, 플랫폼의 성장과 규모를 가속화하기 위해 새로운 경영 체제를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X 유럽은 우선 조지 테일러 최고운영책임자(COO)를 공동 대표로 선임했다. 회사 운영과 상품 부문을 담당한다. 테일러 신임 공동 대표는 금융업계 18년 이상 경력을 갖춘 베테랑으로, 글로벌X 유럽 설립 이후 회사 성장을 가속화하고 제품 혁신을 주도하는 등 탄탄한 운영 인프라를 구축하는 역할을 했다. 글로벌X 유럽은 영업·마케팅·홍보·투자 전략 등을 담당하는 사업 개발 책임자 겸 공동 대표직을 새로 신설했다. 추후 선임할 예정으로, 테일러 공동 대표가 당분간 겸직한다. 테일러 공동 대표는 "새로운 경영 체제는 그동안 쌓아온 빠른 성장을 기반으로 플랫폼을 확장하고 투자자 수요를 지속적으로 충족시킬 기회를 열어줄 것"이라며 "고객을 최우선으로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글로벌X 유럽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화생명이 베트남에서 공격적인 오프라인 지점 확장에 나서고 있다. 대면 접점을 확대해 고객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한화생명 베트남은 다낭시에 신규 대리점을 개소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로써 다낭 내 대리점은 5개로 늘었다. 한화생명 베트남은 "베트남 경제·관광 중심지인 다낭에 오프라인 지점을 계속 설립해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고객에게 편리하고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실용적인 보험 상품을 선보이는 데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화생명 베트남은 꾸준히 오프라인 지점을 개설하고 있다. 올해 들어서만 17개 지점을 새로 열었다. 현재 130여개 지점을 운영 중이다. <본보 2025년 7월 23일자 참고 : 한화생명, 베트남 신규 사무소 개설> 한화생명은 지난 2009년 4월 국내 생명보험사 최초로 베트남 시장에 진출했다. 시장 점유율은 3% 내외로 업계 10위권 수준이다. 지난해 한화생명 베트남의 보험료 수입은 3조6400억 동(약 1900억원)을 기록했고, 총자산은 20조6000억 동(약 1조9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2% 증가했다. 세전이익은 7100억 동(약 380억원)으로 6년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 최대 IT그룹 CMC가 AI 자회사를 설립했다. 삼성물산이 참여할 예정인 CMC 데이터센터 사업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CMC는 21일(현지시간) 자회사인 'CMC OpenAI Company'(C-OpenAI)의 공식 출범식을 열었다. C-OpenAI는 CMC가 지난해 발표한 ‘AI-X 전략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설립됐다. 이 이니셔티브는 "베트남의 정체성을 담은 AI 기술 개발에서 CMC가 선구적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C-OpenAI는 △컴퓨터 비전 △자연어 처리(NLP) △대규모 언어 모델(LLM) △음성 처리 △데이터 레이크 하우스 등 CMC가 자체 개발한 25개 이상의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운영된다. 최고의 신뢰성과 데이터 보안을 바탕으로 베트남 국민에게 베트남 AI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와 함께 C-OpenAI는 오는 2028년까지 매출 10억 달러(약 1조4000억원), 연 20% 이상 성장, 직원 수 1만 명 이상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바탕으로 오는 2030년까지 베트남 디지털 기술 기업 5위권에 진입한다는 각오다. C-OpenAI 설립으로 CMC가 하노이에서
[더구루=정등용 기자] 대우건설이 중국의 대형 건설중장비 제조사 줌라이언(Zoomlion)과 전략적 협력에 나섰다. 글로벌 건설 시장에서 협력 관계를 강화하는 한편 새로운 사업 기회를 함께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22일 줌라이언에 따르면, 대우건설은 지난 18일(현지시간) 중국 창사에서 줌라이언과 전략적 MOU를 맺었다. 이번 MOU에 따라 두 회사는 맞춤형 고급 장비 개발과 신에너지 기계 분야에서 심도 있는 협력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개척하는 데 함께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와 함께 줌라이언은 대우건설에 맞춤형 장비와 글로벌 협업 서비스를 지원하기로 했다. 대우건설은 줌라이언의 장비 기술과 글로벌 네트워크가 글로벌 프로젝트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앞서 대우건설은 올 초 줌라이언과 장비 구매 계약도 체결하기도 했다. 지난 1992년 설립된 줌라이언은 건설 기계와 광산 기계, 농업 기계 등의 기술 장비를 연구·개발·제작하는 업체다. 중국 건설중장비 업계 2위로 745개 종류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중국 현지에 29개 공장을 가동 중이며 해외에 10개 연구 개발·제조 기지를 운영 중이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오만이 한국에 그린 수소 프로젝트 참여를 요청했다. 오만은 그린 수소 산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이미 오만에 진출해 있는 포스코홀딩스와 삼성E&A에 추가적인 사업 수주 기회가 올지 주목된다. 22일 오만 에너지광물부(MEM)에 따르면, 모신 하마드 알 하드라미 차관은 지난 18일 서울 종로구 주한 오만 대사관에서 열린 ‘한국-오만 그린 수소 투자 포럼’에 참석해 한국 기업들의 그린 수소 프로젝트 참여를 요청했다. 알 하드라미 차관은 “한국과 오만은 에너지 분야에서 파트너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며 “한국 기업의 그린 수소 프로젝트 참여는 양국 간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최고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압둘아지즈 사이드 알 시드하니 ‘하이드롬(Hydrom·오만의 그린수소 전략 총괄 기관)’ 이사는 “그린 수소 협력을 위해서는 실용적인 움직임이 필요하다”며 “양국 간 우선 순위를 일치 시키고 참여에 적극적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오만은 약 5만km²의 부지를 그린 수소 프로젝트에 할당하며 관련 산업 육성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오는 2030년까지 연 100~150만t, 2050년에는 연
[더구루=홍성환 기자] GS건설이 미국 캘리포니아주(州) 실리콘밸리에서 최고급 임대주택을 공식 출시했다. GS건설이 미국에서 처음 선보인 아파트로, 현지 주택 사업 확대의 신호탄이 될지 주목된다. GS건설과 미라마 캐피털은 20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임대주택 '세븐스(Sevens)'의 첫 임대를 시작했다. 미국 부동산 전문 자산운용사 그레이스타(Greystar)가 임대차 관리를 맡았다. 오는 23일 공식 오픈 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이 주택은 실리콘밸리 마운틴뷰에 있다. 5층짜리 주거용 건물 3채로 이뤄져 있다. 총 716가구로, 이 가운데 572가구를 임대한다. 나머지 144가구는 마운틴뷰 위스먼 학군의 직원 전용으로 배정됐다. 단지 반경 10㎞ 인근에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 메타, 야후 등이 있어 빅테크 기업 직원의 큰 관심이 기대된다. 완공에 앞서 지난달 허윤홍 GS건설 사장이 직접 현장을 찾기도 했다. GS건설은 지난 2016년 노후 아파트를 매입하며 이 사업에 착수했다. 마운틴뷰의 인허가 절차, 공사비 수준 등 제반 사업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임대주택 사업으로 추진했다. 임충순 GS건설 책임자는 "이 아파트 최고 장점은 7
[더구루=진유진 기자] 한세실업이 2년째 실적 악화 수렁에 빠진 가운데 하반기 전망에 빨간불이 켜졌다. 세계적인 고물가로 옷이 잘 팔리지 않자 브랜드들이 신규 주문량을 크게 줄인 데 따른 영향이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미국발(發) 관세 충격도 불확실성을 키우는 모양새다. 시장 전망도 밝지 않다. 한세실업은 의류를 세계 각지에서 생산해 미국 등에 납품하고 있어 관세율 상향의 영향으로 하반기 실적 개선 여부가 불투명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영업이익이 1413억원으로 전년보다 16% 감소했다. 이 기간 매출액은 1조7978억원으로 전년 대비 5.2% 증가했다. 문제는 수익성 악화가 3년째 이어지고 있다는 것. 2022년 1769억원이던 영업이익은 2023년 1682억원으로 뒷걸음질 치고 있다. 올해는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 전망도 부정적이다. 대미 관세 정책 도입에 따른 고객사들의 보수적 수주와 단기 인하 압력 등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은 942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6%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지난해 2분기 806억원에서 326억원으로 59.6% 감소했다. 한세실업은 세계 각지에 둔
[더구루=김명은 기자] 코카콜라가 11년 연속 전 세계 비알코올 음료 부문 브랜드 가치 1위를 차지했다. 100년이 넘는 긴 시간 동안 치열하게 경쟁해온 펩시와의 격차를 두 배 이상으로 벌리며 '콜라=코카콜라'라는 인식을 확실히 심어주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4일 글로벌 브랜드 평가기관 '브랜드 파이낸스(Brand Finance)'에 따르면 2025년 코카콜라의 브랜드 가치는 전년 대비 32% 상승한 463억 달러(약 64조원)로, 전 세계 비알코올 음료 부문 1위를 11년째 지켰다. 특히 2위인 펩시(225억 달러)와 두 배 넘게 차이 난다. 코카콜라는 또한 브랜드의 내재적 강점과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수치화한 브랜드 강도 지수(BSI)에서도 100점 만점에 93.4점을 기록해 비알코올 음료 상위 50개 브랜드 중 가장 강력한 브랜드로 꼽혔다. BSI는 단순한 인지도나 매출을 넘어 브랜드의 지속 가능성과 시장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코카콜라의 높은 BSI는 이 브랜드가 전 세계 소비자들로부터 강력한 신뢰와 충성도를 확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위인 펩시의 브랜드 가치는 12% 오른 225억 달러(약 31조원)를 기록했지만, 코카콜라와의 격차는 오
[더구루=진유진 기자] GS그룹이 휴젤 인수를 통해 바이오 산업의 게임체인저로 급부상하고 있다. 보툴리눔 톡신(보톡스)과 필러는 물론 스킨부스터와 코스메틱 등 관련 분야까지 발을 넓히며 바이오 포트폴리오를 빠르게 완성해가고 있다. 휴젤 인수는 단일 기업 인수합병(M&A)를 넘어 GS 바이오 전략의 핵심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다. 오는 25일 휴젤 인수 4년을 맞는다. 지난 2021년 8월 인수 당시 정유·건설·유통 중심 그룹의 보툴리눔 톡신 기업 인수는 사업 간 시너지가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그러나 GS는 휴젤을 기반으로 바이오 포트폴리오를 빠르게 구축하며 시장의 우려를 반전시켰고, 4년이 흐른 지금 GS의 선택은 '효자 M&A'로 평가받는다. 당시의 대규모 투자가 단순한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넘어 그룹의 미래 성장 엔진을 확보한 '신의 한 수'였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휴젤은 지난해 연결 매출 373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16.7%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보다 41.2% 오른 1662억원을 달성했다. 보툴리눔 톡신과 HA필러 수출 확대, 화장품 부문 성장에 힘입어 올 상반기에는 사상 최대 실적을 갈아치웠다. 상반기 연결기
[더구루=김명은 기자] BBQ가 창립 30주년을 기념해 일본에서만 즐길 수 있는 특별한 한정 세트를 론칭했다. 일본 소비자들에게 '기념일에 함께하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며 미래 도약을 위한 발판을 다지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23일 제너시스BBQ그룹의 일본 사업 파트너사인 와타미에 따르면 BBQ는 이달 21일부터 다음달 3일까지 2주간 '창립 30주년 기념 특별 박스'를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한다. 오는 9월 1일은 BBQ 운영사인 제너시스BBQ그룹이 문을 연 지 30년이 되는 날이다. 이번 기념 박스는 단품으로 구입할 경우 총 1450엔 상당의 인기 메뉴들을 하나로 묶어 460엔 할인된 990엔에 제공한다. 뼈 없는 닭다리살 황금 프라이드 치킨 3조각, 뼈 없는 닭다리 양념치킨 3조각, 국산 닭가슴살을 이용해 만든 치킨 핑거 4개, 선택 가능한 딥소스 1종이 한 세트를 구성한다. 스테디셀러 메뉴를 한 번에 맛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이 세트는 일본 'BBQ올리브치킨카페' 전 매장에서 구매할 수 있다. BBQ는 제너시스BBQ그룹이 지난 1995년 론칭한 치킨 브랜드로, 현재 전 세계 57개국에서 35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 중인 글로벌 외식 브랜드로 성장
◇넷마블 블록체인 전문회사 마브렉스(MARBLEX)는 웹3 퍼블리싱을 담당한 수집형 역할수행게임(RPG) '메타 토이 드래곤즈 사가'의 사전 예약자가 50만 명을 돌파했다. 웹3 퍼블리싱은 퍼블리셔가 신규 게임의 온보딩에 집중하는 일반적인 퍼블리싱과 달리, BM 설계·마케팅·웹3 인프라 등을 개발사와 함께 진행하는 전방위 협업 방식이다. 마브렉스는 웹3 퍼블리싱 모델 도입을 위해 앞서 게임 전문 글로벌 블록체인 플랫폼 '이뮤터블'과 함께 2000만 달러 규모의 펀드를 조성했으며, 25년 상반기부터 웹3 퍼블리싱 모델을 통해 신규 게임을 선보이고 있다. 마브렉스가 웹3 퍼블리싱하는 메타 토이 드래곤즈 사가는 레트로 감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픽셀 아트 스타일의 작품으로, 300여 종의 개성 넘치는 ‘토이 드래곤’을 수집하고 성장시키는 수집형 RPG다. 현재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글로벌 사전 예약 중이며, 오는 8월 말 정식 출시 예정이다. 한편 마브렉스는 올 하반기에 '다이스 고(실시간 모노폴리 대전)', '프로젝트 X(수집형 RPG)', '크리티카(ARPG)' 등 다양한 장르의 글로벌 웹3 게임을 마브렉스 생태계에 온보딩 할 계획이다. ◇순
[더구루=홍성일 기자] 수명이 다한 폐 태양광 패널을 분쇄하지 않고도 고순도의 은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새로운 추출 기술은 태양광 발전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면서 핵심 광물의 공급망을 안정시킬 수 있는 '21세기 연금술'로 주목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호주 매쿼리 대학교(Macquarie University) 연구팀은 폐 태양광 패널에서 은을 정밀하게 추출할 수 있는 '제트 전기화학 은 추출(Jet Electrochemical Silver Extraction, JESE)'이라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광물 자원 기업 리튬 유니버스(Lithium Universe)와 상용화를 위한 파트너십도 체결했다. 매쿼리 대학교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약산성 용액을 제트기류처럼 빠르게 분사해 수 초 내에 은만 선택적으로 녹여내는 방식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JESE 기술은 태양광 패널의 다른 구성 요소는 그대로 둔 채 은 전극에만 직접 작용해 분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기존에는 폐 태양광 패널 전체를 분쇄한 뒤 화학 처리를 해 자원을 회수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이에 은 외에 실리콘, 유리 등을 재활용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스마트 안경 시장이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출하량이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과 중국 빅테크의 시장 참가가 스마트 안경 시장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올해 중국의 스마트 안경 출하량이 전년 대비 121% 증가한 29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1분기 출하량은 49만4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116% 급증했다. 중국 스마트 안경 시장이 빠르게 성장한 원인으로는 AI 기능의 발전과 경쟁 심화로 평균 판매 가격이 1000위안(약 19만5000원)대로 낮아졌다는 점이 뽑히고 있다. 실제로 올해 1분기 출하량의 78%를 AI 탑재 스마트 안경이 차지했다. AI는 스마트 안경은 실시간 번역, 건강 관리, 사물 인식,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소비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또한 샤오미와 화웨이가 이커머스를 중심으로 스마트 안경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알리바바와 바이트댄스 등 빅테크들의 시장 참여가 이어지고 있다. 빅테크 외에도 로키드, 엑스리얼 등 스마트안경 전문 기업들도 기술력을 앞세워 경쟁을 벌이면서
◇카카오게임즈 카카오게임즈가 미국 개발사 콩 스튜디오가 개발한 모바일 역할수행게임(RPG) '가디언 테일즈'에 신규 월드 22 및 영웅을 업데이트했다. 월드 22 '볼베르 화산'은 켄터베리성을 되찾기 위해 필요한 '영원의 불꽃'의 단서가 존재한다는 화산지대로, 기사가 염룡왕의 아들 '기르가스'와 함께 영원의 불꽃을 찾기 위해 모험을 떠난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새로운 월드와 함께 영웅 '최초의 화신 칼로르'도 선보인다. 칼로르는 염룡왕을 보좌하는 첫 번째 화신으로, 근거리의 화속성의 공격을 구사한다. 신규 월드 업데이트를 기념해 카카오게임즈는 내달 4일까지 '월드 22 프레임', '기사 코스튬' 등을 획득할 수 있는 월드 오픈 이벤트를 진행한다. 여기에 최초의 화신 칼로르 업데이트를 기념해 9월 18일까지 해당 영웅의 픽업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와 함께 오는 9월 3일까지 매일 10회씩 최대 50회 영웅/장비 무료 소환 기회를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컴투스 컴투스가 한국환경공단 수도권서부환경본부, 수퍼빈과 함께 '그린리턴 사업' 확대를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그린리턴 사업은 깨끗한 고품질 재활용품을 수거 거점에 제출하면 회수 보상을
[더구루=김은비 기자] 아마존이 미국에서 글로벌 렌터카 기업 허츠(Hertz)와 손잡고 중고차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허츠가 자사 중고차를 아마존의 ‘아마존 오토(Amazon Autos)’ 플랫폼에서 판매하기 시작하면서 기존 온라인 중고차 업계에 지각변동이 예고되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아마존은 허츠와의 중고차 판매 프로그램을 우선 미국 내 4개 도시에서 시범 운영한 뒤 향후 전국 단위로 확대할 계획이다. 허츠는 현재 54만대 이상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어 아마존은 안정적이고 대규모의 공급망을 확보하게 됐다. 아마존 행보는 기존 생태계를 재편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동안 아마존은 서적, 가전, 식품, 헬스케어 등 진출하는 산업마다 구조를 바꿔온 만큼 중고차 시장 역시 예외가 되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자체 고객 네트워크와 유기적인 결제·배송·리뷰 시스템 등 타 브랜드 대비 높은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서다. 아마존 중고차 진출 소식에 다른 온라인 중고차 플랫폼은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중고차 기업 카바나(Carvana), 카맥스(CarMax)와 렌터카 기업 에이비스(Avis) 주가는 일제히 하락했다. 업계는 아마존이 허츠와의 협력을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수소차 시장이 오는 2033년 5480억 달러(약 766조원)까지 성장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아시아 태평양 시장이 가장 빠르게 성장할 것이란 분석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스페리컬 인사이트(Spherical Insights)’는 2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글로벌 수소차 시장 분석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기준 글로벌 수소차 시장 규모는 약 345억 달러(약 48조원)로 평가됐다. 시장 규모는 2023년부터 오는 2033년까지 연평균 31.8% 성장해 5480억 달러를 넘을 전망이다. 지역별로는 북미 시장이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봤다. 미국, 캐나다, 멕시코가 수소차 시장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글로벌 파트너십과 정보 교류에 적극적이라는 이유에서다. 특히 미국은 첨단 기술에 개방적일 뿐만 아니라 자동차 수요도 증가하는 추세다. 성장 속도에서는 아시아 태평양 시장이 가장 빠를 것으로 예측했다. 높은 차량 생산성과 수요로 인해 상당한 진전을 이룰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한국과 일본을 언급하며 “두 나라가 수소 연료 전지 기술에 지속적인 지원을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보고서는 글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그룹가 미국 J.D.파워가 올해 실시한 '신차 기술 만족도 조사(TXI)' 상위권을 싹쓸이하며 독주했다. 제네시스는 5년 연속 프리미엄을 포함한 전체 1위에 올랐다. 현대차는 대중 브랜드 6년 연속 1위를, 기아는 2위를 차지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조사를 통해 기술 리더십이 다시 입증됐다는 평가다. 22일 J.D.파워에 따르면 현대차는 올해 '신차 기술 만족도 조사(TXI)' 대중(Msss) 브랜드 부문에서 1000점 만점에 493점을 획득, 6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기아는 474점으로 2위에 올랐다. 제네시스는 캐딜락(526)과 링컨(523), BMW(511)를 제치고 538점을 기록, 프리미엄 부문과 전체 1위를 차지했다. 5년 연속이다. TXI 조사는 2025년형 신형 모델을 구입하고 90일 이상 소유한 소비자 7만623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7월부터 올해 5월까지 진행됐다. 조사는 △편의성 △최신 자동화 기술 △에너지 및 지속가능성 △인포테인먼트 및 커넥티비티 등 4가지 카테고리에 포함된 40개 기술에 대한 만족도를 1000점 척도로 물어 신기술 혁신 수준과 사용 편의성을 평가한다. TXI 조사는 JD파워 주요 기
[더구루=정예린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영국 왕립예술대학(Royal College of Art, RCA)과의 10년간 협력을 2년 연장하며 차별화된 디자인 역량 확보에 나선다. 차세대 디자인 인재 육성과 혁신 프로젝트를 통해 글로벌 트렌드와 기술 변화를 빠르게 반영, 미래 모빌리티 시장 경쟁력을 대폭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기아 영국법인은 지난 20일(현지시간) 런던 RCA 배터시 캠퍼스 열린 서명식에서 RCA와의 파트너십을 오는 2027년까지 연장하는 갱신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협력을 통해 학제간 연구와 산업 경험을 연결하고, 모빌리티·디자인·기술 분야 혁신을 촉진할 계획이다. 파트너십 10주년을 맞은 올해, 현대차그룹과 RCA는 이번 협약을 통해 기존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새로운 연구 이니셔티브를 도입한다. 주요 프로그램에는 △현대차·기아 디자인·혁신 프로젝트 △인텔리전트 모빌리티 MA(Intelligent Mobility MA) 방문 디자인 펠로우십 △전문가 개발 워크숍 △현대차·기아 어워드 등이 포함된다. 이들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실제 산업 과제와 연결된 창의적 프로젝트 경험을 제공하고, 교수진과 산업 전문가 간 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