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SK매직이 말레이사아를 교두보로 삼아 동남아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현지에서 1000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에 나설 전망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SK매직은 지난 2018년 말레이시아 현지 법인을 설립하고 렌탈 사업을 개시한 이후 지금까지 만든 일자리는 1850개에 달한다. SK…
[더구루=홍성환 기자] KB국민은행 인도네시아 자회사 KB부코핀은행이 부실 대출을 매각하며 자산 건전성 개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부코핀은행은 싱가포르에 기반을 둔 특수목적회사(SPC)인 IDMB유나이티드에 부실 대출 4조1300억 루피아(약 3600억원)를 매각했다. 매…
[더구루=길소연 기자] 선복량 기준 세계 2위 덴마크 선사 머스크(Maersk)가 그린 메탄올 생산 확대에 이어 국내 조선 3사와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시리즈 건조 프로젝트를 논의 중이다. 메탄올 탄소 중립 컨테이너선으로 탈탄소화를 앞당기겠다는 방침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AP 묄러 머스크(A.P…
[더구루=정예린 기자] 폐배터리 재활용 전문기업인 성일하이텍이 독일 생산기지 건설을 위한 첫 발을 뗐다. 코스닥 상장 절차를 밟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사업 영토 확장에 고삐를 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성일하이텍은 최근 독일 튀링겐주 소도시 루돌슈타트시에 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설립하기 위한 관…
[더구루=김형수 기자] CJ푸드빌이 미국 미네소타주에 뚜레쥬르 1호점을 열면서 미국 시장에서의 영향력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로써 뚜레쥬르의 미국 내 매장은 21주(州)로 늘게 됐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CJ푸드빌은 미국 미네소타주 리치필드(Richfield)에 자리한 스트립 몰(Strip Mall)에 미…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화물 수요 증가에 대응해 화물기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최근 몇 개월 동안 에어버스와 보잉이 출시한 신형 광동체 화물기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에어버스와 보잉은 화물 수요 증가로 각각 A350, 777X 화물기를 출시했다. 항공사는 코로나…
[더구루=한아름 기자] 글로벌 '트래블 테크'를 선언한 야놀자가 본격 해외 시장 공략에 나선다. 국내를 넘은 해외 진출에 중남미 시장을 정조준했다. 최근 브라질 관광부 장관과 만나 현지 여행 사업에 대해 논의했다. 야놀자의 편리한 숙박 예약 기능에 인터파크의 항공권 바잉 파워, 트리플의 콘텐츠를 더하…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의 부품 협력사 '화신'이 미국 공장 증설에 나선다. 현대차 조지아 전기차 전용 신공장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베터리팩 케이스(BatteryPack Case) 등 다양한 전기차 부품을 생산할 것으로 분석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화신 미국생산법인(Hwashin Americ…
[더구루=홍성환 기자] DL이앤씨가 호주 친환경 비료 제조기업 뉴라이저(NeuRizer)에 지분 투자한다. DL이앤씨가 신성장동력으로 집중하는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사업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뉴라이저는 23일(현지시간) DL이앤씨와 지분 9.1%를 1000만 달러(약 130억원…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브라질 상파울루대학교 의과대학(FMUSP)과 '갤럭시워치4'를 활용해 심혈관 수술을 받은 환자를 원격 모니터링한다. 코로나19 후유증에 이어 심장 질환까지 다양한 의료 분야에 갤럭시워치4를 접목, 헬스케어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브라…
[더구루=길소연 기자] 카타르에너지(옛 카타르페트롤리엄)가 액화천연가스(LNG) 증산 프로젝트를 위해 한국 조선소의 새 슬롯을 추가 확보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카타르에너지는 한국 조선소 3사에 LNG 운반선 예약선박 수를 늘렸다. 이에 따라 2020년 확보한 최대 151개 신축 계획에서 3분의 1…
[더구루=오소영 기자] SK하이닉스가 미국 IP밸류 매니지먼트의 관계사 롱지튜드 라이센싱(Longitude Licensing Ltd., 이하 LLL)과 특허 라이선스 계약을 맺었다. 메모리 반도체 특허를 확보해 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LLL과 메모리 반도체 특허…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자동차 부품 회사 일본특수도업(日本特殊陶業, 이하 NGK)이 '미래 먹거리'인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전력투구한다. 연말 항공우주용 전고체 배터리의 성능을 검증하고 2025년 상용화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NGK는 전고체 배터리를 2025년 상용화할 계획이다. 자동차뿐 아니라 항공우주, 헬스케어 등에서 활용을 모색하고 연말 항공우주용 배터리에 대한 성능 테스트를 실시한다. 1936년 설립된 NGK는 점화 플러그와 세라믹 제품 등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는 회사다. 주력 제품인 점화 플러그는 거의 모든 완성차 업체들이 사용하고 있다. NGK는 내연기관차 시대가 저물고 전기차를 비롯해 친환경차의 판매량이 증가하며 새 수익원 발굴에 매진했다. 그동안 자동차 부품 시장에서 축적한 기술력을 토대로 전고체 배터리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에 쓰이던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바꾼 제품이다. 구조적으로 단단해 화재 위험이 없고 에너지밀도가 높아 주행거리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어 '차세대 배터리'로 꼽힌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는 전 세계 전고체 배터리 시장 규모가 올해 2.1GWh에서 2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화유코발트와 짐바브웨 정부 간 리튬 프로젝트를 둘러싼 동상이몽으로 첫 삽을 뜨기 전부터 잡음이 새어 나오고 있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 등 인프라 부족이 걸림돌로 작용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화유코발트는 최근 짐바브웨 아르카디아(Arcadia) 리튬 프로젝트 관련 "현지 파트너사의 지원과 적절한 환경이 갖춰졌을 때만 리튬 생산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당국이 계약서 내용과 달리 일방적으로 5년 내 현지 리튬 생산을 요구한 데 따른 것이다. 화유코발트는 총 4억2200만 달러(약 5513억원)를 들여 호주 프로스펙트리소시스로부터 아르카디아 프로젝트를 인수했다. 지난 5월 광산 개발과 리튬 처리 시설 건설에 3억 달러(약 3920억원)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본보 20222년 5월 27일 참고 中 화유코발트, 짐바브웨 리튬 사업 '3700억' 투자> 인수 작업이 순항하는 듯 했지만 예상치 못한 곳에서 발목이 잡혔다. 짐바브웨 경쟁관세위원회가 지난달 22일(현지시간) 화유코발트와 프로스펙트리소시스 간 거래를 승인하며 '5년 이내에 짐바브웨에서 배터리 등급 리튬을 생산해야 한다'는 조건을 내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