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정예린 기자] 애플이 아이폰과 애플워치 등 모바일 기기를 활용해 '애플카'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확인하는 기술 특허를 확보했다. 자율주행 기능으로 음주운전을 정당화하는 등 악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가운데 예방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애플이 아이폰과 애플워치 등 모바일 기기를 활용해 '애플카'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확인하는 기술 특허를 확보했다. 자율주행 기능으로 음주운전을 정당화하는 등 악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가운데 예방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화유코발트가 지난달 인수한 짐바브웨 리튬 광산 사업에 3억 달러(약 3760억원)를 투자한다. 광산 개발과 공장 건설에 나서며 리튬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화유코발트는 짐바브웨의 광산 개발과 리튬 처리 시설 건설에 3억 달러를 쏟는다. 화유코발트의 홍콩 자회사 화유인터내셔널마이닝은 작년 말 호주 프로스펙트리소시스와 아르카디아(Arcadia) 프로젝트의 지분 87%를 인수하기 위한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했다. 3억7780만 달러(약 4740억원)를 지불하고 지난달 인수를 마쳤다. 소수 민족이 보유한 지분도 확보했다. 인수 대금으로만 총 4억2200만 달러(약 5300억원)를 썼다. 아르카디아는 짐바브웨 수도 하라레 외곽에 위치한 리튬 광산이다. 7270만t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며 아프리카에서 가장 진보된 리튬 광산으로 평가받는다. 화유코발트는 광산 개발에 본격 착수하고 생산시설도 짓는다. 약 450만t의 리튬 광석을 처리하고 연간 40만t의 리튬 정광(불순물을 제거한 광석)을 만든다. 내년 리튬 정광인 스포듀민과 페탈라이트를 처음 생산해 인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화유코발트는 아르카
[더구루=윤진웅 기자] 독일 자동차 부품업체 '보쉬'(Bosch)가 중국 자율주행 기업 '위라이드'(WeRide)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 중국 내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시장 입지 확대를 위해서다. 자율주행차 전문성을 확대하기 위한 보쉬의 거침 없는 행보가 이어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보쉬는 최근 위라이드에 투자했다. 중국형 고급 지능형 주행 솔루션 개발을 위해서다. 현지 업체인 위라이드를 통해 국제자동차공학회(SAE) 기준 레벨 2~3단계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을 아키텍처에 반영하고 대량 생산에 나선다는 것. 보쉬의 중국형 고급 지능형 주행 솔루션은 '보쉬 인텔리전트 드라이빙 앤 컨트롤 디비전 차이나'(Bosch Intelligent Driving and Control Division China)가 중국 시장을 겨냥해 개발했다. 위라이드는 자율주행 전문 기업이다. 자율주행 솔루션 '위라이드 원'(WeRide ONE)을 보유하고 있다. 위라이드 원은 SAE 기준 레벨2~4단계 자율주행을 실현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로보택시 운영 등의 경험을 토대로 자율주행 솔루션 대량 생산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다. 보쉬 관계자는 "장기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