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항공제조산업이 생사 갈림길에 놓였다. 코로나19 여파로 에어버스·보잉 등 글로벌 항공사들의 감산이 이어지면서 국내 항공제조업체들도 심대한 타격을 입고있다.
자칫 국가 전략산업인 항공제조산업의 기반이 붕괴될 수 있다는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업계 안팎에서 정부의 선제적이고 과감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25일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세계 민수시장이 향후 5년간 침체될 전망이다. 축소된 생산 규모가 오는 2024년에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보잉과 에어버스 등 대형 제조사가 감산에 들어가면서 국내 항공산업 중소업체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실제로 항공제조업계는 글로벌 항공기 제작물량 증가 계획에 따라 생산설비 증설을 추진해 왔으나, 지난 1월 보잉 737 MAX 생산 중단과 코로나19 영향으로 생산물량이 급감, 매출감소와 부채 증가로 경영여건이 급격히 악화됐다. 주요 중소기업(30개사)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2020~2021년 매출 1600억원, 영업이익 10% 감소할 전망이다.
업계가 자구대책으로 소신 및 유휴인력 최소화를 위한 업체별 자구대책을 수립하고, 인력 구조조정 및 경비 절감 그리고 은행 대출을 통한 운전자금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정부의 지원 대책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업계 맏형격인 KAI 역시 중소협력업체 지원 정책으로 물량 단가 인상 및 자금지원 방안 시행에 나섰다. 하지만 협력업체의 리스크가 OEM으로 전이되면서 전체 산업 생태계 붕괴가 우려되는 등 한계에 봉착했다.
이에 KAI를 포함 항공제조업계는 정부에 국내 유동성 및 고용 유지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항공기계산업을 7대 기간산업에 포함해 정부의 포괄적 지원하고, 고용위기지역 및 산업 위기대응 특별지역 지정을 요구했다.
국내 내수지원 및 수출 산업화 지원도 호소했다. 국산제품 우선 구매정책을 통한 내수 활성화를 위해 법률 개정 및 제도 개선에 나서고, 직도입 무기체계의 국내 조립생산 및 정비 권한 확보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중소기업 유급휴가 훈련 지원사업 예산을 100억원 증액하고, 항공산업 특별 금융지원 및 지원정책을 마련해달라고 촉구했다. 방산 수출 활성화를 위해서는 금융 및 산업협력 지원도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KAI 관계자는 "50년간 다져온 국내 항공산업 기반이 불과 몇 개월 만에 붕괴 위기에 봉착했다"며 "적기 회복을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 지원 대책 긴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경상남도와 사천상공회의소,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등으로 구성된 항공제조업 생존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가 이달 초 대정부 건의했다.
비대위는 정부에 △7대 기간산업에 항공제조업 포함 △ 특별고용지원업종,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및 고용위기지역 지정 요건 완화 △강력한 항공산업 뉴딜정책 추진 등을 요청했다.